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파키스탄 농약 시장 동향
  • 상품DB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민준호
  • 2024-11-25
  • 출처 : KOTRA

농업기반 경제로 제품 수요 계속 증대

시장 규모와 성장


파키스탄의 농업 부문은 국가 경제의 핵심 요소로서, 작물을 해충, 질병, 잡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농약에 의존하고 있다. 농약 산업은 식량 안보를 보장하고 작물 생산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규모는 2024 회계연도 기준으로 약 3억 4,559만 달러로 평가되며, 2029년까지 약 5억 755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파키스탄 농약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는데, 이는 농업 생산량의 증가, 해충 관리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 향상, 효과적인 신규 농약 제품의 도입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수요는 상당 부분 수입을 통해 충족되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유의미하게 증가하고 있다.


주요 유형별 농약
  • 제초제: 작물과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사용
  • 살충제: 작물에 피해를 주는 곤충을 퇴치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
  • 살균제: 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곰팡이성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역할
  • 선충제: 식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미세한 선충류를 통제하는 데 활용







시장 동향 및 특징

파키스탄 농약 시장에서 현지 제조업체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특정 활성 성분이나 특수 제형, 특히 신제품이나 틈새 시장에 해당하는 농약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파키스탄 환경 보호청(Pakistan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EPA)은 농약 산업을 규제하며 안전성, 품질, 환경 기준을 준수하도록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농약 시장은 농업 부문의 수요, 가격 책정, 경쟁, 기술 발전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농약의 사용은 수질 오염, 생물 다양성 손상, 농산물 내 농약 잔류 등과 같은 환경적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밀 농업 및 생물 농약(biopesticides)과 같은 신기술이 도입되어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줄이는 방향으로 산업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파키스탄은 농약의 수출입에 참여하며, 국제 무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시장 내에서 가짜 농약의 존재는 농민과 소비자에게 위험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지속 가능한 농약 제형 개발을 위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농약 안전성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요인들이 시장 동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파키스탄 농약 시장은 수입 농약과 국산 농약을 비교할 때, 혼합 시장 구조를 보인다. 이는 과점적 요소와 경쟁적 요소가 공존하는 시장 특성에 기인한다.


농약 시장 구조

파키스탄의 수입 농약 시장은 대형 다국적 기업이 지배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와 규모의 경제,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형성하고 있다.

  • 과점적 시장 구조: 수입 농약 시장은 소수의 대형 다국적 기업에 의해 주도되며, 이들 기업은 파키스탄 시장에서도 막대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높은 진입 장벽: 새로운 기업이 수입 농약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자본 투자, 복잡한 규제 절차, 지적 재산권 보호 등이 요구된다.
  • 가격 경직성: 과점 시장 구조로 인해 수입 농약의 가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경쟁이 제한적이다.


<파키스탄 농약 수입통계: HS 292429>

(단위: US$천, %)

원산지

 2021-22

 2022-23

 2023-24

증감률

수입 비중

중국

81,449

77,090

90,661

17.6

47.0

싱가포르

19,259

9,102

18,738

105.9

9.7

한국

13,177

17,561

15,692

-10.6

8.1

독일

22,314

17,284

15,117

-12.5

7.8

미국

21,224

10,661

7,118

-33.2

3.7

프랑스

3,921

3,185

5,300

66.4

2.7

일본

6,132

3,960

4,051

2.3

2.1

인도네시아

2,386

3,489

3,944

13.0

2.0

UAE

2,734

1,713

3,790

121.3

2.0

태국

1,225

1,535

3,116

103.0

1.6

기타

18,207

25,600

25,456

-0.6

13.2

총계

192,028

171,180

192,983

12.7

100.0

[자료: 파키스탄 통계청]


반면, 파키스탄의 로컬 농약 시장은 경쟁적인 구조를 보인다. 다수의 국내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높은 수준의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 경쟁적 시장 구조: 국산 농약 시장에서는 다수의 제조업체와 유통업체가 경쟁하며, 제품의 다양성과 가격 경쟁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진입 장벽: 국산 농약 시장의 진입 장벽은 수입 농약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중소기업의 참여가 활발하다.
  • 가격 경쟁: 국내 농약 제조업체는 가격 경쟁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의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다.

농약 등록 절차 

파키스탄에서의 농약 등록은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로, 농약의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잠재적 위험성을 분석하며,  국가 내 사용 적합성을 판단하는 일련의 단계로 구성된다.

