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말레이시아, 화장품시장 동향
  • 트렌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나범근
  • 2007-09-21
  • 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화장품시장 동향

 

보고일자 : 2007.9.20.

김용 콸라룸푸르무역관

ewizardy@empal.com

 

 

□ 시장동향

 

 ○ 말레이시아의 화장품·미용산업은 경제성장과 소득증대에 따른 화장품 사용 저변인구의 확대에 따라 고가의 브랜드 제품에서부터 대중 브랜드, 저가 브랜드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시장규모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도시화로 인해 외모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소비량 증가도 탄력을 받고 있음. 또한 패션 잡지·뷰티 토크쇼·미용 박람회·방송 프로그램들의 미용 팁 등이 봇물을 이룸에 따라 연령층에 관계없이 점점 더 많은 여성들이 미용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이에 화장품 소비도 증가하고 있음.

 

 ○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화장품을 제조하는 업체는 전무함. 대부분의 경우, 수입업자 또는 현지 업체가 수입된 화장품 원료를 재포장(repackaging)하는 공정만 실시. 조사된 바에 따르면, 일부 대형 화장품업체들은 태국 등 ASEAN 국가나 중국에 제조 설비를 운영함으로써, 생산비를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말레이시아 화장품시장은 전 세계 화장품 업체들의 경연장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함. 유럽과 미국·일본 등이 고가의 명품 브랜드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한국·대만·중국·홍콩 브랜드들이 중저가 대중 브랜드 시장에서 경쟁

  - 명품 브랜드 : 명품 브랜드는 말레이시아에서 ‘카운터 브랜드’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백화점의 전문 매장이나 일부 약국의 전문 카운터 등을 통해서 판매되는 브랜드를 지칭. 여기에는 미용전문가(beautician)가 상시 배치돼 전문가의 조언·설명·간단한 미용팁 등을 잠재 고객들에게 제공

 

 말레이시아 진출 주요 명품 브랜드

원산국

브랜드 명

독일

Estee Lauder

미국

Elizabeth Arden, Max Factor, MAC

일본

Kanebo, Kose, Anna Sui

프랑스

Lancome, Clinique, Chanel  

            자료원 : 현지 시장조사

 

  - 대중 브랜드 : 일반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대중 브랜드로는 프랑스의 L’Oreal (France), 미국의 Maybelline과 Za 등이 있음. 이들 브랜드들은 슈퍼마켓이나 일반약국 등의 진열대에서 판매되는 제품으로서, 보통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직접 선택하며, 제품 설명서를 통해 제품을 이해해야 함.

  - 저가 브랜드 :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반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경제력이 낮은 10대 학생들이 주로 찾고 있음. 주로 색조화장품 부문에서 강세

  - 기타 : 이외에 Dermalogica – Averine (USA)과 같이 전문 뷰티살롱에서만 판매되는 브랜드와  Amway와 Avon 등과 같은 직접판매 방식(Direct Sales)으로 판매되는 브랜드가 있음.

 

□ 한국 브랜드 진출현황

 

 ○ 말레이시아에는 현재 중저가 위주의 몇몇 한국 브랜드들이 진출해 있으며, 이들 브랜드들은 공격적인 시장공략을 통해서, 현지 시장점유율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음.

 

 말레이시아의 한국 화장품 및 미용제품 브랜드

한국 브랜드

현지 유통업체

현황

“Skin   Food”

New Age Sdn Bhd사에 의해 유통

2005년 9월 말레이시아 첫 매장 개점

현재 말레이시아 전역으로 매장을 확대하고 있음

“Elianto”

Classic Bonita Sdn Bhd 사의 전체지분 보유

저가제품 위주 품목수가 굉장히 다양함.

체인점 형식으로 대형몰 등에서 소규모로 매장 운영

“Ianti”

HiQ Factor Sdn Bhd 사에 의해 유통

한국의 MDS Cosmetic Co Ltd of Korea사의

브랜드로 말레이시아 전역에 매장을 확보

“The   Face Shop”

자료 없음

현재 말레이시아에 몇 개의 매장이 진출해 있음

타겟 고객은 중간 또는 중고가 제품의 소비 층

“Missha”

자료 없음

2006년 첫 매장 개장

현재 콸라룸푸르를 중심으로 말레이시아 전역으로

매장을 확대 중

            자료원 : 현지시장 조사

 

□ 주요 국가별 수입 통계

 

향수 및 화장수류(HS Code 33.00) 연도별 수입동향

 (단위 : RM 백만, %)

연도

금액(RM)

성장률(%)

2004년

133

-

2005년

151

20.45

2006년

208

28.14

2007년 (1~6월)

