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4년 튀르키예 자동차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튀르키예
  • 이스탄불무역관 김우현
  • 2024-06-03
  • 출처 : KOTRA

회복세 보이는 튀르키예 자동차 시장, 예년의 생산량 회복

성장과 확대가 기대되는 튀르키예 전기차 산업


 

정책 및 규제

 

1) 우선 육성산업으로 지정한 튀르키예 자동차산업

 

튀르키예 정부는 제12차 개발계획을 통해 자동차 산업을 우선육성산업으로 지정했다. 지정한 배경으로는 계속 변화하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 튀르키예 완성차 산업 역시 녹색 및 디지털 전환 과정에 적응하고,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과정에 걸쳐 국내 공급 및 기술 개발을 실현하여 부가 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아울러 국가 브랜딩을 통해 세계 완성차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 완성차 업체는 물론 각 티어별 부품 공급 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차세대 생산 기술 개발에 힘쓸 예정이다. 아울러 자동차산업의 그린 뉴딜과 순환경제 실현, 유통망 국산화,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확대 등의 목표가 있다.

 

2) 투자 인센티브

 

튀르키예 정부는 제11차, 제12차 개발계획에서 자동차 산업을 우선 육성산업으로 지정했다. 2012년 발표된 장관령 No. 2012/3305에 따라, 우선육성산업으로 지정되면 입주 지역과 관계없이 5지역에 준하는 정부의 투자 인센티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입주 지역의 개발 정도와 관계없이 5지역 수준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6지역 입주 시에는 6지역 수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튀르키예 정부는 지역 간에 균형잡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투자지역에 따라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튀르키예 전 지역을 6개로 구분해 개발 정도에 따라 차등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1지역에서 6지역으로 갈수록 개발이 필요하여 투자 인센티브 혜택이 늘어난다.

 

단, 제조 분야에 따라 최저 투자 금액 기준이 있어, 이를 충족하고 튀르키예 산업부에 프로젝트 기획안을 제출해 허가를 받아야만 인센티브 부과 대상이 된다.

 

<튀르키예 자동차 산업 제조 분야 최저 투자 금액 기준>

스트림 구분

내연기관차 제조

엔진 제조

엔진 부품, 파워트레인 및 그 부품, 자동차용 전자장치

전기 및 수소 동력 자동차 및 연관 산업

최저 투자 금액

3억TL

(US$ 900만)

7500만TL

(US$ 200만)

2000만TL

(US$ 62만)

5000만TL

(US$ 155만)

[자료: KPMG]

 

주요 기업

 

튀르키예에는 연간 약 140만 대 내외의 완성차를 생산하는 유럽 내 3위의 자동차 생산기지다. 유럽과의 관세동맹으로 유럽과의 교역이 원활하고 육로, 선박 등을 이용해 이동 가능한 지리적 이점이 커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다수 입주해 있다.

 

<튀르키예 주요 완성차 제조 업체 10개사 순위(‘23년 기준)>

(단위: 대)

순위

기업명(생산 브랜드명)

본사 소재지

생산량

1

FORD OTOSAN(포드)

미국

398,794

2

OYAK RENAULT(르노)

프랑스

325,366

3

HYUNDAI ASSAN(현대)

한국

242,016

4

TOFAŞ(피아트)

영국

239,428

5

TOYOTA(도요타)

일본

212,843

6

TÜRK TRAKTÖR(뉴홀랜드)

이탈리아

51,423

7

M.BENZ TÜRK(벤츠)

독일

31,988

8

HATTAT TRAKTÖR(하타트)

튀르키예

6,147

9

ANADOLU ISUZU(이스즈)

일본

5,976

10

TEMSA(템사)

튀르키예

3,232

[자료: 튀르키예 자동차산업자협회(OSD)]

 

주요 이슈

 

1) Euro7 도입 및 의무화

 

유럽연합 집행의원회가 Euro7 오염 물질 배출 규제의 완화된 합의안을 통과시켰다. 완화 전 초안에 따르면 2025년 까지 유럽에 판매할 모든 승용차는 질소산화물 배출을 현행 80mg/km(Euro6 수준)에서 60mg/km로 줄여야 했다. 그러나 많은 완성차 업체들의 반대에 완화 과정을 거쳤다.

