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콩 맥주 시장 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Nessa Wong
- 2024-07-10
- 출처 : KOTRA
-
2023년 홍콩 맥주 시장 규모 10억1600 미 달러, 한국이 홍콩의 2대 수입국
18년 연속 전체 주류 소비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온 맥주
신선하고 독특한 맛을 내는 수제 맥주가 인기를 끌어
상품명 및 HS Code
맥주의 HS 코드는 220300이다.시장 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홍콩 맥주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2.3% 증가한 10억1600 미 달러를 기록했다. 홍콩 맥주 시장은 2024년부터 연평균 3%의 증가율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에는 11억7700만 미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 맥주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백만)
*환율: 1 USD = 7.8 HKD
[자료: Euromonitor, ‘Beer in Hong Kong’ (2024년 6월)’]홍콩 위생서의 주류 소비량 조사에 따르면, 맥주는 2022년 기준 홍콩 전체 주류 소비량(약 1510만ℓ)의 44%인 662만ℓ를 차지한 가장 선호되는 주류로서 증류주(32%), 와인(24%)을 제치고 18년간 소비량 1위를 차지하였다.
<2018~2022년 홍콩 내 주류별 소비량>
(단위: 1000ℓ, %)
연도/
종류
2018
2019
2020
2021
2022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소비량
비중
맥주
8,003.9
42.6
7,277.1
43.8
7,149.4
44.0
7,076.4
45.1
6,624.3
43.9
와인
4,672.0
24.9
4,057.6
24.4
3,789.7
23.3
3,888.6
24.8
3,621.0
24.0
증류주
6,096.7
32.5
5,269.1
31.7
5,324.7
32.7
4,718.7
30.1
4,836.8
32.1
전체
18,772.7
100
16,603.7
100
16,263.7
100
15,683.7
100
15,082.1
100
[자료: 위생서(Department of Health)]
최근 정교하고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수제 맥주(Craft Beer)가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선호됨에 따라, 홍콩 비어(Hong Kong Beer Co., 香港啤酒), 영 마스터(Young Master, 少爺啤酒), 라이언 락 브루어리(Lion Rock Brewery, 獅子山啤)와 같은 홍콩 수제 맥주 브랜드들에서도 독특한 맛을 내는 맥주를 출시하고 있다.
2013년에 설립된 영 마스터는 홍콩에서 가장 큰 맥주 양조장을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로 소금에 절인 청귤 맥주(鹹檸啤)를 시그니처 제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 제품은 독일의 사워 비어를 개량해 만든 수제 맥주로, 홍콩 차찬텡(茶餐廳)에서 즐길 수 있는 음료인 ‘소금에 절인 청귤 사이다(鹹檸七)’와 유사한 맛을 낸다. 신선하면서도 홍콩만의 요소가 담긴 수제 맥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한편, 홍콩 비어는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수제 맥주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홍콩 비어는 빅웨이브 베이(Big Wave Bay), 드래곤스 백(Dragon’s Back), 더 피크(The Peak), 해피 밸리(Happy Valley) 등 홍콩의 실제 지역명을 테마로 한 수제 맥주를 출시해 현지 소비자는 물론 관광객들로부터 인기를 얻었다.<홍콩의 특색이 담긴 현지 수제 맥주>
Young Master(少爺啤酒) 사의
소금에 절인 청귤 맥주(鹹檸啤)
Hong Kong Beer Co. 사의
홍콩 지역명 테마의 맥주
[자료: Young Master, Hong Kong Beer Co.]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3년 홍콩의 맥주(HS 220300) 품목 전체 수입 규모는 약 1억2870만 미 달러로, 전년 대비 12% 상승했다. 주요 수입국 가운데 중국 본토가 5581만 미 달러의 수입액으로 전체 수입액의 43.4%를 차치해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30.8%)과 일본(7%)이 그 뒤를 이었다. 2022년 대비 2023년에는 일본의 수입액 증가율이 37.2%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 본토(+30.7%)와 한국(+20.9%) 역시 전년 대비 큰 폭의 수입액 증가율을 보였다.<최근 3년간 홍콩 맥주 수입 동향(HS Code 22030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시장
점유율
(2023년)
증감률
2021년
2022년
2023년
전체
114,922
114,930
128,737
100
12.0
1
중국 본토
34,699
42,708
55,813
43.4
30.7
2
한국
32,804
32,799
39,641
30.8
20.9
3
일본
6,585
6,551
8,986
7.0
37.2
4
아일랜드
5,052
6,296
4,641
3.6
-26.3
5
베트남
5,841
3,657
2,767
2.1
-24.3
6
독일
1,844
2,495
2,354
1.8
-5.6
7
태국
2,214
1,848
1,992
1.5
7.8
8
말레이시아
6,340
5,061
1,640
1.3
-67.6
9
싱가포르
2,008
1,545
1,631
1.3
5.5
10
네덜란드
5,524
2,881
1,543
1.2
-46.4
*주: 증감률은 2022년 대비 2023년 증감률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7.2.]