101

-2.68

            주 : 2007년 (1~6월)성장률은 전년도 동기간 대비의 성장률

 

향수 및 화장수류(HS Code 33.00) 5대 수입원산국

 (단위 : RM 백만, %)

연도

순위

국가

금액(RM)

점유율(%)

2004년

1

프랑스

48

35.99

2

아랍에미레이트

12

11.87

3

미국

8.8

7.78

4

필리핀

7.8

7.69

5

영국

7.6

7.50

15

한국

2.0

1.99

 

기타

28

28.01

 

합계

101

100

             자료원 : 말레이시아 통계청

 

□ 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입관리제도

   

 ○ 말레이시아의 ‘의약품 및 화장품 관리법 1984’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모든 피부관리용품과 화장품(skin care&cosmetics)은 약품관리국(Drug Control Authority, DCA)에 등록돼야 하며, 이 제품의 제조사·수입자·도매업자 등은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함.

 

 ○ 2004년 1월 1일 부로, 말레이시아에서 제조·수입·유통되는 모든 화장품들(특별히 예외로 인정한다고 명시한 경우는 제외)은 보건부 의약품 관리청 산하 약품관리국(Drug Control Authority; National Pharmaceutical Control Bureau of the Ministry of Health)에 사전등록을 필요함.

 

 ○ 제조업체는 제품등록에 앞서 해당 화장품의 모든 성분과 재료를 공개해야 하며,이들 성분과 재료는 국제화장품원료집(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INCI)에 규정된 명칭으로 제시돼야 함. 해당제품은 또한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에 규정된 위생환경하에서 제조·포장·보관돼야 하며 제품의 모든 성분은 제품 라벨에 명기돼야 함.

 

 ○ 화장품 등록증(registration certificate)을 발급받고자 하는 제조업체나 신청자는 현지 회사에 서면 성권한을 위임해야 하며, 이현지회사는 제품의 등록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됨.

 

 ○ 신청서와 함께 제출되어야 하는 관련 서류의 종류

  - 위임장(Letter of authorization): 제품 리스트를 포함한 제품의 소유주로부터의 위임장을 지칭

  - 자유판매 증명서(Certificate of Free Sales, CFS) : 본 증명서는 반드시 제품 원산지의 보건행정당국 또는 그에 준하는 기관에 의해 발급돼야 함.

  -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준수 증명서(Certification of observance to 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 : 해당 증명서는 제조 원산지 국가의 보건당국 또는 그에 준하는 기관에 의해 발급된 것만을 인정

  -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준수 증명서의 대안으로 표준운영절차 증명서(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GMP Alternative Certification Body: Cosmetic) : 수출규제 당국이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 준수 증명서를 발급할 수 없는 경우, 등록 보유자(registration holder)는 대체 증명기관(alternative certification bodies)에 대한 제안서를 기술심의위원회(Technical Working Group, TWG)에 제출해야 함.

 

 ○ 제조업자와 수입업자를 불문하고 등록보유자(registration holder)는 등록 제품의 안전성, 품질, 효능에 대한 책임을 지며, 해당 등록제품은 모든 현행 규정에 적합해야 함.

 

 ○ 등록보유자의 책임 사항

  - 안전하고 허용치의 농축도를 보유한 원료를 사용

  - 화장품에 대한 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준수

  -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적합한 포장재료 사용

  - 적절한 품질 관리 실시 : 특히 미생물과 오염에 대해서

  - 부작용이나 역효과가 발생할 경우, 이를 다룰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 확보

 

*주 : 화장품 등록관련 세부안내 사항은 의약품 관리청의 홈페이지(http://www.bpfk.gov.my)에서 확인할 수 있음.

 

□ 마케팅 전략

 

 ○ 가격 경쟁력 : 시장에 기진입, 이미 인지도를 확보한 경쟁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한국 업체들은 소비자들을 끌어들일 만한 대폭적인 가격할인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음. 이는 시장의 주요 업체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신제품 테스트 전략이기도 함.

 

 ○ 품질 보증 : 제품에 대한 품질 보증은 한국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 담당

 

 ○ 적극적인 광고와 판촉: 광고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는 한국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제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 또한 지속적인 판촉활동은 소비자들의 제품 충성도 제고와 신규 고객 유치에 기여

 

 ○ 포장: 화장품의 경우, 품질과 더불어 포장이나 디자인 역시 제품 판매에 큰 영향력을 발휘. 제품의 컨셉에 맞는 세련되고 독창적인 포장과 디자인이 요구됨.

 

 

자료원 : 말레이시아 의약품 관리청, 통계청 및 무역관 자료 종합, 말레이시아 주요 바이어, 및 백화점 매장 인터뷰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말레이시아, 화장품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