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1년 남아공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정미성
  • 2021-10-07
  • 출처 : KOTRA

- 3차 산업 중심으로 고루 발전된 산업구조 보유 -
- GDP의 10%에 해당하는 5.000억 랜드 규모의 경기부양책으로 산업육성 기반 마련 -




남아공은 제조업, 건설업 외에도 금융, 유통, 서비스 등 3차 산업까지 고루 발전한 성숙된 산업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2020년 기준 GDP 대비 산업별 비중은 3차 산업(71.3%)>2차 산업(18.8%)>1차 산업(9.9%)의 구조를 띠고 있는데, 1차 산업 비중이 줄어들고 3차 산업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금융, 부동산 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2020년 남아공 GDP 대비 산업별 비중

external_image

자료: 남아공 통계청


농수산업, 광업 등 1차 산업은 그 비중이 낮은 편이나 남아공 경제성장에 있어 여전히 중요한 근간산업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남아공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일찍이 광산업이 발전했는데, 백금족, 크롬, 망간의 최대 보유국이자 석탄, 금, 다이아몬드의 주요 생산국으로 전체 GDP의 약 8%, 총 수출의 약 30%를 차지하며 40만 명 이상의 고용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농수산업 역시 주식을 생산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남아공의 매우 중요한 기초산업으로 남아공 전체 노동인구의 3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농작물 중에서는 현지인들의 주식인 옥수수 밀(Maize) 재배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남아공 정부는 제조업, 건설업, 인프라 확충 사업 등에 적극 투자 중이기도 하다. 남아공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중 인프라 시설이 가장 안정적으로 구축된 나라로 역내 최대 건설시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코로나19로 위축된 경제 회생을 위해 정부 주도의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새롭게 성장하는 차세대 소비시장이자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금융 및 통신 산업 허브로서 구매력을 갖춘 신흥 중산층과 선진국 수준의 금융 인프라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높은 모바일 보급률을 기반으로 ICT 산업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 정책

남아공 정부는 산업정책행동계획(Industrial Policy Action Plan, IPAP)을 통해 산업 육성을 통한 경기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남아공 통상산업부는 제10차 산업정책행동계획(IPAP 2018/19-2020/21)을 통해 향후 중점산업으로 자동차, 의류, 농가공, 철강, 영화, 녹색산업 등을 선정했으며, 주요 타깃 분야로 ▲공공조달 시 현지조달 강화, ▲산업육성 자금 및 인센티브 확대, ▲특별경제구역(SEZ) 활성화, ▲혁신 및 기술력 강화 등을 발표한 바 있다.


제10차 산업정책행동계획의 중점 추진정책 주제 및 산업

중점 추진정책

 

중점산업

경제 성장

국내총수요 증진 노력 강화

수출 증진 노력

정책 확실성 마련 및 강화

더 경제적인 경제 구조 및 제조업 환경 구축

산업 금융 및 인센티브 시스템 강화

기술 인센티브 및 부가가치 창출 프로젝트 강행

기술이전 및 보급 최적화

에너지 효율적 생산 및 이산화탄소 배출 완화

4차 산업혁명

 

자동차산업

의류섬유가죽신발류

농가공

플라스틱

화학의약품화장품

녹색산업

항공 및 방산

백색 가전

해양 제조 등

자료: 남아공 정부


뿐만 아니라 제조업 부문의 경쟁력 제고 및 수출 확대를 위해 8개의 특별경제지구(Special Economic Zone, SEZ)를 운영, 법인세 감면, 산업건물수당 공제 및 고용 인센티브, 관세 및 부가가치세 등 각종 입주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1990년대 투자유치 촉진을 목적으로 공항 또는 항구 인접지역에 산업개발지역(Industrial Development Zone, IDZ)을 조성했으며, 산업개발지역의 확대 조성을 목적으로 2007년 특별경제지구를 설립하여 산업 및 수출단지, 과학기술단지 등을 운영 중이다. 산업개발지역과 특별경제지구는 잘 갖춰진 사회 인프라, 면세혜택 등으로 다국적기업 및 국내기업의 투자 유망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위축된 남아공 경제 회생을 위해 4월 라마포사 대통령은 GDP의 10%에 해당하는 5,000억 랜드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10월에는 남아공 경제재건 및 회복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동 전략은 인프라, 투자, 에너지 발전용량 확대, 고용 증진, 산업화 촉진 등을 통해 향후 10년간 평균 경제성장률 3%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남아공 경제재건 및 회복 계획 주요 내용

