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오만 수산업 시장 동향
  • 국별 주요산업
  • 오만
  • 무스카트무역관 이준헌
  • 2020-05-20
  • 출처 : KOTRA

- 오만 5대 산업 중 하나인 수산업 -

- 비전2040의 비석유산업 투자로 인해 수산업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 -




가.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ㅇ 오만 농수산부(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ealth)

    - 오만의 수산업 발전과 수산 분야 전체의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며 수산 및 양식 분야 발전에 대해 다른 부처 및 정부 부처와 모든 관련 현안을 조율

    - 양식 사업의 경우 오만 농수산부 산하 수산자원개발국(The General Directorate of Fisheries Research, GDFR)의 허가를 받아야 함


  ㅇ 지역 수산 위원회(Regional Commission for Fisheries, RECOFI)

    - 오만은 해양 자원의 개발, 보존, 합리적 관리 및 최상의 활용과 더불어 협정 지역 내에서 지속 가능한 양식업을 발전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책임을 맡고 있는 지역 수산 위원회(RECOFI)의 회원

    - 오만은 1989년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을 비준했으나 유엔공해어업협정(UNFSA)나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준수협정을 비준하지 않고 있음

    - 수산업에 대한 내규나 규제 틀이 마련되어 있고, 농림수산부에서는 최근에야 수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구하기 시작


  ㅇ 오만 수산업법

    - 1981(수산물법) 해양어업 및 생활수산물자원보호법(수산업법)에 수록

    - 그 후 1982(장관3/82) 1994(장관4/94)에 법 집행 규정이 발표

      (참고) 이 행정규정은 해양어업면허, 면허료, 생활수산물자원 보호 및 개발, 어업규제, 생활수산물자원의 보존, 운송 및 마케팅, 일반규정 및 위약금을 다룸

    - 수산업법의 세부 사항을 규정한 구체적인 결의안과 조례의 문제와는 별도로 아직 추가 검토나 개정은 이뤄지지 않고 있으나 수산자원개발국은 현재 개정된 행정규정 초안을 준비하고 있음


  ㅇ VISION 2040

    - 현재까지 석유산업에 의존하던 경제체제에서 벗어나 비석유 부문의 비중을 GDP의 90% 이상으로 증가시킬 계획

    - 비석유 부문 개발은 제9차 5개년 개발계획에서 5대 핵심부문(관광, 물류, 제조업, 수산업, 광업)에 다각화 전략이라는 이름 아래 집중함으로써 GDP의 93%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VISION 2040 석유/비석유 지분 구체화 도표>

 

2019

2030년 목표

2040년 목표

GDP

석유/비석유 지분

석유 : 35%

비석유 : 65%

석유 : 16.1%

비석유 : 83.9%

석유 : 8.4%

비석유 : 91.6%

자료 : VISION 2040 위원회, 오만 국립 통계청


<오만 수산업 부문 ‘VISION 2040’ 도표>

external_image

자료 : 세계은행


    - ‘VISION 2040’의 수산업 부문 진행 5단계는 (1. 현 수산업 상황 인지 2. 수산업 관리 단위 설정 3. 이해관계자 합의 4. 수산물 지속적 공급 5. 세계적 수준의 수익성 있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산업 분야 확립)으로 이루어짐


□ 주요 프로젝트 현황


  ㅇ 오만 어업 분야 변혁을 위한 수산물 연구소

    - 민간 기업 Permandu Associates社가 2017년부터 지원, 현재 약 6억 4천만 RO($16억) 규모 투자

    - 해당 사업은 오만 국가 경제 다각화 프로젝트(Tanfeedh)의 일환

    - 이 연구소는 오만해, 아라비아해, 인도양에서 오만의 잠재적 천연 바이오매스*를 활용하는 것, 민간 부문과 협력하여 해양양식산업을 개발하는 것, 원료 생산 중심 수출 분야에 투자하는 것 등 세 가지 주요 목표에 초점을 맞춤

      (*바이오매스: 화학적 에너지로 사용 가능한 식물, 동물, 미생물 등의 생물체, 즉 바이오에너지의 에너지원을 의미함)

    - 이 프로젝트들 중 상당수는 근본적으로 대규모 어업사업의 설립을 위해 미개발 해안지 또는 대규모 양식장 사업의 설립을 위한 연안의 이점을 활용하는 것


  ㅇ 두큼(Duqm) 어업 지구

    - 두큼(Duqm) 경제 특구수산업 지구의 $1 1,000만 규모의 프로젝트가 2022년 초에 시작될 것으로 전망

    - 이 수산업 지구는 연간 참치 17,000, 정어리 72,000톤을 생산할 수 있게 설계될 것

    - 두큼(Duqm) 어항(漁港)은 국민소득원의 다양화, 자국민 일자리 제공, 재수출부문의 증강, 기술 이전 지원, 경제특구 내 어업부문의 추가적인 가치 확대 등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 산업 수급 현황


□ 오만 수산업 동향


  ㅇ 오만 통계청(NCSI) 2020 4월 오만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오만 GDP 농수산업 기여도는 2017 6 1,720 RO 기록, 2018 6 6,700 RO 기록, 2019 7 1,660 RO 달성

