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키스탄 남부 발로치스탄 GWADAR항 개발 2단계
- 투자진출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김한승
- 2009-11-24
- 출처 : KOTRA
-
파키스탄 남부 발로치스탄 GWARDAR 항 개발 2단계
두바이를 모델로 개발 계획
작성자 : KOTRA 카라치 KBC 김한승 과장
연락처 : hihi0017@kotra.or.kr
1. Gwardar Port 의 잠재력
ㅇ 발로치스탄 주의 과다(Gwadar)항은 전세계 석유의 60% 이상이 운송되는 해상항로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서로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남북으로는 아라비안해와 내륙의 아프카니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중앙아시아를 연결할 수 있는 지정학적 장점을 보유
ㅇ 파키스탄 정부는 1차 걸프전 이후 이러한 Gwardar의 지정학적 위치와 낙후된 파키스탄 서부지역 개발을 감안해 1993년부터 Gwardar에 Deep-Sea Port 건설을 추진해옴.
ㅇ Gwardar 항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동부 아프리카, 오만, 아랍에미레이트, 카타르, 바레인, 사우디, 쿠웨이트, 이란, 이라크 등의 화물 물동량을 흡수 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
ㅇ Gwardar 항은 파키스탄 서북부의 풍부한 자원개발이 본격화 될 경우 자원 수출의 주요 수출항으로 성장할 것을 기대하고 있음.
ㅇ 특히 중국은 이러한 Gwardar 항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중국의 에너지 및 자원 수급의 발판으로 활용하기 위해 Gwardar항 개발에 상당한 지원과 투자를 해오고 있음.
GWARDAR 항 위치도
2. Gwardar 항 개발 계획
ㅇ Gwardar 항은 현재 1단계 공사가 완료되어 3개의 다목적 선석과 100m 길이의 서비스 선석 1개를 갖추고 2만 5천톤(DWT) 급 컨테이너선 또는 3만톤급 벌크선 처리 가능
ㅇ 파키스탄 정부는 과다항 개발의 다음 단계로서 Gwardar 항을 두바이나 싱가폴과 같은 비즈니스와 관광산업이 결합된 항구도시로 개발하기 위한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짐.
□면세 및 자유경제지역으로 설정
ㅇ 파키스탄 정부는 이미 과다(Gwardar) 항을 면세항구(Duty Free Port)이자 자유경제지역(Free Economic Zone)으로 선포하였으며 이는 과다항을 장차 상업적인 측면뿐 아니라 다양한 범위에서의 개발 국면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현지 언론은 기대하고 있음.
□ 관광산업 육성 계획 수립
ㅇ 과다항 주변은 아름다운 해변으로 천연의 관광자원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관광산업의 잠재력도 큼
ㅇ 파키스탄 정부는 이 지역을 관광산업 단지로 개발하기 위해 이미 호텔, 모텔, 보드클럽, 테마파크, 해양공원 및 기타 레크레이션 산업 개발계획을 이미 수립하였고 파키스탄 관광개발공사(Pakistan Tourism Development Corporartion : PTDC)에 의해 Gwardar 관광 복합단지(The Tourist Complex) 건설 계획 수립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현지언론은 전하고 있음.
ㅇ PTDC는 또한 파키스탄 남부의 아름다운 해변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에 이미 착수했으며 카라치와 과다항을 연결하는 페리 서비스 프로젝트를 위한 민간 투자 유치 작업도 개시함.
3. 개발의 걸림돌 : 사회 정치적 불안
ㅇ 파키스탄은 파키스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몇 년간 팔레반 및 이슬람 급진주의자들에 의해 외국인과 민간인에 대한 테러가 지속되고 있고, 아프카니스탄 접경지역에서는 탈레반과의 전쟁이 진행 중임에 따라 극심한 사회 불안 현상과 치안 부재현상이 심화되고 있음.
ㅇ 이러한 정치 사회적 환경을 이유로 2006/7 회계년도까지 꾸준히 증가해오던 파키스탄에 대한 외국인 투자도 2007/8년 회계연도부터 감소세로 들어서고 2008/9회계연도에는 해외 직접투자가 전년대비 27%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ㅇ 파키스탄은 산업발전 단계로 볼 때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자체로 충당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유치를 정책의 최 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의 경제위기와 사회, 정치적 불안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 유출은 정책 집행의 크나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됨.
대 파키스탄 외국인 투자 동향
(단위 : 백만불, %)
구 분
2006/7년
2007/8년
2008/9년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금 액
증가율
직접투자
5,139.60
45.9
5,152.80
0.26
3721.8
-27.7
포트폴리오
1,820.40
417.8
19.3
-98.3
-509.2
-360.3
합 계
6,960.00
79.7
5,172.10
-39.5
3212.6
-37.8
자료원 : 파키스탄 중앙은행
4. Balochistan Development Package
ㅇ 발로치스탄 주는 파키스탄의 가장 가난한 지역으로 파키스탄의 4개 주 중에서 생활수준이나 철도, 도로, 통신망을 포함한 기타 사회적 지표가 타 지역에 비해 현저히 뒤쳐져 있는 주로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광범위한 범정부 차원의 경제개발 추진이 필요한 지역임
ㅇ 파키스탄 정부는 발로치스탄 지역의 파키스탄 경제의 중요도를 감안하여 이 지역 정치사회 불안을 완화하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계획이 논의되어 왔으며 11월 24일 정부에 의해 관련 개발 법안이 의회에 제출됨.
ㅇ 발로치스탄 개발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것으로 연방정부와 발로치스탄 지방정부간의 정치적 문제인 것으로 현지 언론과 정부측에서 인식하고 있어 개발 패키지에는 이러한 정치적 마찰의 해결방안과 함께 지역개발을 위한 프로젝트가 포함된 것으로 현지 언론은 예상하고 있음.
5. 우리 기업 시사점
ㅇ 중국은 이미 자원확보 정책의 일환으로 과다항에 상당한 자금과 기술지원을 해오고 있는 등 과다항 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음.
ㅇ 비록 최근 파키스탄 경제 침체와 정정 불안으로 외국인 투자가 감소하고 있고 발로치스탄 지역의 열악한 인프라 상황으로 인해 당장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아직까지는 2단계 개발계획이 계획단계에 불과하나, 향후 세계경제 회복과 탈레반과의 전쟁이 성과가 있어 정정불안 상황이 완화될 경우 파키스탄에서 Gwardar 항의 지정학적 중요도로 볼 때 재원조달과 실제 개발 계획 추진 및 성사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됨.
ㅇ 따라서 향후 이 지역에서의 다양한 건설공사 프로젝트와 투자진출 기회 확대가 가능함으로 Gwardar 항 개발 추진 진행 현황을 관심을 갖고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Pakistan Economist, Dawn News 등 현지언론 및 KBC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남부 발로치스탄 GWADAR항 개발 2단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對페루 투자 러시
페루 2009-11-25
-
2
요르단의 에너지 현황 및 향후 정책
요르단 2009-11-24
-
3
2010년 슬로바키아 경제 1.5% 성장, 높은 실업률이 난제
체코 2009-11-12
-
4
[산업기술] 스웨덴, 파력발전 현황
스웨덴 2009-10-27
-
5
싱가포르 내 한국 승용차 판매 호조
싱가포르 2009-03-21
-
6
시리아, 2008년 무역적자 크게 증가
시리아 2009-12-1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