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금융위기 1년 후, 중국 소비트렌드 이렇게 변했다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10-27
  • 출처 : KOTRA

 

금융위기 1년 후, 중국 소비트렌드 이렇게 변했다

- 디지털 코쿠닝족 등장에 따른 인터넷 비즈니스 활황 -

- 직장인 자기 개발열풍으로 온라인 교육산업도 호황 -

 

 

 

□ 디지털 코쿠닝족을 잡아라

 

디지털 코쿠닝(Coconing, 宅經濟 : 자이징지)

‘자이징지(宅經濟)’는 온라인 네트워크의 급속한 발전으로 나타난 신조어로 ‘외출과 사교활동보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집 안에서 이뤄지는 경제활동을 말함. 중국에서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30대 위주의 디지털 코쿠닝족이 부상하고 있음.

 

 ㅇ 구매력 감소로 외출 대신 온라인 게임 및 쇼핑 인기몰이

  - 브랜드를 중시하고 럭셔리 소비를 즐기던 고소득 소비층이 외출을 줄이고, 중산층도 쇼핑과 여가활동을 줄이고 온라인게임, 온라인쇼핑에 나서고 있음.

  - 중국 내 디지털 코쿤족의 대부분은 20, 30대 대학생과 화이트칼라 계층임. 이들은 인터넷 및 컴퓨터 조작에 능숙함.

 

 ㅇ 히트상품 : 온라인게임

  - 2008년 9월 미국발 금융위기 속에서도 온라인 게임시장은 나홀로 호황을 누리고 있음. ‘2008년 중국 게임산업 조사’에 의하면, 2008년 중국 온라인시장 매출액은 전년 대비 76.6% 증가한 183억8000만 위앤에 달함. 2008년 온라인게임 유저는 전년 대비 22.9% 증가한 4936만 명임.

  - 온라인게임 사이트 ‘17173’에 따르면 2008년 9월 1일 이후 하루 5시간 이상 온라인게임을 하는 이용자가 대폭 증가했으며, 2007년 대비  5~8시간 게임하는 이용자가 11.5% 증가함.

  - 온라인게임업계에서 발표한 재무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 2/4분기 각 회사는 영업수입이 20~70% 증가했음.

  - 불황 속에서 온라인게임산업이 쾌속 성장하는 요인은 1) 실업자 증가(2009년 ‘사회 블루북(社會藍皮書)’에 의하면 중국 도시 실업률은 9.4%에 달하며, 대학생 실업률은 12% 이상) 2) 기업 도산 및 감원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 등이 있음.

    

網易에서 개발한 히트게임 몽환서유(夢幻西遊)

주 : 2009년 7월 5일 이용자 229만 명에 달하는 기록 돌파

자료원 : xyq.163.com

 

□ 초절약 공짜경제(Freeconomics)가 대세

 

'초절약이 미덕(省長 : 셩쟝)'

‘셩쟝’은 ‘절약하는 장관(省錢的長官)’의 준말로 ‘절약형 사치생활’을 누리는 것을 가리킴. 이러한 소비 절약 트렌드에는 할인쿠폰 및 시식권, 온라인 공동구매 등을 이용하는 것이 포함됨.

 

 ㅇ 금융위기 후 소비자들은 다양한 소비 절약법 모색 중

  - 요식업 및 유통업계 등에서 할인권 및 쿠폰발행 등으로 마케팅을 하는 한편 이것을 충분히 이용해 적은 비용으로 윤택한 생활을 유지하려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임.

  - 20~40대의 중산층 화이트칼라 여성들 사이에 ‘셩쟝(省長 : 省錢的長官)’ 트렌드가 주를 이룸. 금융위기로 인해 경제적 위기를 느끼지만 기존 소비 라이프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다양한 新 절약방식을 적극적으로 모색함. 그 중 쿠폰사용과 무료체험이 가장 대표적임.

 

 ㅇ 히트 소비 방식 : 샘플족(試客 : 스커)

  - ‘스커’는 제품을 무료체험한 후 평가하는 테스터들을 가리킴. 중국의 ‘스커’들은 2006년 출현하기 시작했으며, 금융위기 후 급증해 2008년 말 ‘스커’는 330만 명에 달했으며 2009년 상반기엔 5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

  - 현재 유행하는 무료체험 제품은 주로 화장품, 전자제품, 교육도서, 생활용품, 건강식품, 이·미용품, 액세서리 등이며 그 가운데 화장품 무료체험이 가장 활발히 진행됨.

  - 무료체험이 성행하는 이유는 소비자 측면에서 비용절약뿐만 아니라 기업 측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탁월한 광고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임.

 

비비크림 무료 체험자 모집 홈페이지 광고

자료원 : itry

 

□ 불황기 생존법, 샐러리맨은 '공부 중'

 

 ㅇ 불황 속에서 경쟁력 향상을 위한 자기개발 열풍

  - 직장인들은 몸값을 높이기 위해, 실업자들은 구직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자기 개발 노력을 하고 있음. 외국어 공부 및 각종 교육(재무, IT)에 참가하는 자들도 급증하는 추세

  - 관련 사이트에서 2009년 발표한 집계에 따르면 교육 관련 정보의 업로드량은 일당 5000여 건 이상이며, 총 관련 정보량은 15만 건을 초과함. 2008년 12월 교육 관련 정보 조회수는 8월 대비 40% 증가함. 특히 외국어교육, 업무 관련 교육, 유학 등의 조회수가 대폭 증가하는 추세임.

