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크고 저렴해지는 ‘엔터테인먼트 허브’, 미국 대형 TV 인기 추세
- 트렌드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Chris Kim
- 2024-11-18
- 출처 : KOTRA
-
2019년 출고가 9만9000달러였던 삼성 98인치 TV, 2024년엔 4만 달러
미국 전문가들, “TV 교체 시기 왔다”
최근 몇 년간 미국 내 대형 TV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때 고소득층의 전유물이었던 대형 스크린이 이제는 많은 가정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기술 발전으로 대형 TV가 점점 더 저렴해지고, 소비자들의 대형 스크린에 대한 선호가 강해져 제품 수요가 높아진 결과로 분석된다.
대형 스크린은 영화 애호가, 게이머, 스포츠 팬들에게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OTT 스트리밍 서비스와 UHD 콘텐츠의 확산으로 시청자들은 더 선명하고 생생한 화질을 원하게 되었으며, 팬데믹 이후 확산된 집에서 여가를 즐기는 문화 역시 대형 TV의 매력을 더욱 부각하는 요소다. 대다수의 가전제품 브랜드에서 스마트 TV가 TV제품군의 기본 사양이 되면서 대형 TV는 스트리밍, 소셜 미디어, 화상 통화 등을 한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자리 잡았다.
<홈 시어터 예시>
[자료:언스플래시]
치열한 경쟁 속 저렴해지는 대형 TV
미국 가전 시장에서 TV부문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삼성, LG, 소니와 같은 전통적인 글로벌 브랜드들은 물론, TCL과 하이센스와 같은 중국의 신흥 기업들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경쟁이 가속화됐다. 이들은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 TV를 제공하려는 노력 속에서 최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있다. 또한, Fire TV와 같은 브랜드가 등장하면서 시장에 더 많은 변화를 일으켰다. Fire TV는 스마트 TV 기능을 저렴하게 제공하여 가격을 낮추고,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지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아마존은 자체적으로 TV를 제조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매우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다. 아마존의 이런 전략은 고객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은 TV 제조업체들이 가격을 더욱 합리적으로 유지하면서 품질과 기술 혁신을 추구하게 만들고 있다. 그 결과, 대형 TV의 생산 비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소비자들은 더 높은 품질의 TV를 보다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베스트 바이(Best Buy) 내 판매되는 98인치 TV가격 현황>
[자료: Best Buy 화면 캡쳐]
미국 시장 조사기관 Circana에 따르면, 2024년 현재 기준 97인치 이상 대형TV의 평균 가격은 3113달러로 작년의 6662달러에 비해 크게 내려갔다. 특히 삼성은 2019년에 9만9000달러라는 비싼 가격표를 달고 첫 98인치 대형 TV를 출시한 바 있지만, 현재는 사양에 따라 4000달러부터 시작하는 네 가지 버전을 출시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
대형 TV의 가격 하락에는 기술 발전과 시장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 LCD와 OLED 기술은 초기 평면 TV에서 사용된 플라즈마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며 발전해왔다. 플라즈마 TV는 높은 비용과 화면 번인(Brun-in) 문제로 한계가 있었지만, LCD와 OLED 기술은 내구성과 화질을 개선하고 생산 비용을 낮췄다. 특히 LED 백라이트 LCD 패널의 개발로 더 얇고 에너지 효율적인 스크린 제작이 가능해졌고, OLED는 깊은 명암비와 뛰어난 색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을 유지하며 화질을 한층 향상시켰다.
