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중국국제소비전자박람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4-11-05
- 출처 : KOTRA
-
스마트가전 및 인공지능 관련 제품 수요 증가
실버 세대 겨냥한 헬스케어 제품 주목 필요
중국국제소비전자박람회는 산둥성 인민정부(산둥성 인민정부, Shandong Provincial People's Government)가 주최하고, 중국전자학회(China Electronics Society), 중국기계전자제품진출입상회(China Machinery and Electronics Products Import and Export Chamber of Commerce), 칭다오시 인민정부(칭다오시 인민정부, Qingdao Municipal People's Government)가 주관하는 국가급 전자제품 전문 박람회이다. 2001년 개최 이래 올해로 21회를 맞는 박람회로, 중국 소비재 성격의 전자제품 박람회 중에서는 영향력 있는 행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소비 전자 박람회이니만큼 가전제품을 비롯해 카메라, 프린터 등 각종 전자제품이 전시됐다.
<전시장 이미지>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전시회 개요
< 전시회 기본정보>
전시회명
2024 중국 국제소비전자박람회(CICE)
기간
2024.10.18.(금)~20.(일)
장소
칭다오국제컨벤션센터-홍다오관(青岛国际会展中心红岛馆)
주최
산둥성 인민정부
개최 규모
300여개 사 참가(5만 m²)
전시 분야
스마트 홈, 신형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디지털 라이프, 디지털 소비
[자료: 박람회 자료]
전시 구성
이번 박람회는 전자제품 최신 트렌드를 반영해 스마트 홈, 신형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디지털 라이프, 디지털 소비 등 5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됐다.
<전시회 구성>
구분(관)
산업분야
세부 전시 품목
A2
스마트 홈
스마트 가전, 스마트 헬스케어, 스마트 엔터테인먼트, 스마트 교육 등
A3
신형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및 VR/AR 관련 기기, 스마트 스크린, 차량용 스크린 제품 등
A4
인공지능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메타버스 등 첨단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로봇, 스마트 번역기, 스마트 시스템 등
B2
디지털 라이프
신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저장, 스마트 교통 등 일상생활, 그중에서도 교통과 밀접한 분야의 제품
B3
디지털 소비
국경간 전자상거래와 전자제품, 그리고 사회생활의 디지털 융합을 기반으로 한 신기술이 접목된 제품
[자료: 박람회 자료,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화웨이 등 유명 기업, 스마트 가전 및 스마트 소매 자판기 출시
하이얼(Haier), 하이센스(Hisense), AUCMA(AUCMA, 澳柯玛), 화웨이(Huawei) 등 중국의 유명 기업들이 전시회에서 새로운 제품을 선보였다.
하이얼은 TV, 에어컨, 조명, 커튼 등 여러 제품이 한 공간에 전시돼 있는 스마트 홈을 선보였다. 하이얼 관계자는 관련 제품들이 음성을 통해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줬다. 관계자가 본인이 집에 왔다고 말을 하면 에어컨(공기청정기)에서 공기 환기 시스템이 가동되고 조명이 켜지고 커튼이 열리고 TV가 켜졌다. 이 모든 것은 음성 하나로 동시에 이루어졌고, 음성을 통해 온도 조절, 조명 조절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었다. 하이얼 관계자는 스마트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트렌드로는 하나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아닌 여러 제품을 동시에 컨트롤할 수 있는 ‘스마트 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얼 또한 이러한 트렌드를 공략하기 위해 동일한 하이얼 시스템을 활용해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여러 가전제품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여러 가전제품을 통합해 판매하는 스마트 홈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이센스는 고화질 TV를 주력으로 내세웠다. 하이센스는 급증하고 있는 중국 게임 유저들을 공략하기 위해 게임 화면이 생생하게 전개되는 TV를 선보였다. 최근 중국 게임 유저들은 게임 화면을 TV에 연결해 게임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소비자들은 게임 캐릭터 및 기타 화면적 요소가 생생하고 선명하게 나오는 TV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하이센스는 최근 중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인 ‘검은 신화(오공)(Black Myth: Wukong)’ 관련 화면을 담은 TV를 전시했는데, 이를 통해 선명한 게임 배경화면과 메인 캐릭터인 손오공의 미세한 털까지 재현하는 그래픽을 선보였다. 