 

 ㅇ 히트상품 : 온라인 교육

  - 베이징청년보(靑年報)의 보도에 따르면 2009년 온라인대학 춘계 신입생 모집은 2008년에 비해 대폭 증가했으며, 일부 온라인 학교의 신입생 증가폭은 20%에 달했음.

  - 온라인 학습사이트인 ‘학습항(學習港)(www.xuexigang.com)’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 하반기 온라인 학습 신청자는 상반기 대비 37% 증가함.

 

중국 내 주요 온라인 영어 학습망-바이이(百易, www.100e.com)

주 : 가입자 500여 만명에 달함.

자료원 : 百易

 

□ 불황기, 돋보이는 립스틱 효과

 

 ㅇ ‘사치 소비’에서 ‘저가 소비’로 전환

  - 불황으로 사람들의 소득은 줄었지만 기본적인 소비욕구 만족을 위해 저가제품과 서비스에 눈길을 돌리는 추세. 일례로 여행 대신 영화관람을 하고, 립스틱과 같은 저렴한 화장품으로 화장품에 대한 욕구를 만족시키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소비 트렌드의 주류는 금융위기로 소득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중산층임. 이들은 금융위기 전 ‘사치 소비’에서 ‘저가 소비’로 전환

 

 ㅇ 히트상품 : 영화

  - 중국 영화시장 박스오피스 집계에 따르면 2009년 1월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2% 증가한 6억3500만 위앤에 달하며, 이는 2008년 1월과 2월 합계 매출액을 초과한 것임.

  - 2009년 상반기 박스오피스는 2008년에 비해 39% 증가했으며 그 중 1억 위앤 이상의 박스오피스를 창출한 영화는 모두 8편으로 전년 대비 2배로 증가함.

  - 중국 영화 소비가 급증한 원인은 1) 중국 문화산업의 지속적 향상 2) 영화 소비 수요의 기초 여건 형성 3) 금융위기 영향에 따른 립스틱 효과 등 때문임.

 

2009년 중국과 홍콩에서 공동제작한 애니메이션 ‘McDull, Kung Fu Kindergarten(麥豆響当当)’

자료원 : 상하이핫라인(上海熱線)

 

□ 주방으로 들어간 셀프족(回歸廚房)

 

  외식 횟수가 줄면서 주방 관련 소가전 판매 증가세

  - 금융위기 이후 셀프족들의 증가로 소형가전 판매가 급증하고 있음. 값비싼 외식을 줄이려는 이들이 늘면서 집에서 음식을 하거나 반조리식품 열풍이 불고 있음.

  - 도시락을 싸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으며, 전자레인지나 주방용품 등 소형가전 판매가 눈에 띄게 늘고 있음.

  

 ㅇ 히트상품 : 두유제조기

  - 특히 두유는 중국인들이 전통적으로 아침 대용으로 즐기는 것으로 두유제조기는 사용도 간단하고 위생적이어서 불황기에 금전적인 절약과 건강을 챙기려는 셀프족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음.

  - 이 밖에도 두유제조기의 판매율이 급증하고 있는 데에는 중국 내 큰 파문을 일으킨 ‘멜라민 분유 사태’로 우유 대신 두유를 찾는 중국인이 늘었기 때문임.

  - 2008년 중국의 두유제조기 판매량은 1000만 대를 돌파했으며, 2007년 동기 대비 50% 이상 판매증가율을 보임. 특히 2008년 하반기부터 급속한 판매신장이 이뤄짐.

  - 2009년에도 판매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음. 중국 두유기 제조시장 내 80% 점유율을 차지하는 지우양 두유제조기는 2009년 상반기에 매출수입이 2008년 대비 35.13% 증가함.

 

□ 현지 마케팅 전문가 인터뷰

- 월마트 관계자 Ms. Zhang Jin(沃尔店 人力源部 瑾 ),

- 컨설팅사 관계자 Mr. Ye Wei Qiang (立信信息咨公司 总监 强)

 

 비용 절감 전략 필요

  - 기업 경영원가와 생산원가를 낮춰, 제품가격을 낮추는 것이 필요함.

  - 금융위기 속에 대부분 절약소비가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부상하고 있음. 따라서 품질이 비슷하다면 가격이 더 낮은 제품을 찾는 것이 소비자의 제품 구매 포인트가 될 것임.

  - 대부분의 소비자가 ‘가격대비 품질 만족도’의 기준을 중요시하고 있어, 똑같은 제품이라도 2가지 제품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다기능 제품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온라인 유통채널 확보 필요

  - 온라인 유통채널을 통해 광고효과를 확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흥 소비 주력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젊은층의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로 활용 가능.

  - 특히, 온라인 쇼핑시장이 쾌속 발전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이 커버하는 제품도 의류, 보석류, 여행, 항공권 예매 등 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므로, 온라인 유통채널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 KOTRA 상하이 KBC 자체 보유자료,  인터뷰 자료, 타오바오왕, iReseach, 百度, 賽適網, 小家電網, 21世紀商業評論, IT 世界網, 新浪網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금융위기 1년 후, 중국 소비트렌드 이렇게 변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