홍콩에서 가장 인기있는 라거 맥주인 Blue Girl*이 한국에서 생산돼 홍콩으로 수입되고 있다는 점이 한국으로부터의 맥주 수입액이 높은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주: 1906년 Blue Girl 맥주 브랜드를 인수한 홍콩의 젭슨 그룹(Jebsen Group)은 한국의 오비맥주에 ODM 방식으로 Blue Girl 맥주 생산을 위탁하고 있음
경쟁 동향
홍콩 맥주 시장에는 홍콩, 덴마크, 중국 본토, 일본, 네덜란드, 한국 등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 맥주가 유통되고 있다. 소비자 편의를 위해 다양한 용량으로 개별 포장되어 판매되는 경우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홍콩 내 유통되고 있는 맥주 브랜드>브랜드
국가/지역
제품 이미지
가격
용량
Blue girl
홍콩
$27.9
640ml
Carlsberg
덴마크
$33.9
500ml/4캔
Blue Ice
홍콩
$53.9
330ml/12캔
Tsingtao
중국
$45.9
330ml/6캔
Heineken
네덜란드
$84.9
330ml/12캔
Asahi Super Dry
일본
$65
350ml/6캔
Stella Artois
벨기에
$62
500ml/4캔
Hite
한국
$27.9
500ml/4캔
Terra
한국
$49.9
500ml/6캔
Cass
한국
$50
355ml/6캔
[자료: ParknShop, HKTVmall]
유통 구조
Statista에 따르면, 2023년 홍콩의 맥주 시장에서는 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가 96.8%로,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3.2%)보다 훨씬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오프라인 유통 채널로는 Wellcome, ParknShop, City Super 등 슈퍼마켓과 세븐일레븐, Circle K 등과 같은 편의점이 있다. 2020년 온라인 채널의 점유율은 2.6%로 증가했으며,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27년에는 4.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홍콩의 맥주 온·오프라인 판매 비중>
(단위: %)
[자료: Statista]
관세율 및 인증
ㅇ 관세율: 도수에 따라 상이함
주류의 경우, 섭씨 20도 이하에서 알코올 함량 30% 이상인 주류에 대해 100%의 관세가 부과되며, 알코올 함량 30% 미만인 주류 또는 와인의 경우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ㅇ 인증: 필수 인증 없음
맥주는 일반 소비재로 분류되어 수입 및 판매 전 자체 안전 점검을 의무화하는 규정이 없다. ‘식품 및 의약품(성분 및 라벨)규제’(Cap. 132W Food and Drugs (Composition and Labelling) Regulations)에 따라 사전 포장된 식료품의 경우 필수적으로 표시해야 할 7가지 정보 및 성분 표시 항목이 규정되어 있으나, 알코올 함량이 1.2~10%인 주류의 경우 제외 대상이다.
시사점
2023년 홍콩의 맥주(HS 220300) 수입 규모는 약 1억2870만 미 달러로, 중국 본토에 이어 한국은 전체 수입액의 30.8%를 차지하는 2대 수입국에 속한다. 홍콩은 30도 미만의 주류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며,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모이는 관광지인만큼 전세계 애주가들을 대상으로 특색 있는 맥주를 테스트해볼 수 있는 매력적인 시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오는 11월 7~9일 홍콩전시컨벤션센터(HKCEC)에서 제16회 Hong Kong International Wine & Spirits Fair 전시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17개국 512개 기업이 부스 참가한 전년도 International Wine & Spirits Fair 전시회는 49개국의 7000여 명의 바이어와 9000명의 애주가들이 참관하며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홍콩 진출에 관심있는 우리 기업은 전시회 참관을 통해 최신 맥주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고 글로벌 주류 바이어들을 발굴하는 등 진출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위생서(Department of Health), Young Master, Hong Kong Beer Co., Global Trade Atlas, ParknShop, HKTVmall, Statista,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맥주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AI4BELGIUM 전략에 따라 발전하고 있는 벨기에 AI 생태계
벨기에 2024-09-04
-
2
홍콩 무알코올 음료 시장동향
홍콩 2024-06-25
-
3
이집트, 연속혈당측정기로 수요 전환을 주목하라
이집트 2024-10-24
-
4
2024년 하반기 중국 소비 트렌드 세 가지
중국 2024-09-25
-
5
싱가포르 신선 포도 시장 동향
싱가포르 2024-10-07
-
6
과테말라에서 확산 중인 한국 소비재의 인기
과테말라 2024-11-05
-
1
2025년 홍콩 물류산업 정보
홍콩 2025-06-16
-
2
2025년 홍콩 바이오테크 및 보건용 의료기기 산업 정보
홍콩 2025-05-20
-
3
2025년 홍콩 선박 MRO 산업 정보
홍콩 2025-03-20
-
4
2024년 홍콩 화장품 산업 정보
홍콩 2024-10-30
-
5
2024년 홍콩 MICE 산업 정보
홍콩 2024-02-21
-
6
2023년 홍콩 산업 개관
홍콩 2023-06-0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