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태국, 바트화 강세 지속
  • 경제·무역
  • 태국
  • 방콕무역관 박영선
  • 2009-12-08
  • 출처 : KOTRA

 

태국, 바트화 강세 지속

 

 

 

□ 바트화 강세 요인

 

 ㅇ 태국 바트화는 9개월 전 1달러당 36.2바트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강세가 이어져 12월 7일 현재 33.1바트를 나타냄.

 

월말 기준 달러 대비 바트화 환율

2

3

4

5

6

7

8

9

10

11

12.7

환율

36.0

35.5

35.2

34.3

34.0

34.0

34.0

33.5

33.4

33.2

33.1

자료원 : Bank of Thailand

 

 ㅇ 바트화가 이처럼 지속적으로 수개월째 강세를 보이는 이유는 아래와 같음.

 

 ㅇ 첫째, 달러가치의 하락임. 지난 6개월간 달러화의 가치는 다른 주요 통화 대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음. 이처럼 달러의 가치가 하락한 이유는 경기침체 시 가장 안전한 통화로 인정받는 달러화를 투자가들이 매수했다가 경기회복의 조짐이 나타나자 이를 매도하고 다른 국가의 자산을 구매하기 때문으로 풀이됨.

 

 ㅇ 투자가들이 달러 대신 다른 통화를 구매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달러는 이자율이 낮기 때문임. 미국 중앙은행은 그동안 경기활성화를 위해 이자율을 지속적으로 낮춰 현재 달러화의 이자율은 일본 엔화와 스위스 프랑보다 더 낮게 됐음.

 

 ㅇ 둘째,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투자자금이 아시아의 신흥시장으로 몰리기 때문에 바트화도 강세를 보임. 올해 3월 이후 수천억 달러의 자본이 아시아시장으로 흘러왔는데, 국별로 보면 한국 212억 달러, 인도 142억 달러, 대만 109달러, 태국 150억 달러 등임.

 

 ㅇ 이 외국자본은 아시아 각국의 주가 및 통화가치뿐만 아니라 홍콩, 싱가포르, 중국 등의 부동산 가격도 상승시켰음. 아시아의 경제가 다른 지역보다 계속 더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외국자본도 더 유입되고 현지 통화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ㅇ 셋째, 바트화 가치가 상승하는 또 다른 요인은 경기침체로 인해 태국의 수입이 대폭 감소해 경상수지의 흑자폭이 크게 나타났기 때문임. 실제로 2008년의 경우 태국의 전체 수출액이 1777억 달러로 수입액 1787억 달러보다 적어 무역적자를 나타냈음. 그러나 올해 1~10월 중 수출은 1241억 달러로 수입액 1065억 달러보다 176억 달러가 많은 무역흑자를 보임.

 

태국의 기간별 무역수지

            (단위 : 억 달러)

기간

2008년

1~6월

1~10월

수출

1,777

682

1,241

수입

1,787

572

1,065

수지

-10

110

176

자료원 : 태국 상무부

 

□ 바트화 강세의 영향

 

 ㅇ 자국 통화가 달러 대비 지나치게 강세가 될 경우 수출경쟁력을 잃기 때문에 각국의 중앙은행은 달러를 구매해 자국 통화가치를 하락시키는 정책을 펴게 됨. 태국 중앙은행도 이와 같은 이유로 그동안 150억 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달러를 매입했음. 11월 말 현재 태국의 외환보유액은 1550억 달러로 올해 초보다 31% 증가했음.

 

 ㅇ 문제는 중국의 위앤화가 주변 아시아국가의 통화보다 약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경쟁력이 위축된다는 것임. 태국정부는 중국의 자국통화 약세정책이 지속되는 한 바트화의 강세를 최대한 억제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예상됨.

 

 ㅇ 한편 한국 원화도 지난 수개월 간 경기회복에 따라 외국자본이 유입되면서 지속적으로 강세를 나타냄. 올해 2월 달러당 1510원을 기록했던 환율은 12월 7월 현재 1152원을 기록

 

 ㅇ 한국 원화도 이처럼 달러화 대비 강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바트화 강세로 인한 무역조건은 서로 상쇄돼, 수출 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임.

 

 

자료원 : 방콕포스트, 태국 상무부, Bank of Thailand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바트화 강세 지속)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