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녹색정책] 야심찬 요르단 태양열발전소 및 송전선 프로젝트 계획
  • 트렌드
  • 요르단
  • 암만무역관 조기창
  • 2010-07-07
  • 출처 : KOTRA

[녹색정책] 야심찬 요르단 태양열발전소 및 송전선 프로젝트 계획

 - 2012년까지 100㎿ 규모 태양열발전소 건립, 180㎞ 송전선 보강 -

 - 신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예정, 2020년까지 전체 소비에너지 10%까지 끌어올릴 예정 -

 

 

 

□ 신재생 에너지 투자에 대한 새로운 법 체제 정비

 

 ㅇ 요르단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2010년 2월,'law number(3) for 2010' 이라는 임시 법안을 마련했음.

 

 ㅇ 이 법을 통해 현지 및 글로벌 기업들 모두 경쟁입찰 절차 없이 요르단 에너지자원부와 직접 협상을 할 수 있게 됐음.

 

 ㅇ 이 법에 따르면  국가에너지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요르단 전력회사(National  Electric Power Company : NEPCO)는 풍력, 태양열 및 기타 기술을 활용해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부담하며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가 생산하는 모든 전력을 구입해야 함.

 

 ㅇ 이 법안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신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기금(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Fund)의 설립 근거를 마련했다는 것임.

  

 ㅇ 이 기금은 이미 프랑스 개발협회(French Development Agency), 세계은행, 세계 환경기금 및기타 국제 원조단체(독일개발은행, 일본 국제협력단체) 등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아 올해 초 2억 달러 규모로 조성함.

  - 이 기금은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 에너지 생산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며 정부 예산과 국제단체 기부를 통해 그 규모를 확대해 나갈 예정임.

  - 또한, 국내외 민간 기업 및 투자자들이 이 기금을 활용할 것으로 전망함.

 

 ㅇ 2007년에 수립된 국가 에너지 전략에 따르면 2020년까지 요르단의 에너지 구성비율은 석유 40%, 천연가스 29%, 혈암유(頁岩油; oil shale) 14%, 신재생 에너지 10%, 원자력 6%로 목표가책정됨.

 

 ㅇ 특히 이 국가 에너지 전략에 따르면 2015년까지 요르단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비중을 7%에서 2020년까지 1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임.

  - 이를 위해 2020년까지 1200㎿의 풍력과 600㎿의 태양열 에너지가 필요함.

 

 ㅇ 신재생 에너지 개발은 요르단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절대 필요함.

  - 현재 요르단 소비 에너지의 96%가 수입에 의존하며, 이는 GDP의 13%에 해당함.

 

 

□ 집중 태양열 발전 및 송신라인 구축에 관련 컨퍼런스 개최

 

 ㅇ 신재생 에너지 발전 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요르단 정부는 에너지 부문 투자자 및 관련 기업에 최근 개최된 컨퍼런스에 참여를 요청했음.(2010년 6월 21일 암만에서 개최)

 

 ㅇ 요르단 정부는 Feed-in Tariff(재생가능에너지의 고정가격 구매제도)를 도입해 신재생 에너지와 일반 에너지 가격 차이 보완하고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위한 토지 제공 및 세제해택 등 여러 장려책을 마련함.

 

 ㅇ 2010년 초, 2억 달러로 신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기금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Fund)을 마련했으며 이는 인센티브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이 인센티브 제도는 2~3개월 안에 완비 될 것으로 예상됨.

 

 ㅇ 한편 여러 외부 평가에 따르면, 정부 목표 충족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140억 달러가량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ㅇ 이와 함께 요르단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생산 된 전력 송신을 위한 전력망 강화에 힘씀.

 

 ㅇ 요르단 정부의 재생 에너지 활용 전략 수행을 위한 첫 번째의 세부 실행 단계로 두 가지 프로젝트가 있음.

 

 ① 100㎿ 규모의 집중태양열발전소 건립 (Independent Power Plant: 독립 발전소)

  - Kawar Energy Group이 4억 달러를 투입해 2012년 말까지 완공을 목표함.