    - 2018년 대비 2019년 오만 GDP 농수산업 기여도 변화율은 7.4% 증가

    - 수산물의 가치는 2020(1~3) 90,261,000RO($234,749,024)를 기록했으며 동기간 2019년 수산물가치는 79,776,000RO($207,479,843)기록, 2020년 동기간 전년도 대비 13.1% 가치 상승


<전체 오만 어획량>

external_image

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


  ㅇ 오만 어획량은 2019(1~12) 기준 579,184톤에 육박, 2020(1~3) 어획량은 202,099톤을 기록, 전년동기 169,196톤 대비 19.4% 증가


<수산물 수출입 현황>

($1,000 기준)

external_image

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


  ㅇ 2017년 기준 수출액은 $105,675,000 수입액은 $62,901,000를 기록

    - 오만에서 어류 수출은 경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유엔식량농업기구의 2011년 통계에 따르면, 오만에서 신선하고 냉동된 수산물들은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 가장 많이 거래 되는 상품이며 냉장 및 냉동 생선들은 수산물 수출 70%, 수입 60%를 차지


  ㅇ 오만 수산물 수출량은 2011 75,876톤을 기록

    - 오만 수출 주요국은 유럽연합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이 오만 신선 어류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

    - 냉동 수산물 주요 수출국은 중국 및 극동 지역이며 그 외 20%는 유럽 및 미국이 차지

    - 튀긴 생선 품목은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수출하며 주로 이집트,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리비아 등이 있음


  ㅇ  오만 지역 공급을 위해 수산물을 수입하며 2011년 수입량은 19,332톤에 달했음

    - 특정 수산물들이 현지에서 충분히 수량이 공급되지 않거나 특히, 금어기동안수요가 많은 경우가 있음

    - 모든 수산물의 수입량은 2006~2011년 사이 41% 증가로 2배 가까이 늘었으며 2011년 신선, 냉장 또는 냉동 어류의 수입은 2006년에 수입된 어류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어분(fish meal, 魚粉)의 경우 2010년 수입량이 58톤에 비해 2011년 수입 558톤으로 10가까이 증가


.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1)    풍부한 해양 자원

2)    아라비아 해를 낀 긴 해변

3)    어업 노동자를 위한 정부 지원

4)    수산업 관련 공장

5)    다양한 어획 계절

6)    수산업 노동자 증가

7)    거북이 보호구역 존재

1)    금어기 규칙을 지키지 않는 어부들

2)    불충분한 해양 관측 인력

3)    불법 낚시 도구 사용

4)    다수의 외국인 노동자

5)    몇몇 공장 및 회사의 환경 오염

6)    남획

7)    수산업 종사자 교육 기관 부족

Opportunities

Threats

1)    Duqm 프로젝트를 통한 다양한 수산업 투자 계획

2)    VISION 2040 계획으로 수산업 비중 증가 전망

3)    타지역 대비 많은 취업 기회 제공

4)    수산업 종사자 교육 프로그램 제공

5)    양식장 개발

6)    수산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1)    잦은 해풍과 파도

2)    해산물에 대한 낮은 수요

3)    수산업 종사자와 정부간의 소통 부족

4)    정부의 직접적 지원 부족

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 VISION 2040 위원회, 무스카트 무역관 자료 종합


□ 유망 분야


  ㅇ 수산업 관련 공장 및 어항 주변 경제 활성화 전망

    - 두큼(Duqm) 경제 특구 프로젝트로 인하여 그 주변에서 어획한 수산물을 가공, 저장 및 유통할 수 있는 공장/회사 건설 수요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그 지역 노동자들을 위한 식당 및 거주 시설 등 필요할 것으로 예상


  ㅇ 수산업 온라인 플랫폼의 등장

    - 코로나19로 인해 수산 시장을 폐쇄함에 따라 오만 농수산부는 어류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3월 23일 ‘Behar Market’ 온라인 플랫폼을 가동

    - 정부 관계자는 "사람들의 군집을 피하기 위해 마련된 이 온라인 플랫폼은 구매자들이 원격 경매를 통해 알 풀라이즈(Al Fuliaj) 중앙 어시장에서 물고기를 살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힘

    - 수산업 온라인 플랫폼은 국내외 원격입찰과 이들의 판매를 위한 모든 종류의 물고기를 제공

    - 이 플랫폼은 어부로부터 시작하여 수산물 운송, 시장, 상점, 기업 또는 개별 소비자 또는 대량 소비자에게 지역 및 국제적으로 수산업 마케팅 분야에 진출하는 모든 부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Behar Market 웹사이트>

external_image

자료 : Behar Market


    - 이 플랫폼은 바르카(Barka) 등의 도매시장과 다른 수산 시장 등 오만의 25개의 수산물 하역 지점 등과 연결되어있음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플랫폼 수요 급증으로 이러한 서비스는 유망할 것으로 전망



자료 : 유엔식량농업기구, 세계은행, VISION 2040 위원회, 오만통계청(NCSI), Behar market, 현지 언론(Oman Observer, Times of Oman), 무스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오만 수산업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