또한, 수요 증가로 TV 제조업체들은 대형 스크린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했다. 공정이 효율화되고 생산 과정에서 낭비가 줄어들면서 개당 생산 비용이 낮아졌고, 이는 결국 소비자들에게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미국의 가장 큰 전자제품 소매업체인 베스트바이(Best Buy)는 최근 고객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미국 내 전체 매장의 약 70%에 달하는 660개 가량의 매장에 XXL TV (90인치 이상) 모델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소비자 행동 패턴의 변화와 교체 주기 도래
TV 시장의 주 모델이 대형 TV로 변화하게 된 데에는 소비자 행동 패턴의 변화 역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팬데믹 이후 가정 내에서의 콘텐츠 소비가 증가하면서 시청자들은 더 큰 화면과 고화질 디스플레이를 선호하게 되었다. 홈 시어터, 게임 세팅, 스트리밍 서비스의 인기가 이 추세를 강화하며, 소비자들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찾고 있다. 또한, 현대적인 거주지 디자인이 오픈 플랜 구조로 변화한 것도 이러한 트렌드에 영향을 미쳤다. 거실, 주방, 부엌 등 각 공간을 벽이나 문 없이 하나로 연결해 개방감을 주는 오픈 플랜 구조가 대형 화면에 잘 맞아, 작은 화면이 어울리지 않게 되어 소비자들이 더 큰 화면을 선호하도록 만들고 있다.
초대형 TV를 뜻하는 일명 ‘XXL TV’의 최근 성장 추세는 팬데믹 이 시작된 4년 전, 당시만 해도 초대형 TV로 여겨졌던 65인치 모델의 빠른 보급 양상과 유사하다. 팬데믹 기간 동안 집에 갇혀 있던 많은 사람들이 더 큰 화면과 향상된 화질을 경험하기 위해 TV를 업그레이드했다. 그러나 이제 4년 된 TV가 구식으로 느껴지기 시작하면서, XXL TV는 더 큰 화면과 개선된 화질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업그레이드 옵션이 되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Circana의 소비자 기술 담당 부사장인 Paul Gagnon는 "초대형 TV의 강력한 성장 추세는 2018년에서 2020년 사이 65인치 TV 판매 증가 양상과 일치하며, 소비자들이 그로부터 5~6년이 지난 후 교체하기 시작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시장 조사 기관인 PIERS 역시 지난 5월, 팬데믹 당시 대대적으로 교체됐던 전자제품의 교체 주기가 도달함에 따라 2024년 이후 지난 2년간 침체를 보였던 미국의 전자제품 수입이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2023년 4월~2024년 3월 월별 미국 전자 제품 수입 컨테이너 변화>
(단위: TEU, %)
[자료: PIERS, S&P Global]
미래전망 및 시사점
미국 내 소매 가격이 계속해서 하락함에 따라 가정 내 TV 크기는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이 인터뷰한 현지 전자제품 소매업체 관계자 A는 “더 큰 화면에 대한 수요가 롤러블(Rollable) 디스플레이나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스크린 같은 유연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까지 이끌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아직까지 이러한 기술은 고급 제품이라 유통이 많지 않지만,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를 따라가면 일반 소비자들도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롤러블이나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아직 한정된 유통망을 가지고 있지만, 향후 대형 TV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이 가정 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더욱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볼 수 있다. 또한, 8K 콘텐츠의 증가로 더 큰 화면과 높은 해상도가 필요해질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합리적인 가격대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대형 TV의 인기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 영화관처럼 집에서 즐길 수 있는 경험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에게 가능해질 것이다
자료: CNN, AP News, Circana, Best Buy, Sure Innovations, Amazon, PIERS,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더 크고 저렴해지는 ‘엔터테인먼트 허브’, 미국 대형 TV 인기 추세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멕시코 변압기 시장동향
멕시코 2024-11-18
-
2
미국 '틱톡 샵', Gen Z를 위한 새로운 쇼핑 경험
미국 2024-11-20
-
3
2024 K-뷰티 엑스포 베트남으로 본 화장품 트렌드
베트남 2024-11-18
-
4
베트남 타이어 산업의 미래는?
베트남 2024-11-18
-
5
2024년 말레이시아 식품 수출, 우리 기업 최다 빈출 문의 VOC 총정리
말레이시아 2024-11-18
-
6
독일 축전지 시장 동향
독일 2024-11-19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