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필리핀, 14개월 만에 수출 증가세로 반전
  • 경제·무역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김군기
  • 2010-01-13
  • 출처 : KOTRA

 

필리핀 ’09년 11월 수출 36억9000만 달러,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 전자제품 수출호조로 11월 수출, 전년 대비 5.1% 증가 –

- 11월까지 수출총액, 아직 26.4% 감소한 350억 달러 –

 

 

 

□ 11월 수출,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

  

 ㅇ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09년 1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추세를 이어가던 필리핀 수출이 전자제품 수출호조와 해외시장에서의 자동차부품, 사무용 및 산업설비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증가세로 돌아섰음.

 

 ㅇ 필리핀 통계청(National Statistics Office)이 1월 12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9년 11월 수출은 36억9200만 달러에 달해 2008년 11월 대비 5.1%, 전월 대비 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ㅇ 그러나 ’09년 1~11월 필리핀의 수출금액은 2008년 같은 기간의 수출금액 464억300만 달러에서 350억400만 달러로 거의 2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아직 본격적인 수출회복국면은 시기상조인 것으로 보임.

 

필리핀의 월별 수출실적

수출실적

2009

2008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1월

수출 총액

 

 

 

 

 

 

 

수출액(FOB, 백만 달러)

34.1

33.1

34.7

36.4

36.7

36.9

35.1

전년 동월 대비

-24.8

-25.4

-21

-18.2

-8

5.1

-11.4

전자제품 수출액

 

 

 

 

 

 

 

수출액(FOB, 백만 달러)

19.5

19.2

20.6

22.5

21.6

21.5

20.1

전년 동월 대비

-26

-25.2

-18.7

-13.2

-7.4

6.9

-17.2

 

□ 전자제품 수출호조

 

 ㅇ 품목별로 보면 전자제품의 수출이 214억8000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58.2%를 차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6.9% 증가했음.

 

 ㅇ 전자제품 수출의 39%를 차지하는 반도체는 14억4000만 달러로 높은 비중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월 대비 5.6% 감소했음.

 

 ㅇ 전자제품에 이은 2위의 수출품목으로 수출비중이 3.9%에 이르는 의류 및 원부자재는 1억3200만 달러의 수출실적을 기록했으나, 전년 동월의 1억3300만 달러보다 1.0% 감소했음.

 

주요 수출호조 및 부진품목

증가품목

전년 대비 증감률

감소품목

전년 대비 증감률

파인애플 및 제품

15.1%

참치

-38.5%

금속제품

12.5%

코코넛오일

-24.5%

전자제품

6.9%

목재품 및 가구

-11.8%

 

□ 미국 최대시장, 한국은 8위 수출대상국

 

 ㅇ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이 6억5400만 달러로 17.7%의 수출비중을 보였으며 뒤를 이어 일본이 5억9600만 달러(16.2%), 네덜란드 3억7800만 달러(10.3%), 독일 3억6700만 달러(10%), 싱가포르 2억7400만 달러(7.4%)로 각각 2~5위를 기록함.

 

 ㅇ 한국은 1억5900만 달러로 홍콩(2억6100만 달러), 중국(2억2700만 달러)에 이은 8위의 수출대상국 위치를 차지했으며, 태국(1억4400만 달러)과 말레이시아(1억20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0대 수출대상국을 형성함.

 

□ 2010년 우리나라의 수출전망

 

 ㅇ 2010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국면을 탈피, 연간 1.6~3.6%의 경제성장이 기대됨.

 

 ㅇ 2010년 5월 선거에 따른 경기부양과 매년 170억 달러 가량 유입되는 해외근로자의 국내송금에 따른 안정된 내수기반을 바탕으로 한 견고한 소비, 건축경기 활성화 등이 경제성장에 힘을 보탤 것으로 보임.

 

 ㅇ 이러한 필리핀 경제의 성장기대 속에 우리나라의 수출도 2009년 43억3000만 달러(추정)로 20% 가량 감소에서 15% 정도 증가한 49억8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이러한 전망 근거로는 경제성장에 따른 수입수요 회복, 산업용 원자재 중심의 수출구조, 국산제품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IT제품 등의 수출견인을 들 수 있음.

 

 

자료원 : 필리핀 통계청(National Statistics Office), Business Insight 등 언론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필리핀, 14개월 만에 수출 증가세로 반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