하이센스 관계자는 게임 유저들을 중심으로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제품에 대한 기대가 높으며 향후에도 게임 산업을 유의 깊게 관찰해 관련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AUCMA는 스마트 소매 자판기를 현장에 설치해 관람객들이 무인 셀프 쇼핑의 편리함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AUCMA 스마트 소매 자판기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상품, 진열대, 결제 장치 등 소매 요소 간의 상호 연결을 실현했다. 스마트 소매 자판기는 실시간으로 상품 재고를 모니터링해 적시 보충이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 결제 장치는 결제 시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소비자의 쇼핑 행동과 선호도 등의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판매상들이 보다 정확한 마케팅 전략과 재고 관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마트폰으로 유명한 화웨이는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 제품을 선보였다. AI 센서를 장착해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람의 동작을 인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람의 특이 동작(넘어짐 등)을 감지해 보호자에게 알림을 보내기 때문에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가정을 중심으로 인기가 많다. 화웨이 관계자는 중국도 고령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실버 세대를 겨냥한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 인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유명 대기업 대표 전시 제품>
Haier 부스
Haier 제품
Hisense 부스
Hisense 제품
AUCMA 부스
AUCMA 제품
HUAWEI 부스
HUAWEI 제품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캐논, 파나소닉 등 해외 브랜드, 카메라 및 전문 프린터 등 신제품 선보여
삼성과 LG 등 한국 전자제품 기업은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지 않았지만, 파나소닉, 소니, 캐논 등 다른 해외 기업들은 참가했다.
캐논은 최신형 EOS 카메라와 다양한 프린터를 선보였다. 캐논 부스 관계자는 최근 중국 여행객들의 고급 카메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캐논 제품에 대한 수요도 높다고 밝혔다. 캐논은 중국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선택을 받기 위해 화소 기능이 강화된 카메라를 지속적으로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최근 중국 전자제품 시장에서는 전문 프린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어 관련 제품을 이번 박람회에 전시했다고 밝혔다. 일반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스냅숏 느낌의 사진을 출력할 수 있는 사진 출력용 전문 프린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예술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수채화 등 동양화 작품을 출력할 수 있는 전문 프린터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어 관련 제품들을 이번 박람회에 전시했다고 밝혔다. 캐논 관계자는 전문화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를 지켜본 뒤 제품별 기능을 강화해 소비자 취향 맞춤형 제품을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나소닉은 기능성 가전제품을 선보였다. 파나소닉은 에어컨과 공기청정기 제품을 중심으로 전시했는데, 습도 조절 및 살균, 공기 정화, 외부 온도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온도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이 첨가된 기능성 가전제품을 선보였다. 파나소닉 관계자는 최근 중국 가전제품 시장 트렌드는 스마트화, 기능화라고 할 수 있으며, 파나소닉은 기능화에 보다 초점을 두고 타 브랜드 대비 우수한 기능이 탑재된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니는 중국 TV 시장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고급형 TV 제품을 선보였다. 최근 중국 TV 시장은 고급 T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삼성과 LG, 소니 등 해외 브랜드들의 고급 TV 판매와 로컬 브랜드들의 고급 TV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소니는 이러한 트렌드를 공략하기 위해 고급형 TV 제품을 다수 선보였다. 소니에서 전시한 TV는 영화 관람에 특화된 시네마용 TV 등이 있다.
