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바이사태, 중국 저장상인 해외투자에 영향
- 투자진출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12-21
- 출처 : KOTRA
-
두바이사태, 중국 저장상인 해외투자에 영향
- 중동수출 및 부동산투자에 피해 -
□ 두바이사태, 중국 저장상인 투자에 충격
○ 두바이의 채무불이행 사태가 중국의 원저우(溫州)상인 등으로 유명한 저장(浙江)상인에게 큰 충격
으로 다가온 것으로 나타남.
○ 두바이는 그동안 '중동의 출입문'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저장상인들의 제조업 수출에 있
어서 중동지역 최대의 무역 집산지로서 자리매김을 하여왔음. 두바이는 면세지역으로서 중동진출
저장상인의 보금자리 역할을 해왔음.
○ 저장상인들은 중동지역, 아프리카 지역으로 상품을 수출하기 위해서 대부분 두바이 지역을 경유
지로 하여왔으며, 이에 따라 두바이에 수많은 저장상인들이 모여 투자를 감행하였음.
○ 특히, 원저우 상인의 경우, 두바이 내 총 투자액이 50-60억 위앤에 달하며 주로 부동산, 전문시장
(건자재 및 안경), 무역(자동차 부품, 가구, 복장) 등 세 분야에 투자하였음. 최근 두바이의 부동산
가격이 반토막 나면서 이들의 부동산 관련 투자도 큰 손실을 입었다고 함.
○ 저장상인들의 주요 수출 통로인 닝보(寧波)의 해관통계에 따르면, 금년 1월-8월까지의 방직 및 복
장 수출액은 109억 달러에 달하였는데, 두바이 지역에 대한 수출은 8.5억 달러에 달하여 전체 수출
지역 중 미국, 유럽에 이어 3위에 달하였음.
○ 특히, 이러한 수출을 담당하였던 저장상인의 중간상의 피해는 막심할 것으로 보여지는데, 현재 두
바이의 중간상은 정상영업이 어려워지고, 대출도 정시상환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짐.
○ 이에 저장상인들은 자체 회의를 통해 두바이 사태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는데, 첫번째 방안
은 대금회수를 빨리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며, 두번째는 계약서 체결에 신중을 기하는 것임.
□ 수출 및 투자위주의 해외투자 전략 재조정
○ 두바이 사태 이후, 중동지역으로의 수출은 크게 급감하였는데, 주요 원인은 두바이가 중동수출의
관문으로 그동안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채무불이행 사태가 나타나면서 두바이를 통한 수출이 막
혔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저장성 샤오싱(紹興)은 중국 복장산업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지역의 중동수출은 1월-10월
수출액은 7.3억 달러로 동기 대비 11.7% 하락함.
○ 이러한 추세는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중국은 이러한 세계경제의 영향
에 대응하기 위해 수출보다는 내수 및 투자에 집중하여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매우 큼.
○ 2009년 중국의 소비증가는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나, 소비를 확대하는 것은 소비자의 소비능력 및
소비환경과 맞물려 한계를 나타냈음. 지난 3분기 중국 경제성장은 7.7% 증가하였으나, 그 중 투자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7.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소비부분의 공헌은 4%에 머물렀다. 수출
부문의 공헌은 오히려 3.6% 줄어들었음.
○ 이러한 상황은 2010년에도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투자 및 내수소비를 통한 지속적인
경제발전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 시사점
○ 두바이 사태는 수출을 통한 경제성장을 하여온 중국에 큰 충격을 주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기지'
로서의 저장지역에 큰 피해를 주고 있음.
○ 저장상인의 두바이 지역에서의 손실은 중국 내 투자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그
동안 수출 및 부동산투자 위주의 해외투자 정책에도 영향을 끼침.
○ 전세계의 글로벌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나비효과(Butterfly Effect)'도 점차 심화되어지고 있
는 시점에 이러한 두바이 사태에 직/간접적인 영향은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갈 것으로 보임.
○ 이에 따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도 중동수출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전략적 재
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화하시보(華夏時報) 등 현지 언론 종합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두바이사태, 중국 저장상인 해외투자에 영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소비자, 재생에너지 생산 전력 선택적 사용 시대 임박
필리핀 2009-08-14
-
2
中, 고정자산투자가 이끄는 서부지역 경제성장
중국 2009-08-31
-
3
싱가포르 10월 NODX, 전년 대비 6.1% 감소
싱가포르 2009-11-19
-
4
일본 바이어의 조언, 경쟁력 강화는 이렇게
일본 2009-12-11
-
5
美, GM 파산보호신청 이후 동향
미국 2009-06-30
-
6
싱가포르, 일회용품의 진화
싱가포르 2010-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