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의 핫머니 증가요인 분석
  • 투자진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11-28
  • 출처 : KOTRA

중국의 핫머니 증가요인 분석

 

 

□ 중국 외환보유액의 증가세

 

 ○ 10월 14일 인민은행 외환 보유액 2조27억 달러, 동기 대비 19.26% 증가

  - 지난 3분기동안 외환 보유 증가액 약 3266억 달러, 9월에만 618억 달러 증가

  - 9월 무역수지 129억 달러, FDI 79억 달러, 정상 외화보유액을 무역수지+FDI의 합으로 봤을 때, 약 300-400억 달러의 핫머니유입

  - 올해 추가적으로 쌓인 중국의 외화보유액 가운데 1200억 달러 이상이 핫머니 성격으로 추정됨

 

        

자료원: 국제금융센터

 

 ○ 핫머니 추정의 한계

  - 중국의 보유 외화의 일부는 달러 이외의 화폐인데 전체적으로 달러가 절하되는 상황에서 비달러화폐를 달러로 계산했을 경우 외화보유액이 자연히 증가

  - 중국의 외화관리국과 해관의 무역수출입액을 산출하는 방법이 다름. 또한 상무부와 외환관리국의 FDI액 산출금액에도 큰 차이를 보임  

 

□ 핫머니의 이론적 근거: 피셔의 국가 간 자금 이동설

 

 m=rd-(re+e)

  - m: 중국 내 핫머니 유입액

  - rd: 중국금리

  - re: 다른 국가 금리

  - e: 위안화 환율 변동분

 

 ○ 중국의 금리가 상승되거나 다른 국가의 금리가 인하될 경우 중국으로 핫머니 유입

  - 글로벌 위기가 그 정점을 지나면서 핫머니가 중국으로 들어갈 최적의 조건이 형성

  - 각국의 이자율 현황 (09년 11월 20일 기준)

 

국가

현행 이자율

변동 전 이자율

변동된 시기

중국

5.31%

5.58%

2008년 12월

우리나라

2.00%

3.00%

2009년 2월

대만

1.25%

1.50%

2009년 2월

영국

0.50%

1.00%

2009년 3월

일본

0.10%

0.30%

2008년 12월

미국

0.25%

1.00%

2008년 12월

자료원: www.fxstreet.com

 

□ 외환보유액 증가원인 관련 다른 견해

 

 ○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 Bank)은행 중국지역연구주임 왕지호(王志浩)

  - 수입업체가 달러를 매입해 결제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결제하여 달러의 수요를 감소시킴. 이로써 금리차익과 환차익을 동시에 획득.

  - 결과적으로 인민은행의 인민폐환율 안정에 압박을 가하고 외환보유액의 증가를 초래

  - 중국 내 금융기관의 외환대출이 지난 몇 달간 감소세를 보이다가 6월 들어 증가. 증가율이 3월에 -11.7%에서 9월 28.3%로 상승, 이는 직접적인 달러 보유상승의 원인

  - 더불어 외환예금액의 하향세가 두드러짐. 9월에 32억 달러가 감소하여 연속 3개월째 감소추세

 

□ 핫머니 유입의 영향

 

 ○ 시중 자금 유동성이 높아져 자산거품 및 물가상승 유발

 ○ 위안화 수요 증대로 위안화의 강세 초래. 수출 기업에 악영향

    

자료원: 국제금융센터

 

□ 핫머니 유입 조정방안: 환율 VS 금리

 

 ○ 브루킹스·청화(清华)공공정책연구센터 주임 소경(肖耿)

  - 2005년 7월 변동환율제로 개정된 후 위안화 20% 평가절상 됨, 그러나 오히려 수출은 매년 20% 안팎으로 늘고 핫머니 유입 촉진

  - 문제의 근원은 금리임. 세계적으로 금리가 너무 낮아 중국의 생산가격, 미국의 소비가격이 낮게 유지

  - 금리를 올려 제품가격의 높이고 소비를 줄여야 함

 

 ○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 유명강(明康)위원장

  - 미국의 초저금리 상태는 대규모 달러 캐리 트레이드를 촉발, 해외자산시장의 투기를 부추겨 글로벌 경기 회복을 위협

  - 달러 약세가 중국의 금리 인상결정에 영향

 

 ○ 위안화 절상 가능성  

  - 올 3월 이후 중국을 제외한 브라질, 러시아, 인도화폐가 달러대비 각각 38%, 24%, 10% 절상 됨.

  - 위안화 절상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비용(발행금리)이 투자수익(미국채권 금리)보다 높아 역마진이 발생

  - 위안화의 역외선물환율이 최근 들어 하향세를 보이면서 3%절상을 반영

  - 양호한 경기지표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내수확대 등 중국의 소비가 늘어나기 위한 발판 마련

 

 ○ 인민은행에서 과잉 유동성 조정을 위해 이미 지난 2분기 은행 간 이자율과 상업은행의 어음할인율을 상향조정했다. 한편, 지금까지 환율을 고정시킴으로써 중국경제 회복을 촉진시켰지만, 향후 인민폐 절상은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인다.  

 

 

자료원: 재경(财经), 신경보(新京) 등

작성 : 김홍원.   감수 : 허성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핫머니 증가요인 분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