단계

내용

1. 자료 제출

농약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 독성 자료(급성, 아급성, 만성), 환경 영향, 효능, 잔류물, 라벨링 및 포장 정보 제출

2. 초기 검토

관계부서 제출된 자료의 완전성과 적합성을 평가

3. 위험 평가

노출 평가, 위해 요소 식별, 위험 특성화 등의 절차를 통해 인간과 환경에 대한 잠재적 위험 평가

4. 잔류물 분석

처리된 작물 샘플을 분석하여 농약 잔류물 수준을 확인하고 허용 한도와 비교

5. 라벨링 및 포장 검토

농약 라벨과 포장이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는지 확인

6. 의사 결정

검토 결과, 위험 평가, 잔류물 분석, 라벨링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농약 등록 여부를 결정


이러한 절차는 농약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고, 파키스탄의 농업 및 환경 보호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경쟁동향 및 주요상품

파키스탄 농약 시장은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통합적인 해충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기업으로는 Syngenta, Bayer Crop Science, Dow AgroSciences, FMC Corporation, UPL Limited, Sumitomo Chemical 등이 있으며 향후 시장은 주요 기업들이 인수합병, 사업 확장, 파트너십, 신제품 출시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투자함에 따라 더욱 통합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새로운 성분을 포함한 제품 출시를 통해 작물 보호 화학 사업을 확장하고 다각화하는 경향이 두드러질 전망이다.

<주요 제품>

제품명

원산지

가격

제품 사진

(Isobian 500ml) Synegnta

중국

7.19

(Atlantas 100 gm) Bayer

미국

5.39

 


(Coragen 2X50ml)

FMC

독일

3.59

http://www.fmcpakistan.com.pk/assets/ProductPhoto/Coragen.png


(Minecto XTRA 80 ml)

Syengenta

한국

11.63

[자료: 무역관 시장조사]


바이어 인터뷰

카라치무역관은 파키스탄 농약 시장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논하기 위해 현지 주요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Jaffer Brothers Limited의 매니저인 오메르 바기아(Omer Baggia) 씨는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미래가 농업 기술 혁신 및 환경 안전성 강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긍정적이라고 평가하였다. 바기아 씨는 자사에서도 농민들과 협력하여 스마트 농업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학물질의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사용을 도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파키스탄이 타국과 협력하여 해충 방제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가 크며, 특히 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농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그는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긍정적 전망에 대해 네 가지 주요 요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새로운 농업 기술의 도입과 혁신이 농업 생산성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지속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환경친화적 농업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셋째, 정부의 지원 정책이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농업 시장의 수요 증가는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라 전망하였다.

카라치에서 농약과 살충제의 수입 및 유통을 담당하는 Shadab Chemicals의 무함마드 알리(Muhammad Ali) 이사와의 인터뷰에서도 유사한 분석이 제시되었다. 알리 씨는 파키스탄이 농업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로서 농약 시장이 중요한 부문이며, 이 시장이 국내 생산, 수입, 규제 체계, 시장 동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그는 파키스탄 내에서 다양한 농약 제품을 생산하는 국내 제조업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활성 성분 및 특수 제형의 경우 수입에 의존한다고 지적하였다. 알리 씨는 파키스탄 농약 산업의 미래를 밝게 평가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으로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농산물 수요 증가, 농약 제형 및 사용 기술의 발전, 효율적이고 표적화된 농약 사용의 가능성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가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을 장려하기 위해 친환경 농약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산업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따라서, 파키스탄 농약 시장은 환경적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대, 정부의 지원 정책, 신기술 도입, 글로벌 수요 증가 등의 요인에 의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된다.

우리기업을 위한 시사점

한국 기업이 파키스탄 농약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첫째, 파키스탄 내 현지 에이전트를 임명하거나 지사를 설립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은 현지의 관련 기관에 제품을 등록하고, 법적 절차를 준수하는 동시에 시장 진입 과정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둘째, 파키스탄 농업 시장에서 높은 수요가 있는 곡물, 시리얼, 과일 부문을 주요 타겟으로 설정하여, 해당 부문을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적절한 고객층과 지역을 공략해야 한다. 이는 현지 시장에서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고, 판매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파키스탄 시장의 진입 가능성을 탐색하는 초기 단계에서 한국 기업은 현지 시장을 직접 방문하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현지의 주요 시장 관계자들과 회의를 통해 파키스탄 농약 시장의 현황과 진입 방안을 논의하고, 시장 구조와 진입 장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넷째, 농약 연구개발(R&D) 분야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은 파키스탄 현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파키스탄 시장에 적합한 신제품을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지 시장에 맞춤형 제품을 공급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기업은 파키스탄 농약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현지 법규 준수, 타겟 시장 선정, 시장 탐방 및 파트너십을 통한 신제품 개발 등 다각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은 파키스탄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정착과 성장을 위한 필수적인 기반이 될 것이다.

자료원: FOUR Brothers, Pakistan Crop Protection Agency, Pakistan Credit Rating Agency, Jaffer Brothers, Modor Intelligence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농약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