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1분기 중후판 생산현황, 조선용 강판비중 줄어가나
- 경제·무역
- 중국
- 다롄무역관
- 2010-05-25
- 출처 : KOTRA
-
中 1분기 중후판 생산현황, 조선용 강판 비중 줄어가나
- 수요량은 회복세 -
- 줄어든 이윤, 늘어가는 생산시설로 추가생산 동기부족 -
□ 개황
○ 작년 중국 선박용 강판 생산량은 전체 중후판 생산량의 24%를 점한 것으로 측정됐으며, 올해 제1분기 중국 선박강판 생산량은 약 383만5000톤으로 집계됐음.
○ 철강생산기업은 지속적으로 제품군을 조정하는바, 올해 선박용 후판 생산량이 전체 중후판 총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하락할 수도 있을 것임
출처 : 바이두
□ 수출입현황
○ 현황
- 중후판 수출입현황을 보면, 한국, 일본 중후판 생산능력도 지속적으로 강화됐음을 알 수 있음.
- 국제 경기의 점차적인 회복으로, 올 1분기 중국 중후판 수출량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했으나, 증가 절대량은 매우 작으며, 증가폭 역시 철강재 수출 총량의 증가폭에 비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음.
○ 수출
- 통계에 의하면 1분기 중국 중후판 수출량은 92만4000톤이며, 이는 61만9000톤의 중판재와 21만2000톤의 후판재 및 9만3000톤의 특후판재로 나뉨.
○ 수입
- 이와 동시에 1분기 중국 중후판재의 수입량은 25만 톤을 기록했으며, 이는 18만9000톤의 중판재와 4만9000톤의 후판재, 1만1000톤의 특후판재로 집계됐음.
- 따라서 1분기 중국 중후판재의 순수출량은 68만 톤에도 미치지 못함.
□ 생산현황
○ 중후판 생산현황
- 1분기 중국 철강생산업체가 생산한 중후판은 모두 1591만30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20.6% 증가됐음.
- 이중 중판생산량은 973만10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25.8% 증가됐으며, 후판 생산량은 499만50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17.1% 증가했으나, 특후판 생산량은 118만70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0.4% 줄어듦.
- 업계인사의 분석에 따르면, 1분기 중후판 생산량은 전년동기대비 대폭 증가했는데, 그 원인은 글로벌금융위기의 여파로 작년 중후판 총 생산량 자체가 감소해서 비교 모집단 자체가 작았다는 점과, 유관산업들의 강판수요량이 다시 증가되기 시작한 것에 기인함.
○ 선박용 강판 생산현황
- 중국 철강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선박용 강판 총 생산량은 1406만5000 톤으로 전체 생산 중후판 총량의 24.1%를 차지했음.
- 최근 중국 내 주요 리서치 회사들의 1분기 선박용 강판 생산량 통계자료가 아직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작년과 비교했을 때 1분기 중국 선박용 강판 생산 총량을 385만3000톤으로 전망함.
- 그러나 일부 중국 내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철강기업의 지속적인 제품 군 조정을 실시한 영향으로, 올해 중국 선박용 강판 생산총량이 전체 중후판 생산 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에 비해 하락했을 것으로 판단함.
□ 수요 전망
○ 비중감소 예상
- 선박용 강판의 향후 수요전망에 대해서는 비관론과 낙관론이 교차하나, 대체적으로 전채 중후판재 중에서 선박용 강판의 중요성은 감소하며, 수익성은 악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함.
○ 낙관론
- 제조업 경기가 되살아나, 중후판재에 대한 수요가 전보다 늘어남.
-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내 건설기계제조업의 총 생산가치는 전년 동기대비 40% 성장했으며, 이는 제조업 경기와 중후판재 수요 증가의 좋은 예임.
○ 비관론
- 선박용 강판에 대한 철강생산 기업의 매력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함.
- 다수 철강생산기업들은 전체 중후판 생산 총량에서 선박용 강판이 차지하는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이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이뤄짐.
- 중후판 전체를 놓고 분석해보면, 선박용 강판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후판재 및 특후판재 생산량 증가폭은 명백히 중판재 생산량 증가폭보다 낮다는 점을 알 수 있음.
- 이를 통해 선박용 강판 생산량이 일정량 증가한 것은 사실이나, 전체 중후판 생산량 전체의 증가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는 사실도 추론이 가능함.
- 또 다른 각도에서 분석해보면, 1분기 중국 중후판 생산량이 비록 전년동기에 비해 20.6% 증가했으나, 전체 철강제품 생산총량 증가폭인 28.6%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하며, 종류별 철강제품 종류별 성장률을 비교해 봐도 증가폭이 비교적 낮다는 점을 알 수 있음.
- 이는 명백히 중후판의 주요 사용업체가 조선업체, 기계제조업 등 강판수요 증가가 자동차, 가전제품업 등의 수요증가를 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임.
- 또한, 중국 내 신생 중후판 생산공장 프로젝트의 생산능력은 지속적으로 늘며, 장재(長材), 박판 등 제품에 비해 가격 상승폭도 크지 않아, 철강 생산업체들은 낮은 이윤을 감소하면서 중후판을 생산할 동기가 부족한 편임.
자료원 : 중국선박보, 바이두, KOTRA 다롄KBC 자체 분석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中 1분기 중후판 생산현황, 조선용 강판비중 줄어가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1분기 선박 수출입 현황
중국 2010.05.21
-
2
中, 2010년 1분기 선박공업 현황분석
중국 2010.04.28
-
3
中, 수출입은행 선박금융 나 홀로 역주행
중국 2010.04.28
-
4
中, 1분기 수리조선업은 활황
중국 2010.04.27
-
5
中, 2010년 1월 선박수출은 회복세로
중국 2010.04.15
-
6
中, 2009년 요녕성 선박공업, 큰 타격없이 발전해
중국 2010.04.15
-
1
中 광둥성, 2009년 선박 수출액 소폭 증가
중국 2010-03-08
-
2
[통관·수입규제] 미국 국제무역위, 한국산 무방향성 전기강판 산업피해 인정
미국 2013-12-04
-
3
일본, 반도체생산의 새로운 패러다임
일본 2010-05-25
-
4
中, 충칭직할시 경제성장 속도 예사롭지 않다
중국 2010-04-15
-
5
2010년 싱가포르 MICE 및 비즈니스 관광업 전망 밝아
싱가포르 2010-01-02
-
6
인도네시아 인프라 서밋,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프로젝트 100개 발표
인도네시아 2010-04-30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