 

이번에 통과된 Euro7 합의안은 배출가스를 Euro6 수준으로 유지하되 측정 기준을 강화하고, 타이어나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며 발생하는 미세입자 등 오염물질 배출 기준을 마련했다. 전기차와 수소차도 Euro7 적용 대상에 포함시켰다. 측정 기준 강화 측면에서는 Euro6와 일견 유사한 부분이 있다. 현행 중인 Euro6는 측정방식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스텝을 A, B, C, D, E로 나눈다. 배기가스 기준치 자체는 변함이 없지만 단계가 올라갈수록 측정방식이 엄격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규제가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튀르키예에서 생산한 완성차의 50% 가량은 유럽연합으로 수출되고 있기 때문에 해당 규제는 튀르키예 내 완성차 제조업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며, 이에 현지 완성차 제조업체들은 EU 집행위원회의 결정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2) 자체 생산 전기차 Togg 성장에 대한 기대감 확대

 

튀르키예 국산 전기차 브랜드 TOGG가 2023년부터 양산을 시작해 작년 한 해동안 2만 대의 전기차를 생산했다. 부르사 겜릭(Gemlik)지역에 위치한 TOGG 생산 공장에서는 현재 1시간에 20대의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다. TOGG는 연산 10만대로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2030년까지 5개 모델로 늘리는 것을 목표한다. 현재는 SUV모델인 T10X를 생산 중이며 올해 초 세단 모델인 T10F를 공개했다. 세단 모델은 2025년부터 양산 및 판매 예정이다. 향후 C-해치백, B-SUV, B-MPV 모델도 추가할 예정이다.

 

TOGG는 올해 2024년 말부터 독일, 2025년에는 프랑스로도 수출될 예정이다. TOGG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중국 파라시스 에너지(Farasis Energy) 제품으로 겜릭 공장 옆 배터리 공장에서 조립하고 있다.

 

튀르키예 자동차 유통협회(ODMD)에 따르면 튀르키예의 전기차 판매량은 지속 증가 중으로, Togg T10X은 ‘23년 튀르키예 전기차 판매량 3분의 1을 차지했다. ‘23년 튀르키예의 전기차 판매량은 6만5562대이며 이중 Togg의 판매량은 1만9583대를 기록했다. ‘24년 4월 튀르키예의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70% 상승한 2만250대이며, Togg는 7148대를 판매했다.

 

 

시장 규모

 

코로나19 이전까지 튀르키예는 연간 150만 대 이상의 완성차를 생산했다. 그러나 코로나19와 더불어 ’21년 하반기부터 불어닥친 반도체 공급 차질로 인해 생산량과 내수 판매가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는 예년의 생산 및 내수판매에 근접했고 수출량도 100만 대를 넘어서며 회복세를 보였다.

 

<튀르키예 자동차산업 시장 규모>

(단위: 대)

구분

2021

2022

2023

생산

1,276,140

1,352,648

1,468,393

내수

772,850

827,163

1,283,952

수출

937,015

970,124

1,018,247

수입

425,733

454,159

815,693

[자료: OSD]

 

수출 동향

 

튀르키예의 자동차 최대 수출지역은 유럽으로 수출 물량의 50%, 수출액의 약 70%를 차지한다. 이 중에서도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최대 수출국으로 튀르키예의 자동차 수출 1, 2위를 유지하고 있다. 튀르키예에는 르노와 피아트의 제조공장이 있어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완성차가 유럽으로 납품되고 있다. ’22년까지 튀르키예는 반도체 수급 차질과 유럽 시장의 침체로 인해 자동차 수출이 90억 달러 내외로 그쳤으나, 지난해 회복세를 이루며 115억 달러를 기록했다.

