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냐 정부의 디지털 전환 어디까지 왔나?
- 트렌드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진상현
- 2024-09-12
- 출처 : KOTRA
-
케냐의 전자 정부는 e-Citizen, 후두마(Huduma) 센터를 중심으로 발전 중
사이버 보안, 시스템 불안 등 당면 이슈 해소 필요
케냐는 아프리카 내에서 전자정부(E-Government)를 선도하는 국가로 손꼽힌다. 2004년 케냐 정부는 전자정부 로드맵을 발표하고 관련 정책을 제정했다. 이후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 왔다. 케냐 전자정부의 대표적인 서비스는 우리나라의 정부24와 유사한 e-Citizen과 후두마(Huduma) 센터(주민센터)이다. 두 개의 핵심 서비스를 통해 모바일 접근성 강화, 디지털 신분증 도입 등 많은 성과를 이뤘지만, 여전히 사이버 보안 문제와 시스템 안정성 향상과 같은 과제가 남아 있다.
전자정부 등장 배경
케냐도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와 마찬가지로 1990년대 말부터 공공 서비스의 비효율, 관료주의, 절차의 복잡성 등으로 국민 불만이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2000년 초, ICT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화가 촉진, 점차 전자정부가 확대됨에 따라, 케냐 정부도 공공 서비스 효율성 개선, 부패 방지를 위해 전자정부 도입을 추진했다. 세계은행(World Bank),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 또한 기술·재정적 지원으로 케냐의 전자정부 구축을 지원했다.
2008년, 케냐는 ICT 기술을 통해 중진국으로 도약하려는 국가 계획(Vision 2030)의 일환으로 전자정부 도입을 가속했다.
케냐의 전자정부 관련 정책
케냐는 2004년, Kenya E-Government Strategy를 제정하면서 전자정부 도입을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 이후 2008년 Kenya Vision 2030을 발표, 전자정부를 포함한 공공 서비스의 전면적인 개혁을 추진했다.
정부는 2010년 중반부터 Kenya Digital Economy Blueprint(2019), National Digital Master Plan 2022-2030 (2022) 등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계획과 세부 목표를 설정해, 전자정부 프로젝트는 추진력을 얻게 됐다.
<케냐의 전자정부 관련 주요 정책>
정책(발표)
시기
주요 내용
Kenya E-Government Strategy
(ICT부)
2004
· 전자정부 인프라 구축
· 업무 디지털화, 부처 간 정보 공유 시스템 마련
· 접근성 향상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개발
2015
(개정)
· 모바일 정부 서비스 확대
· 정부 데이터 중앙집중화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데이터 관리 및 보안 강화
· 정부 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위한 오픈 데이터 이니셔티브 추진
· 후두마(Huduma) 센터를 통한 통합 서비스 제공
Kenya Vision 2030 - Public Service Transformation Strategy (재무부)
2008
· 공공 서비스 현대화
· 전자정부 시스템을 통한 운영 투명성, 책임 강화
· 디지털 인프라 및 기술 개발, 디지털 산업 육성
Kenya Digital Economy Blueprint
(ICT부)
2019
· 디지털/ICT 인프라 확충
· 디지털 리터런시 교육 프로그램 확대
· 전자정부 서비스 확대 및 강화
· 신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혁신 촉진
· 스타트업 및 혁신 기업 지원 확대
National Digital Master Plan 2022-2030
(ICT부)
2022
· ICT 인프라 확장(광대역 인터넷, 5G 네트워크)
· 전자정부 서비스의 확대 및 개선
· 디지털 기술 격차 완화 및 접근성 향상
· 사이버 보안 강화
HUDUMA Kenya Digitization Plan
(공공서비스부)
2023
· 서비스 디지털화 추진
· 디지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제공
· 디지털 신원 인증 시스템 도입
[자료: 각 정책 보고서,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종합]
전자정부 관련 프로젝트
케냐는 전자정부로의 전환과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한 ICT 인프라 확장, 공공 서비스 디지털화, 국민의 ICT 접근성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경제, 전자정부를 활성화하고, 아프리카의 디지털 리더 지위를 굳건히 할 계획이다.
케냐 디지털 초고속망 프로젝트 (Kenya Digital Superhighway Project)
케냐 디지털 초고속망 프로젝트(Kenya Digital Superhighway Project)는 전 국토에 광섬유 네트워크를 확장해 ICT 인프라 강화, 정부 서비스 디지털화 촉진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다. 이 프로젝트는 Kenya Vision 2030, National Digital Master Plan 2022-2030의 일환으로, 미국의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등 여러 파트너의 자금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국민, 특히 농촌 등 인프라 사각지대 거주자의 정부 서비스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서비스 디지털화를 통해 운영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일례로 정부는 2023년 6월까지 5000개 이상의 정부 서비스를 자동화해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하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케냐 디지털 경제 가속화 프로젝트 (Kenya Digital Economy Acceleration Project)
케냐 디지털 경제 가속화 프로젝트는 세계은행(World Bank)의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프로젝트로 디지털 인프라 및 전자정부 서비스 개선을 위한 계획이다.
전자정부 서비스 개선 및 디지털 인프라 확충 관련 연구와 컨설팅 등을 포괄하고 있으며, 디지털화 촉진이 주요 목표다.