<해외브랜드 대표 전시 제품>
Canon 부스
Canon 제품
Panasonic 부스
Panasonic 제품
SONY 부스
SONY 제품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인공지능관, 달릴 수 있는 로봇 선보여
인공지능관에서는 로봇 제조 업체 위수기술(宇树科技)이 중국 최초로 달릴 수 있는 로봇 Unitree H1을 선보였다. Unitree H1이 정지된 상태에서 팔동작을 하다 뛰는 동작을 하자 관람객들의 환호가 터져 나왔다. 또 다른 로봇 제조 업체인 중커후이링(中科慧灵)은 HandLe 제품을 선보였다. HandLe은 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이 아닌 손 모형을 한 로봇을 선보였는데, 손 모형을 한 로봇으로 전자 피아노를 연주하는 모습을 선보여 관람객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테슬라와 타이후(钛虎) 또한 로봇을 전시했다. 테슬라는 전기차 제작에 들어가는 AI 기술을 탑재한 로봇을 선보였으며, 타이후(钛虎)는 위수기술의 Unitree H1과 유사한 점프 동작을 할 수 있는 로봇, 물건을 들 수 있는 로봇을 선보였다.
<인공지능 구역 대표 전시 제품>
위수기술(宇树科技)
중커후이링(中科慧灵)
테슬라
타이후(钛虎)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현장 인터뷰
KOTRA 칭다오무역관은 현장에서 아래와 같이 인터뷰를 진행했다.
1. AUCMA(澳柯玛)
<AUCMA 스마트 자판기>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Q1. AUCMA의 스마트 자판기에 대해 소개해 주시겠습니까? 기존 자판기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별화된 장점이 있습니까?
A1. AUCMA 스마트 자판기는 지능형 감지 기술, 사물인터넷(IoT) 및 AI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화된 운영을 구현해 쇼핑 경험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소비자는 알리페이 또는 위챗페이로 QR 코드를 스캔해 자판기를 열고, 원하는 물품을 꺼내면 시스템이 물품 무게를 자동으로 인식해 결제됩니다.
전통 자판기는 일반적으로 단일 구매 수량을 제한해 소비자가 쇼핑할 때 한 번에 한 개의 상품만 구매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상품이 필요할 경우 여러 번 결제해야 합니다. 하지만 AUCMA의 스마트 자판기는 이를 극복해 한 번에 여러 개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쇼핑의 효율성을 높여 소비자의 빠르고 편리한 요구를 충족시킵니다. 또한 24시간 셀프서비스를 제공하며, 인력 개입 없이 정확한 상품 인식과 재고 관리를 통해 오류를 크게 줄입니다. 백엔드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장비 상태 및 상품 재고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 운영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보충 및 유지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Q2. AUCMA 스마트 자판기의 현재 시장 보급 상황은 어떻습니까?
A2. 현재 AUCMA 스마트 자판기는 편의점, 사무실, 피트니스 센터, 학교, 병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무인 소매업 및 의료 물품 관리 등 더욱 다양한 분야로 기술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들 신흥 시장은 스마트 관리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는 지속적인 기술 최적화와 파트너십 확장을 통해 시장 보급률을 높이고 스마트 자판기 산업에 깊이 자리 잡을 것입니다.Q3. AUCMA 스마트 자판기는 현재 어떤 브랜드와 협력하고 있습니까?
A3. AUCMA 스마트 자판기는 현재 코카콜라(Coca-Cola), 펩시콜라(Pepsi-Cola), 캉스푸(康师傅), 농푸산췐(农夫山泉) 등 유명 식음료 브랜드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인 소매업 대표 브랜드인 ‘유바오(友宝)’와도 협력 관계에 있습니다. 앞으로는 건강식품, 개인위생 제품 등 신흥 품목에서도 협력 브랜드를 확대해 더 넓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시장 보급을 더욱 강화해 브랜드 영향력을 높일 계획입니다.Q4. AUCMA 스마트 자판기의 해외 시장 확장 현황은 어떻습니까?