목표

 

역점부문

공격적인 인프라 투자

대규모 고용 촉진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재산업화

투자 및 경제성장을 위한 경제개혁 가속

범죄 및 부정부패 근절

정부의 역량강화 등

 

대규모 인프라 구축

에너지(전력) 발전 용량 증대

신규 일자리 창출

산업 성장 등

external_image

기대효과

향후 10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 3% 달성

2년 이내 안정적인 에너지(전력) 공급 달성

향후 4년간 인프라 부문 1조 란드 투자

80만개 신규 일자리 창출

남아공 데이터 비용 절감 및 저소득층에 광대역 인터넷서비스 제공 확대

제품의 현지화와 수출을 통한 산업화 발전 및 국내 제조업 재육성

관광 및 서비스업 등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취약 산업 소생 등

자료: 남아공 정부


규제 정책

남아공 정부는 흑인계층의 경제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포괄적 흑인경제육성법(Broad-Based Black Economic Empowerment Act, BBBEE)을 추진하고 있다. 과거 인종차별 정책(Apartheid)하에 경제적으로 차별받던 흑인계층(중국, 인도 등 일부 유색인 포함)의 경제활동 장려를 위해 남아공 정부가 마련한 경제사회발전정책으로 흑인계층의 기업 소유권(Ownership) 및 지배력(Control) 향상, 인적자원 개발 및 고용평등, 정부 및 공공기관의 흑인 기업에 대한 우대구매 정책이 핵심 요소이다. BBBEE의 시행령으로 관련 세부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BBBEE 모범 실천규약(Code of Good Practice)은 5개 평가항목에 따라 충족도를 점수로 환산하여 합산 점수에 따라 1~8등급 중 최종 등급을 매기는데,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등급에 해당된다. BBBEE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남아공 정부의 사업면허 발급 및 정부 발주사업 참여의 필수 조건으로 BBBEE 등급이 높은 기업에는 각종 금융지원, 세금감면 등 혜택이 제공되며, 남아공 민간 기업들도 BBBEE 등급이 높은 기업과 거래해야 자사 등급에 유리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BBBEE 등급 보유 기업과 거래가 선호된다.

이 외에도 현지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공공조달 우대정책(Preferential Procurement Regulations)이 함께 시행되고 있다. 공공조달 우대제도 입찰자 자격심사(Pre-qualification)에 따라 공공기관 공개 입찰 참가를 위해서는 아래 신청조건 중 최소 1개 조건 부합이 필수적으로 입찰규모 3만~5천만 랜드에 해당하는 조달사업은 80(입찰가격)/20(BBBEE 등급) 시스템을 적용하여 입찰자를 선정하고, 동점 입찰자가 다수일 경우 BBBEE 점수가 높은 업체가 최종 입찰자로 선정된다.


공공조달 우대제도 입찰자 자격심사 신청조건

최소 BBBEE 등급에 부합되는 기업

영세기업(EME: 연소득 1천만 랜드 이하) 또는 중소기업(QSE: 연소득 1천만~5천만 내)

다음과 같은 업체에 30% 이상 하청을 주는 업체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소유인 EME 또는 QSE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청년 소유인 EME 또는 QSE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여성 소유인 EME 또는 QSE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장애인 소유인 EME 또는 QSE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농촌 및 타운십에 거주하는 흑인 소유 EME 또는 QSE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소유인 일반기업

기업 지분의 51% 이상이 흑인 참전군인인 EME 또는 QSE

EME 또는 QSE

자료: 남아공 통상산업경쟁부


자료: 남아공 통계청, 통상산업경쟁부,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1년 남아공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