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아프리카 공공조달 시장 진출로 불황 뚫는다
  • 트렌드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이인규
  • 2016-05-04
  • 출처 : KOTRA

 

아프리카 공공조달 시장 진출로 불황 뚫는다

- 경기불황으로 위축된 민간부문 대체 가능 -

- 현지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사업 개발 필요 -

     

     

     

□ 아프리카 경제 침체로 민간부문 위축

     

 ○ 자원의존도가 높은 아프리카 경제는 원자재 시세하락으로 인해 수출․외국인투자가 급감하고, 환율․물가는 폭등하는 위기상황에 처해있음.

     

  수입가격이 상승하자 민간투자 및 소비가 감소했고, 유가하락 등으로 인해 자원개발․부동산 등 대형 민간 프로젝트가 지연 및 취소됐음.

     

□ 원조 의존도가 높은 공공부문은 상대적으로 양호

     

  아프리카 공공사업 부문은 정부재정 사업의 비중이 낮고, 국제기구․선진국 정부의 공적원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경제위기 시 안정적인 구매처 역할을 할 수 있음.

     

아프리카 공적원조 수혜 현황

자료원: OECD DAC

     

□ 아프리카 공공조달 시장 개요 및 특성

     

  공공조달 시장은 발주 주체 기준으로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의 조달과 UN산하기구, 국제개발은행(MDB), 선진국 ODA기관 등 원조기구 조달로 나눌 수 있고, 재원 기준으로 정부재정, 유무상 원조, 상업차관, 민간투자로 구분하며, 사업 기준으로 물품·서비스·건설로 분류함.

     

공공조달 시장 분류

발주처

현지 정부 발주시장

원조기구 발주시장

사업 재원

자체재정, 유무상 원조,

상업차관(전대금융PF직접대출 등), 민간투자

무상원조

사업 유형

물품, 서비스, 건설

물품, 서비스

자료원: 무역관 자체 분석

     

     

  정부조달 시장 규모를 GDP의 10~15%로 추산했을 때, 아프리카 정부조달시장은 1500~2200억 달러로 추정됨.

     

정부조달시장 규모

            (단위: 억 달러, %)

지역

GDP

정부조달시장

비중

아프리카(SSA)

15,098

1,510~2,264

2.05

세계

735,068

73,507~110,260

100

자료원: IMF

     

  아프리카 국별로 UN 산하기구 현지 사무소들이 다수 소재해 있으며, 공공조달의 주요 축으로 작용

  - 모잠비크는 UNICEF, UNDP, WFP, UNFPA, FAO, UNHCR 등 20개 기구가 주재하며 현지조달을 위해 통합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음.

  - 응찰자격을 현지국 기업으로 제한하는 경우가 많으나, 적정 공급업체 부재로 적기구매, 반품 및 교환, 사후관리 등에 애로

     

모잠비크 UN 조달 웹사이트

자료원: UN Mozambique

     

□ 시사점

     

  아프리카, 현지기업의 역량 부족이 우리 기업 진출 기회로 작용

  - 자국산 구매를 선호하는 정부조달 특성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는 산업 기반 부재로 인해 제품 및 고부가서비스를 수입에 의존, 외국기업 진출이 비교적 용이한 지역임.

     

  현지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간 주도의 사업 개발이 필요

  - 아프리카 진출의 최대 애로사항으로 바이어․발주처의 자금력 부재가 지적되나, 실제 문제는 우리 기업이 참여할 만한 재원 확보 사업의 부족임.

  - 경제개발 초기단계의 아프리카 국가는 정부재원에 비해 사업계획이 압도적으로 많은 경향이 있음. 한정된 재원을 놓고 사업 간 경쟁이 불가피

  - 현지정부의 사업개발 능력 부재 속, 누가 어떤 사업을 먼저 개발해 승인을 받는지에 따라 우리 기업의 참여 가능성이 좌우되고 있음.

     

  공여성차관(기반시설 차관제공)과 민간기업(설비투자․사업운영) 간 역할 분담 시 기업 투자부담 경감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함으로써 사업타당성 확보 가능

  - 민관협력사업(Public-Private Partenership)은 수의계약 대상인 민간기업 주도로 신속히 개발된다는 점에서 공적재원 투입사업 대비 효율적

  - 아프리카 각국 정부는 민간경영기법 도입과 투자유치 통한 재원부족 해소를 목적으로 민관협력사업(PPP)을 추진 중이나, 전력·도로·용수 등 기반시설 미비로 타 지역 대비 초기투자 비용이 크고, 높은 정치적․사업적 위험을 보상해줄 만한 고수익 사업시장은 포화돼 있어 대부분 사업타당성이 부족함.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단독판매가 아니라 발주처의 사업 취지와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종합 솔루션을 설계해 제안하는 것이 중요

  - 솔루션은 기활용 중인 제품과 서비스의 적절한 조합으로도 제공 가능함.

     

  현지에 법인 또는 지사가 없어 영업이 어려울 경우 현지 및 교민기업을 벤더로 활용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OECD DAC, UN, IMF 및 KOTRA 마푸투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아프리카 공공조달 시장 진출로 불황 뚫는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