A4. AUCMA 스마트 자판기는 현재 동남아시아, 유럽, 북미 등 여러 국가 및 지역의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현지 소매업체, 물류 기업, 스마트 장비 공급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으며, 각 국가의 소비 습관과 기술 요구에 맞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HUAWEI(华为)
< HUAWEI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
[자료: 칭다오무역관 촬영]
Q1. 화웨이의 집 전체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에 대해 소개해 부탁드립니다.
A1. 화웨이 집 전체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는 실내에 설치해 노인의 신체 상태를 인식해 갑작스러운 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전화 및 문자 메시지 발송, 스마트 라이프 앱을 통해 경고 알림을 긴급 연락처로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가족이 욕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신체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지 못하는 상황을 감지하면 즉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를 보장하며, 원본 데이터는 클라우드에 업로드할 필요 없이 로컬에서 감지 및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아 욕실, 침실과 같은 사적인 공간에서도 안심하고 설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Q2. 화웨이 집 전체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의 현재 시장 가격은 얼마입니까?
A2. 화웨이 집 전체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센서의 가격은 1699위안(약 31만 원)으로 일반 소비자에게는 다소 비싸게 느껴질 수 있지만, 고급 AI 헬스케어 기술, 스마트 홈 통합 기능, 그리고 화웨이 브랜드의 신뢰도를 고려했을 때 건강관리와 스마트 홈 시스템에 대한 높은 수요를 가진 소비자에게 충분한 매력적인 가격입니다.Q3. 화웨이 집 전체 스마트 AI 보조 헬스케어 솔루션은 주로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까?
A3. 주로 개인 가정 사용자와 요양원, 양로원과 같은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둥성 칭다오의 중화 노동조합 요양원이 이 프로젝트를 시공 중이며, 산둥성 둥잉의 한 커뮤니티에서도 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가정 사용자에게는 사용이 간편하고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헬스케어 기술을 제공해 노년층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기관 고객에게는 대규모 시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더욱 종합적인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합니다.Q4. 이 기술을 홍보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는 무엇입니까?
A4. 기술 홍보 과정에서 가장 큰 도전 과제 중 하나는 소비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정도입니다. 특히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민감한 시장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우리는 데이터의 로컬 처리, 개인 정보 보호, 카메라 미사용 기능을 강조해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치, 조정, 정기 보수 및 원격 기술 지원을 포함한 전방위적인 애프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사점
헬스케어 영역 제품 개발
중국 사회의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안전하고 편리한 헬스케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의 시장 잠재력은 매우 큰바, 기업은 소비자들의 개성화(personalization) 요구를 충족하는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 개발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 프라이버시(data privacy) 보호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데이터 보안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건강 관리 기능을 구현하는 방안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개성화 제품 출시
이번 전시회에서 캐논(Canon)의 전시 제품을 보면, 스냅숏 느낌의 사진을 출력할 수 있는 사진 출력용 전문 프린터도 있고, 대형 예술작품을 출력할 수 있는 전문 프린터도 있다. 가정용, 사무용 제품을 개발했을 뿐 아니라 시장 수요를 파악해 소비자의 취미를 고려하는 제품도 출시하고 있다. 관련 가전기업은 다양화, 개성화(personalization) 되고 있는 소비자 수요를 발굴해 맞춤형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Sina, 칭다오체이징왕(青岛财经网), 왕이(网易),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 중국국제소비전자박람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홍콩 시정연설 주요 내용 살펴보기
홍콩 2024-11-05
-
2
가성비와 신뢰성 중시하는 소비자 따라 발전하는 中 크로스보더(콰징) 무역
중국 2024-11-05
-
3
아시아 최초 화물 전문 '중국 화후국제공항', 인천 직항 노선 취항
중국 2024-11-05
-
4
중국, 의료서비스 대외 개방 확대로 내수 경기 부양의 새로운 드라이브를 걸다
중국 2024-11-05
-
5
수출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아랍에미리트 2024-11-05
-
6
2024 홍콩 추계 전자전시회 참관기
홍콩 2024-11-04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