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나만의 향'으로 개성 표현! 대만 향수 소비 트렌드
  • 트렌드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심은진
  • 2025-01-24
  • 출처 : KOTRA

엔데믹 접어들며 10억 대만 달러 ‘껑충’

개인의 개성을 드러내는 ‘니치 향수’ 선호

향수 시장 규모

 

Statista의 글로벌 시장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향수 시장 규모는 5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대만의 향수 시장 역시 세계 시장과 함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대만의 향수 시장 성장률은 2022년 4.4%에서 2023년 17.7%로 크게 상승하며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2024년 대만의 향수 시장 판매액은 78억3100만 대만 달러(약 3435억4597만 원)를 기록하며 향수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 환율: 1TWD=44KRW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대만 향수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대만 달러)

[자료: 유로모니터, ‘Fragrances in Taiwan’ (2024.4)]

* 환율: 1USD=33TWD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2023년 전체 향수 품목 중 프리미엄 향수가 가장 높은 판매액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18% 증가한 68억 대만 달러(약 2983억1600만 원)를 달성했다. 전반적으로 모든 향수 품목의 판매액이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프리미엄 여성 향수가 시장 성장을 주도했다. 유로모니터는 이러한 향수 판매 증가에 대해 COVID-19 이후 사회 활동이 재개되면서 소비자들이 자신감을 높이고 기분 전환을 위해 향수를 더 자주 구매하고 사용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소비자들이 향수를 통해 자신의 개성과 매력을 표현하려는 경향을 보인 점도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 환율: 1TWD=44KRW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2023년 대만 향수 품목별 판매액>

(단위: 백만 대만 달러)

 

2021

2022

2023

프리미엄

(Premium)

남성 향수

920.6

943.2

1,107.3

여성 향수

2,510.4

2,639.1

3,147.6

젠더리스 향수

1,312.6

1,365.1

1,609.7

향수 세트

742.7

780.4

897.2

매스

(Mass)

남성 향수

103.6

105.5

114.1

여성 향수

354.5

372.9

405.2

젠더리스 향수

-

-

-

향수 세트

110.3

116.9

123.5

전체

6,054.6

6,323.2

7,404.6

[자료: 유로모니터, ‘Fragrances in Taiwan’ (2024.4)]

* 환율: 1USD=33TWD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향수 수입 현황

 

최근 3년간(2022~2024년) 대만의 향수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프랑스가 가장 큰 수입국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스페인, 이탈리아, 영국, 미국이 잇고 있다. 프랑스는 매년 수입국 순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7% 감소했다. 한국의 2024년 수입액은 187만2천 달러로 2022년 275만8천 달러를 웃돌았던 것이 줄어들긴 했으나 10년 전 대비 약 277%가 증가하고 7위권에 진입했다. 대만 향수 수입 시장은 상위 5개국이 전체 시장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수 수입 현황(HS code 3303.30)>

(단위: 천 달러, %)

 

2022

2023

2024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수입액

비중

1

프랑스

78,425

55.2

92,729

56.4

86,567

57.8

2

스페인

7,460

5.2

11,667

7.1

13,683

9.1

3

이탈리아

12,479

8.8

15,816

9.6

13,042

8.7

4

영국

14,276

10.0

15,223

9.3

12,115

8.1

5

미국

12,196

8.6

11,828

7.2

9,384

6.3

6

오스트레일리아

4,903

3.4

3,401

2.1

3,699

2.5

7

한국

2,758

1.9

1,725

1.1

1,872

1.3

전체

142,138

 

164,203

 

149,663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향수 판매 동향

 

뷰티 관련 제품의 리뷰와 랭킹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Cosme Taiwan은 실제 사용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대만의 젊은 층이 주로 이용하는 이 플랫폼에서 '2025년 향수 네티즌 추천 순위 Top 10'을 조회한 결과, CHANEL, DIOR, LANCÔME과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들 제품은 100ml 기준 4000~7000대만 달러(약 17만5240원~30만6600원)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용량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7위와 8위를 차지한 Aesop과 JO MALONE은 프리미엄 니치 향수 브랜드로, 주로 소용량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 주: '틈새'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니치(nicchia)에서 파생된 말로, 극소수의 성향을 위한 프리미엄 향수를 말한다.

