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 카타르 철강 산업
  • 국별 주요산업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양소망
  • 2022-01-10
  • 출처 : KOTRA

국영기업인 카타르 철강 회사가 주요 기업으로 활동 중이며, 환원철, 빌릿, 철근 등을 생산 중

생산된 철근은 주로 카타르 내 건설 자재로 활용되며, 기타 자재는 수입에 의존

 


산업개요


카타르 정부는 국영회사인 카타르 철강 회사(QS, Qatar Steel)1974년 설립하여 철강 제품 생산 후 국내 유통을 담당시키고 있다. 국내 유통 후 나머지는 수출하고 있다.

 

 <카타르 철강 생산 현황>
(단위: 천 톤, %)

2017

2018

2019

연평균 성장률

7,345.3

6,960.9

6,843.0

6.05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시장 동향


세계 최대 가스 수출국 지위 회복을 위한 북부 가스전 LNG 증산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LNG 생산규모를 현재 7,700만 톤에서 2027년까지 12,600만 톤으로 64% 증산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 준비 및 국가비전 2030에 따른 정부 주도 인프라 프로젝트가 지속 진행 중에 있어 여러 건설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이로 인해 대규모 건설 기자재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카타르는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건설업 관련 산업 기자재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 상위 품목 중 건설업 관련 철강 기자재는 주로 철골 구조물 및 밸브류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정책


카타르는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에 현지조달, 생산, 서비스 활용 정도 등 현지진출 조건을 부가하는 현지화 정책 TAWTEEN의 추진을 통해 제조업 기반확대 및 공급망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TAWTEEN 주요 내용>

ICV 제도 : 현지 재화 및 서비스 활용 정도를 점수화하여 입찰 평가 요소로 활용

현지화 유망 6대 분야* 투자 기회 제공

* 화학 및 금속, 엔지니어링 서비스, 소모 자재 및 유지보수, 디지털 기술, 산업 기자재류, 해양 플랜트 관련 기자재 및 서비스

공급자 육성을 위한 에너지 분야 기업 대상 교육 프로그램 지원

[자료: TAWTEEN 홈페이지]

 

주요 기업 및 생산품


국영기업인 카타르 철강 회사가 주요 기업으로 활동 중이며, 직접환원철(CDRI, Cold Direct Reduced Iron), 환원철(HBI, Hot Briquetted Iron), 철강 빌릿(SB, Steel Billet) 및 철근(REBAR, Reinforcing Steel Construction Bars) 등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두바이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선재(WR, Wire Rod) 및 철근 생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카타르 철강 회사 생산 능력>
(단위: , 만 톤/)

구분

설비 수

생산 능력

비고

환원철

2

240

-

빌릿

2

245

-

철근

2

150

-

1

30

두바이

선재

1

24

전기로

3

290

-

[자료: QS(Qatar Steel)]

 

직접환원철은 불순물이 적어 고급고철의 대용으로 주로 전기로 및 전로에 사용되며, 대부분의 빌릿은 철근으로 가공된다. 철근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봉강으로 교량, 건물, 발전소 등 건축의 중추적 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콘크리트와 부착력이 커 인장에 취약한 콘크리트를 보완하여 콘크리트 균열 발생 시 균열 폭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어 건축과 토목 현장에 널리 사용된다. 주로 카타르 내 건설 자재로 활용되며, 대부분의 생산품은 카타르 시장에 공급되나 주변 국가로 수출되기도 한다.

 

<카타르 철근(HS CODE 7214) 수출 현황>
(단위: US$ , %)

연번

국가

수출액

비중

1

싱가포르

47,907

42.65

2

홍콩

41,588

37.02

3

필리핀

17,222

15.33

4

브루나이

4,232

3.77

5

지부티

982

0.87

6

스리랑카

342

0.30

7

요르단

60

0.05

-

합계

112,334

100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진출전략


SWOT 분석


Strength

Opportunity

· 저렴한 생산경비(수도·전기·연료)

· 아시아 및 유럽 시장에 진출에 용이한 전략적 위치
· 건설 경기 호조에 따른 내수 활성화

· 세계 경기 침체 속 건설 비용 하락에 따른 프로젝트 투자 재개
· 신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로 철강 제품에 대한 국내 수요 증가
· 카타르 정부의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자 및 파트너 유치

Weakness

Threat

· 국제 유가에 좌우되는 가스&원유 의존 경제(GDP29%, 재정수입의 78%)
· 외국인 소유 제한에 따른 투자 매력도 저하
· 중국 경제와 주택/건설 산업 둔화에 따른 철강 제품 수요 하락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수출 시장 영향
·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에너지 분야 입찰 시 현지화 점수 제출 의무화로 현지화 비율 확대 및 경쟁 불가피


유망분야


국가비전 2030 2022년 월드컵 개최로 정부의 프로젝트 분야 예산 편성에 힘입어 도로, 신도시 개발, 공항 및 항만, 수전력, 의료 및 교육시설 등 분야에 꾸준한 사업 수요 존재하고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대부분의 건설업 관련 산업 기자재류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발주처 벤더 등록을 통한 관련 기자재 납품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다. 현지 바이어의 신규 제품 검토 시 국내외 납품 경험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인증서 보유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현지 제품 구매 정책 강화에 따라 현지 생산 시설 설립을 통해 직접 공급을 추진하거나, ICV 점수가 높은 현지 에이전트를 물색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ICV를 보유한 현지 제조사를 대상으로 반제품 또는 원자재 등을 공급해 수출 기회를 찾아볼 수도 있다.

 

자료: TAWTEEN, QS(Qatar Steel),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 카타르 철강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