 

 ② 암만 남부의 Qatraneh 지역의 기존 400㎸ 변전소에서 암만 북동부 Samra 변전소까지와 암만 서부 400㎸ 변전소까지의 180㎞ 400㎸ 복합회로 송신망 구축

 

□ 신재생 에너지 활용 계획

 

 ㅇ 요르단은 에너지 부존자원 빈약으로 인해 에너지 공급의 대부분을 천연 화석 연료에 의존함.

  - 매우 높은 에너지 수입 의존 (GDP의 13%에 상응하는 비용)

 

 ㅇ 특히, 전력 소비 증가율는 매년 평균 7%로 매우 높은 편임.

 

 ㅇ 이에 따라 요르단 정부는 202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비율을 10%까지 높이는 데 노력한다고 발표한 바 있음.

 ㅇ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주요 전력 생산은 풍력(1200㎿), 집중태양열발전(600㎿)으로 구성될 전망임.

 

 ① 풍력

  - Kamsheh Project 40㎿ 프로젝트

  - 암만 북부 25km, Jarash근처 위치

  - 그리스 기업 TERNA ENERGY SA와 계약(4000만 달러)

  - Fujaij 70~90㎿ 프로젝트

  - 암만 남부 240㎞, Shobak 근처 위치

  - 생산에 적합한 16개 기업 중 한 업체 선정 중

  - 2015년까지 300㎿ 생산 계획

  - 2020년까지 600㎿ 생산 계획

  - 총 1200㎿

 

 ② 태양열 발전

  - Ma'an 태양열 발전 100㎿ 프로젝트

  - 600㎿ 생산 계획

  ③ 바이오 에너지

  - 2020년까지 20~50㎿ 생산 계획

 

□ 이전보다 실현 가능성이 커진 신재생 에너지 산업

 

 ㅇ 요르단 신재생 에너지를 위한 환경은 전보다 개선됐음.

  - 2010년 2월에 발효된 신재생 에너지 법안은 적합한 규제 틀을 제공

  - 신재생 에너지 투자를 지원하는 신재생 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기금 (Renewable Energy and Energy Efficiency Fund)

  - 신재생 에너지발전소 건설 및 유지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과 토지 이용의 용이성

  - 신뢰할 수 있는 전력 송신망 구축

 

□ 현재 진행 중인 집중태양열 발전소 프로젝트

 

  2010년 5월, EU의 지원하에 5메가와트 규모의 집중태양열 발전소 건립 프로젝트가 시작됐으며 조만간 실험 및 교육용  집중태양열 발전소가 요르단 남부에 건설될 예정임.

  - 요르단 남부 Ma'an 개발지역 (Ma'an Development Zone)에 100㎿ 규모의 대형 민간 운영형태의  집중태양열 및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 수행 관한 연구가 진행 중임.

 

□ 집중태양열발전소 건설 후보 지역

 

 ㅇ Eshidiya, Kharana, Ma'an, Quairah, Ra's En Naqb, Focus 등의 일부 집중 태양광 발전 지역에 평가 (Lahmeyer 2010)에서 요르단 남지역의 Quairah와 Ma'an이 매우 좋은 입지 조건을 갖춘 것으로 나타남.

 

  ① Quairah : 지역 특성  

  - 지정학적 위치: 요르단 남부, Aqaba로부터 북쪽으로 60km 떨어졌으며, Wadi Rum 근처로 식물이 자라지 않는 넓고 평평한 대지

  - 직사태양광의 평균수치 (Direct Normal Irradiation: DNI): 2701kWh/㎡

  - 예비 발전 수행을 위해 최소 12㎢의 집중태양열 발전 지역이 요구됨.