케냐 전자정부 현황
2022년 UN의 전자정부개발지수(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EGDI)에 따르면, 케냐는 113위로 탄자니아(153위), 우간다(144위), 르완다(119위) 대비 동아프리카 국가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 참고: 1위 덴마크, 2위 핀란드, 3위 한국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순위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전자정부 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신뢰도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컨설팅회사 Dalberg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M-Pesa 등 디지털 송금 서비스 이용률은 93%에 달했지만, 전자정부 이용률은 27%에 불과했다. 세부적으로 절반 이하(49%)의 응답자가 전자정부 서비스나 플랫폼에 대해 알고 있다고 했으며, 이 중의 55%가 해당 서비스를 사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서비스를 이용해 본 응답자의 81%가 디지털 프로세스에 대한 도움을 받기 위해 후두마(Huduma) 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핵심 서비스
대표적인 케냐의 전자정부 서비스는 우리나라의 정부24와 유사한 e-Citizen, 후두마(Huduma) 센터(주민센터)다. 이 두 서비스는 공공 서비스 접근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e-Citizen
e-Citizen은 전자정부 포털로, 2014년 도입, 2023년 6월 30일부로 서비스가 대폭 확장됐다. 2024년 5월 기준, 1만6000여 개의 정부 서비스가 디지털로 전환됐으며, 약 1300만 명이 e-Citizen 플랫폼을 이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여권 신청, 운전면허 갱신, 사업자 등록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정부 서비스의 99.9%를 디지털로 전환하고 80%의 정부 서비스를 자동화할 계획이다.
<e-Citizen 상위 10개 서비스>
[자료: KBC]
후두마(Huduma) 센터
현재 케냐 47개 주에서 53개소 운영 중이며, 45개 부처의 128개의 서비스를 한 곳에서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하루 평균 6만 명이 방문해 정부 문서 발급, 세금 납부, 사회복지 혜택 신청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정부는 교외 및 농촌 지역 거주민의 서비스 이용률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동식 센터와 키오스크 보급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동식 센터 및 키오스크 예상도>
[자료: HUDUMA Kenya Digitization Plan]
이슈/키워드
· (모바일화) 전자정부 서비스의 모바일화가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케냐 통신청(CA, Communications Authority of Keny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스마트폰 보급률은 84.3%로,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정부는 Gava Mkononi(모바일 e-Citizen), Gava Express(모바일 후두마 센터) 등 앱을 개발해 스마트폰을 통해 공공서비스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 (디지털 신분증) 케냐는 최근 ‘마이샤 남바(Maisha Namba)’라는 새로운 신분증(2023), 스마트 운전면허증(2018)을 도입했다. 신규 도입된 디지털 신분증에는 개인 신상 정보가 기록된 전자 칩이 내장돼, 서비스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디지털 신분증 발급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향후 5년 내에 모두 디지털 신분증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 (사이버공격) 전자정부 시스템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늘고 있다. 특히 2023년 7월 ‘Anonymous Sudan’으로부터 대규모 사이버공격을 받아 e-Citizen 등 주요 디지털 서비스가 마비되기도 했다. 정부는 사이버 보안 강화 법안과 보안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 사이버 보안 역량을 향상시키고, 관련 시스템에 대한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수요층 및 신규 수요
현재로서는 디지털 기술에 익숙한 청년 세대가 전자정부의 주요 수요다. 정부는 지역, 계층 간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 거주자 및 소외계층의 수요는 점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체 스마트폰 제조를 통해 구매 가격을 낮추고 스마트폰 보급을 확대하고 있어, 더욱 많은 국민이 전자정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아울러,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확대로 청년 세대는 신규 수요층에 전자정부 업무 대행 서비스를 제공,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시사점 및 전망
케냐는 지속적으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전자정부 확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우선 전자정부로 이용가능한 서비스 수를 점점 확대하고 있고, e-Citizen과 후두마(Huduma) 센터 중심으로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동시에 이용률을 제고하기 위한 디지털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어 전자정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점차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기업은 보안, 신규 전자정부 시스템 구축, 유지보수, 시스템 통합 등의 개발과 키오스크 같은 관련 기자재 부문에서 시장 진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시스템 불안정성, 낮은 고객 서비스 품질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많은 이용자가 전자정부 시스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술적 오류에 불편을 겪고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ICT 전문가 A 씨는 나이로비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케냐의 전자정부 시스템은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러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역량 강화와 시스템 안정화 대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이러한 당면 과제를 극복해 아프리카의 디지털 허브로서 입지를 굳건히 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자료: Dalberg,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World Bank, e-Citizen Portal, HUDUMA Center, Kenya Vision 2030, KOTRA 나이로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케냐 정부의 디지털 전환 어디까지 왔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슬로바키아 산업용 로봇 시장동향
슬로바키아 2024-09-12
-
2
2024년 모잠비크 의료산업 정보
모잠비크 2024-09-12
-
3
멕시코 인스턴트라면 시장동향
멕시코 2024-09-12
-
4
중국 게임 '오공'으로 알아보는 中 게임시장 동향
중국 2024-09-12
-
5
사용한 용기는 반납하세요! 폴란드, ‘재활용품 보증금 반환 제도’ 도입
폴란드 2024-09-06
-
6
이집트 그린수소시장 확대일로, 전해조 시장 진출 타이밍
이집트 2024-09-06
-
1
2024년 케냐 섬유/의류산업 정보
케냐 2024-07-31
-
2
2024년 케냐 농업 동향
케냐 2024-05-27
-
3
2021년 케냐 철강산업 정보
케냐 2021-10-12
-
4
2021년 케냐 산업 개관
케냐 2021-10-12
-
5
2021년 케냐 전력산업 정보
케냐 2021-10-12
-
6
2021년 케냐 건설산업 정보
케냐 202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