 

<튀르키예 자동차(HS Code 8703) 3개년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23/22 변동

2021

2022

2023

2023

전체

9568.3

9346.9

11549.1

100.0

23.6

1

프랑스

1746.1

1513.2

2148.3

18.6

42.0

2

이탈리아

884.0

899.9

1155.3

10.0

28.4

3

스페인

841.6

824.0

1141.7

9.9

38.6

4

영국

808.0

1062.4

1126.6

9.8

6.0

5

폴란드

450.1

607.4

836.7

7.2

37.7

6

독일

854.4

758.6

829.5

7.2

9.3

7

슬로베니아

415.8

418.5

447.4

3.9

6.9

8

벨기에

292.4

283.4

329.5

2.9

16.3

9

이스라엘

325.3

393.8

319.8

2.8

-18.8

10

알제리

0.1

4.2

278.9

2.4

6501.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28.]

 

수입 동향


2023년 튀르키예의 자동차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128% 증가했다. 수입량 역시 지난해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뛰었다. 이에 대해 현지 언론은 반도체 수급 차질로 인한 기저효과로 분석한바 있다. 반도체 수급에 차질이 생기자 튀르키예 내 신차 출고가 지연되고 중고차 가격이 신차와 유사한 수준으로 올랐다. 이에 중고차를 비싸게 사는 대신 신차 주문을 기다리고, 차량을 투자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23년 상반기까지 신차 주문량이 증가한 적이 있는데 이러한 현상이 튀르키예 자동차 수입 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튀르키예 자동차(HS Code 8703) 3개년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23/22 변동

2021

2022

2023

2023

전체

6726.6

7980.4

18195.6

100.0

128.0

1

독일

1788.6

2071.5

4502.6

24.7

117.4

2

스페인

1129.6

1528.9

3559.8

19.6

132.8

3

프랑스

431.5

671.9

1882.6

10.3

180.2

4

중국

113.5

182.7

1279.4

7.0

600.3

5

체코

644.8

521.9

1053.0

5.8

101.8

6

영국

286.4

262.5

796.5

4.4

203.4

7

루마니아

440.7

440.7

561.0

3.1

27.3

8

일본

110.4

175.8

506.1

2.8

187.8

9

한국

197.0

260.0

478.6

2.6

84.1

10

모로코

151.4

227.0

437.7

2.4

92.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5.28.]

 


진출 전략: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 8000만 명 기반의 탄탄한 내수시장

- 유럽과 중동, 북아프리카에 지리적으로 가까워 판매가 용이

- EU 국가들에 비해 저렴한 인건비를 통해 생산비용 절감 가능

- 국산 전기차 개발 성공

- 자동차산업 중간재 제조가 발달하지 않아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

- 자체 개발한 내연기관 승용차 브랜드 없음

Opportunity

Threat

-튀르키예 정부 차원에서 지역별, 규모별, 산업별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외국인 투자를 유치 중

- 전기자동차 생산기업 설립, 대중교통 내 전기차 사용 확대 등으로 인해 전기자동차 시장 확대 예상

- 튀르키예 정부의 중간재 국산화 전략

- 엔진, 차량용 반도체, 센서 등 핵심 부품 공급 차질 시 완제품 생산에 차질

- 높은 환율 변동성으로 인한 원자재 단가 상승

 

유망 분야

 

튀르키예가 국산 전기차를 개발 및 생산함에 따라 전기차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관련 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생산 능력 확대와 함께 배터리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현재는 중국의 배터리 제조사와 협업 중이나, 한국에게도 충분히 협업 기회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동차 중간재 생산이 취약한 터키 자동차 산업 특성상 반도체, HVAC등 기술력을 요구하는 자동차 부품이 유망하다. 또한, 터키 내 전기차, 자율주행 자동차 생산이 확대 예정임에 따라 이와 관련된 센서, 카메라, 자율 주행 시스템 등의 품목에 대한 제조 협력 기회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KPMG, OSD, ODMD, 전자신문, Daily Sabah, Globsl Trade Atlas, 튀르키예 투자청,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튀르키예 자동차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