  - 발전소 건설과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필요

  → 대형 트럭 진출입을 위한 도로 건설 및 철도 연결 가능

  - 전력망 연결 : 132㎸ 규모의 기존 Quairah 변전소로부터 남서부로 5㎞ 떨어진 곳에 위치

  - 토지 소유권 : 정부

  - 수자원 접근 : 지하수 개발을 통한 획득 가능, 그러나 요르단의 수자원 부족으로 인해 수자원을 통한 냉각 방식은 제한 (건조냉각 방식 사용)

 

  ② Ma'an DA : 지역 특성

  - 지정학적 위치 : 요르단 중남부. Aqaba로부터 북쪽으로 100㎞ 떨어져 있으며, 식물이 자라지 않는 평평하고 작은 돌이 많은 사막 지형

  - 직사태양광의 평균수치 (Direct Normal Irradiation: DNI) : 2,571kWh/㎡

  - 예비 발전 수행을 위해 최소 7.5㎢의 집중태양열 발전 지역이 요구됨.

  - 발전소 건설과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환경 조성 필요

  → 대형 트럭을 진출입을 위한 도로 건설 및 철도 연결 가능

  - 전력망 연결 : 33㎸ 규모의 기존 변전소와 주변 에너지 소모가 큰 중공업단지 연결 가능

  - 토지 소유권 : 정부

  - 수자원 접근 : 지하수 개발을 통한 획득 가능, 그러나 요르단 수자원 부족으로 인해 수자원을 통한 냉각 방식은 제한함.(건조냉각 방식 사용)

 

□ 투자 방안

 

 ㅇ 요르단은 전력 발전 프로젝트 발전을 위해 민간-공공 파트너 형태로 추진할  예정임.

 

 ㅇ 민간 부문 발전 사업자는 설계, 재정, 건설, 소유, 발전소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선정될 것이며, 생산된 전력은 Build-Operate-Own기반으로 요르단 전력회사 (NEPCO)에 판매될 것임.

 

 ㅇ 요르단은 Build-Operate-Own 방식을 기반으로 해 두 가지 Conventional IPP(독립발전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음.

  - Mitsui와 AES가 콘소시움을 형성해 운영 중인 암만 동부의 복합 발전소(370㎿)

  - KEPCO가 건설 중인 370㎿ 발전소

 

□ 재정 계획

 

 ㅇ 100㎿ 태양열 발전소의 예상되는 프로젝트 비용

 

 

백만 달러

%

예상되는 자본금

400

100%

기금 구성 (Sources of Funds)

예상되는 프로젝트 부채

300

75%

 

청정기술기금(CTF) 대출

100

25%

할인 대출(concessional loan)

100++

25%

상업 대출(commercial loan)

100

25%

주주 채권

100

25%

 

  청정기술기금(CTF) 부채와 기타 할인 대출 등의 요청은 특정 에너지의 기대 가격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이나 총 비용의 약 50%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함.

  채권에 의한 자금 조달은  20~25% 범위로 추정됨

 

□ 전력 송신망

 

  태양열 발전 및 풍력 발전을 통해 나온 재생에너지를 수용할 400㎸ 전력망 강화

 

  프로젝트의 목적

  - 요르단 남부지역의 풍력 및 태양열 발전으로 생산된 전력의 수용

  - 태양열 에너지 전송의 강화 및 EU를 포함한 주변 국가에 전력 판매

  - 8개의 유로 국가와 중동지역을 연결하는 전력 송신망 강화

  - 팔레스타인 West Bank로 전력을 송신해 West Bank 전력망을 통해 8개 국가와 연계하는 프로젝트

 

 ㅇ 프로젝트 개요

  - Samra에서 Qatrana 변전소까지 연결하는 400㎸ 복합 회로망 : 길이는 180㎞

  - 새로운 암만 서부의 s/s 400㎸ 변전소

 

 ㅇ 예상 비용

Projects

비용 (백만 달러)

180㎞ 400㎸ Double Circuit Overhead Line

70

변전소 확대

5

암만 서부 변전소

35

총비용

110

 

 ㅇ 재정 지원 소스

  - 청정기술기금(CTF Fund) - soft loan

  - IBRD

  - 유럽개발은행

  - 프랑스 개발기구

  - Neighborhood Investment Facility(NIF) 등

 

 

자료원 : Concentrated Solar Power Investor/Donor Conference Agenda (2010.6.21), KOTRA 암만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녹색정책] 야심찬 요르단 태양열발전소 및 송전선 프로젝트 계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