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SW] 中, 정보 안전 명목 ‘인터넷 검열’ 논란
  • 트렌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0-06-30
  • 출처 : KOTRA

 

中, 정보 안전 명목 ‘인터넷 검열’논란

- ‘인터넷 상황백서’(互联网白皮)발표 -

- 美, WTO 제재요청 준비, 무역장벽 우려-

 

 

 

□ 中 인터넷 정보 검열 개요

 

  2010년 6월 8일, 중국 정부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중국의 온라인 정보 통제를 지속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인터넷 상황백서’(互联网白皮)를 발표함.

 

 ㅇ 2010년 3월 ‘구글 철수 사태’로 인한 인터넷 정보검열 문제 제기 이후 ‘인터넷 상황백서’가 발표하면서 향후 중국 정부의 인터넷 정보 정책이 주목됨.

 

 ㅇ 중국 정부는 ‘인터넷 상황 백서’에서 중국의 인터넷 정보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은 국가안보와 공공이익 보호를 위한 중대한 사안임을 밝힘.

 

 ㅇ 국제사회는 정보 안전의 명목으로 시행되는 중국의 인터넷 검열에 대해 자국 기업의 이익을 위한 편향적 정책 시행을 우려하는 반응임.

 

□ 그린댐(Green Dam)소프트웨어 정책 유보

 

 ㅇ 2009년 5월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생산 및 판매되는 모든 컴퓨터에 정보 검열 소프트웨어 그린댐(Green Dam Youth Escort·绿坝)의 의무적 장착을 발표함.

 

 ㅇ HP, 델, 소니 등 PC제조업체에 중국 내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그린댐 소프트웨어의 의무 장착을 요구했으며 ACER, HAIER 등의 업체에서 그린댐S/W 디스크를 제공해 판매함.

 

 ㅇ 그린댐은 외설물을 전체 화면의 색과 구도로 구별하며 등록된 웹사이트나 검색어, 소프트웨어에 대해 강제로 차단하며 차단 조건이 지나치게 광범위하며 정치적 목적의 정보 통제에 따른 특정 기업에 대한 제재가 우려됨.

 

  인터넷 정보 통제를 위한 그린댐 설치 의무화에 대해 미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 위반이라는 서한을 중국정부에 보내며 강경한 입장을 밝힘.

 

 ㅇ 2009년 6월 30일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국제사회의 반대 여론으로 인해 정책 시행을 한시적으로 연기했으며 중국 내 학교나 PC방 등 공공시설의 컴퓨터에서 우선적으로 실시했음.

 

 ㅇ 중국 정부가 그린댐 장착 의무화 조치의 완전 철회가 아닌 연기 입장을 표명해 향후 또 다시 시장 관철에 나설 가능성이 있음.

 

그린댐(Green Dam)소프트웨어의 웹사이트 차단화면

 

 

□ 국제사회와의 대립

 

 ㅇ 중국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2010년 상반기 4억 명을 초과했으며 인터넷 컨텐츠 산업규모는 202억 4000만 위앤으로 최대 수준의 시장규모를 앞세워 국가 정책과 규제 등의 사한으로 외국기업에 대한 압력을 가함.

 

 ㅇ 구글은 현재 중국 정부의 검열 체계로 인해 홍콩으로 우회해 중국 본토에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특정 검색어와 일반 명사에서도 검색에 방해를 받는 상황임.

 

 ㅇ 구글의 잦은 오류로 인한 트래픽이 급감하면서 중국 로컬 업체 바이두의 반사이익으로 이어졌으며 바이두의 2010년 1분기 시장점유율은 64%로 증가했음.

 

 ㅇ 유튜브, 트위터 등의 접속 차단으로 중국 내에서 또한 인터넷 사용자들의 국제사회와의 단절을 위한 정치적 목적이라는 비난 여론이 확산됨.

 

 ㅇ 중국 IT분야의 응용범위가 확대되면서 이에 따른 정보 안전문제가 대두됐으며 중국 정부의 국가정보 안전보장 인증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IT제품에 대한 소스코드를 요구하기도 함.

 

 ㅇ 불건전 정보 규제를 명목으로 중국기업의 시장지배력을 넓히는 등의 불공정한 정책시행과 인터넷 표현의 자유 침해가 문제로 제기됨.

 

□ 시사점 및 전망

 

 ㅇ 중국 정부의 인터넷 정보검열은 정치적인 목적을 내포하지만 시장에서 다국적 기업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해 불이익을 가져다 주기도 함

 

 ㅇ 중국의 정보보호제품 시장은 2010년 약 2조 원 규모로 예상되며 매년 20%가 넘는 성장률을 고려할 때 정보보호제품 시장은 국내기업에게 또한 기회가 될 전망임.

 

 ㅇ 중국 정부의 인터넷 정보 검열에 대한 외국기업의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각 국가와 기업의 문제 제기를 반영해 공정성과 안전성 유지에 맞는 합리적인 제도의 시행이 이루어져야 함.

 

 ㅇ 불공정한 정책시행에 대한 중국의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미국, 유럽, 일본 등 주변국과의 지속적인 공조를 통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자료원 : 중국국가정보센터(中国国家信息中心), CNNIC, iResearch, KOTRA 상하이KBC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SW] 中, 정보 안전 명목 ‘인터넷 검열’ 논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