* 환율: 1TWD=44KRW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향수 판매현황>

순위

브랜드

제품 이미지

제품 가격 및 용량

1

CHANEL

CHANCE

50/100ml

4000/5750 대만 달러

2

DIOR

Miss Dior

30/50/100ml

3000/4360/6270 대만 달러

3

LANCÔME

IDÔLE

 

25/50/100ml

1800/3150/4500 대만 달러

 

4

VALENTINO BEAUTY

GREEN STRAVAGANZA DONNA

10/30/50/100ml

1100/2650/3900/5600 대만 달러

5

Elizabeth Arden

White tea

30/50/100ml

1000/1900/2100 대만 달러

6

CHANEL

CHANCE

35/50/100/150ml

3450/4500/6400/8080 대만 달러

7

Aesop

Tacit

50ml

3500 대만 달러

8

JO MALONE

BLACKBERRY &

BAY COLOGNE

30ml

2100 대만 달러

9

DIOR

J‘ADORE

50/100ml

4500/6450 대만 달러

10

SISLEY

Izia

30/50/100ml

3200/4500/7000 대만 달러

* 환율: 1TWD=44KRW (2025.1월 하나은행 평균환율 기준)

[자료: @Cosme Taiwan]

 


향수 소비 트렌드 분석

 

대만 코스메틱 마케팅 연구기관 CMRI에 따르면, 2024년 동절기 향수 및 향기 제품에 대한 관심도는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신제품 출시 증가율(△72%)이 전체 화장품 시장의 높은 수요를 견인했다. 향 측면에서는 우디 계열과 은은한 플로럴 향이 가미된 우디 계열이 많은 주목을 받으며 향수 시장의 수요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대만 동절기 화장품 소비자 관심도>

(단위: 최댓값 기준 100)

[자료: CMRI, ‘Analysis of 2024 Winter Beauty New Arrivals’ (24.12)]

 

<대만 동절기 화장품 신제품 수량>

(단위: 최댓값 기준 100)

[자료: CMRI, ‘Analysis of 2024 Winter Beauty New Arrivals’ (24.12)]

 

대만의 향료 제품 전문 업체 아로마 바이오켐(Aroma Biochem)이 발표한 '2023년 향수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 소비자들이 개인적 취향과 개성 표현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중적인 향수를 제공하는 대형 브랜드보다 소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독창적인 향을 선보이는 니치 향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트렌드에 맞춰 대형 브랜드들도 니치 시장에서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대만 향수 산업 발전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대만 백화점 ‘성품생활(誠品生活)’에 판매 중인 니치 향수 매장 전경>

[자료: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직접 촬영]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대만 소비자들은 향수의 성별 구분과 관계없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이 젠더리스 향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전통적인 성별 구분을 넘어 새로운 향수를 시도하는 데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비건 뷰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비건 성분을 사용하고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향수를 선택하는 소비자가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대만 니치 향수 전문 대리점 ‘10x’ 매장 전경 및 젠더리스 향수 브랜드’ BTSO’>

[자료: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직접 촬영]

 


시사점

 

대만의 향수 시장은 전 품목에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빠르게 성장하는 향수 시장에서 니치 향수 브랜드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니치 향수 브랜드를 주로 대리 판매하고 있는 10X 관계자는 KOTRA 타이베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대만 소비자들은 주로 우디 계열의 향수를 선호하며, 유명 브랜드의 대중적인 제품보다는 더 독특하고 취향을 드러낼 수 있는 니치 향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에는 매장에서 미식향(美食香)을 주제로 전시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쌀밥, 피스타치오, 꿀, 캐러멜, 체리, 우유, 럼주 등의 향으로 조합된 향수는 유통기한이 있는 '음식'이 향기를 통해 영구적인 '기억'으로 변환되는 개인화된 향기와 독창성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장에서 유일한 한국 브랜드인 '본투스탠드아웃(BTSO)'의 쌀을 메인 향으로 조합한 샌들우드 향의 'DIRTY RICE' 제품이 가장 인기가 많다”라고 덧붙였다. 관계자는 “대만에서도 향수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향수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다만 향수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차별화된 개인화 제품이 더욱 큰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향수는 자신이 좋아하는 옷을 입는 것과 같다. 향수를 통해 개인의 개성을 드러내는 것이 최근 트렌드”라고 전했다.


니치 향수가 대중 시장에서 점차 주류로 자리 잡으면서, 향수는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매개체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특정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했던 니치 향수가 점차 대중 시장으로 확대되며, 향수 시장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Statista, 유로모니터,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Cosme Taiwan, CMRI, 업체 홈페이지,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나만의 향'으로 개성 표현! 대만 향수 소비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