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올 9개월간 무역적자 65억 달러
  • 경제·무역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노동욱
  • 2009-10-16
  • 출처 : KOTRA

 

베트남, 올 9개월간 무역적자 65억 달러

- 3분기 중 무역적자 44억 달러로 높은 증가추세 -

- 베트남 수출·입, 전년 대비 물량 증가, 금액 감소 -

 

 

 

□ 올 9개월간 베트남 수출·입 동향

 

 ○ 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올 9개월간 베트남의 수출은 417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3% 금액이 감소, 수입은 482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2% 감소함. 올 9개월간 무역수지는 65억 달러의 적자를 보임.

 

 ○ 베트남은 올 1분기에 세계경기 악화에 따른 영향으로 수출과 원·부자재 수입이 급감하면서 무역흑자를 이뤘으나, 2분기 이후 경기회복 기미에 따른 베트남 국내산업의 활동으로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되면서 예년 같은 무역적자추세를 보임.

  - 분기별 무역수지는 1분기 14억9900만 달러 흑자, 2분기 35억9600만 달러, 3분기 43억62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 올 7, 8월의 베트남 수출실적은 48억 달러, 45억 달러(기존 추정금액 47억 달러)로 최근 베트남의 수출은 감소추세를 보임. 9월 베트남의 수출금액은 전월에 비해 조금 상승한 46억8000만 달러로 추정됨.

  - 추정치는 실제 수입금액보다 다소 높게 책정함.

 

 ○ 베트남 올 9개월간 주요 분야별 제품 수출에서 중공업제품과 광물은 전년 수치인 31.4%에서 28.5%로 감소했으며, 경공업제품과 소비재는 45.7%에서 40.6%로 감소함. 반면 농·수·임산물에 대한 수출은 22.4%에서 24.5%로 소폭 증가됨.

 

 ○ 올 9개월간 베트남 수출품목의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모든 품목이 증가했으나 수출금액에선 수출단가의 하락에 따라 다소 감소추세를 보임.

  - 베트남의 주요수출품목 24개 중 6개의 품목 수출금액만 증가했으며, 이 외 품목에선 감소됨.

  - 후추의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52.1% 증가했으며, 금액에서 5.5% 증가함. 찻잎의 수출량은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했으며, 금액에서 13.9% 증가함.

  - 유류품목과 고무의 수출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감소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US$ 백만)

품목명

2006

2007

2008

2009.1~9

섬유 및 직물제품

5,802

7,750

9,108

6,730

원유

8,323

8,488

10,450

4,768

수산물

3,364

3,763

4,562

3,027

신발류

3,555

3,994

4,697

2,958

금속, 보석제품

169

201

767

2,648

1,276

1,490

2,902

2,244

전기제품

1,770

2,154

2,703

1,921

목제품

1,904

2,404

2,779

1,768

기계·플랜트 및 부품

-

-

-

1,369

커피

1,101

1,911

2.022

1,307

기타

12,562

16,406

24,936

12,996

합계

39,826

48,561

62,906

41,736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9개월간 베트남의 수입금액 또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음. 7월의 수입금액은 63억 달러, 8월 58억 달러(추정치는 62억 달러)임. 베트남 통계청의 9월 수입금액은 62억 달러(추정)로 전월 대비 6%,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함.

  - 베트남 자국기업의 수입은 310억 달러, 외국투자기업 173억 달러로 각각 28.4%, 18.9% 감소함.

 

 ○ 올 9개월간 베트남 주요분야별 제품 수입에서 기계설비 및 부품은 전년 동기 수치인 23.7%에서 28.4%로 소폭 증가했고 소비제품은 6.7%에서 8.3%로 증가됨. 원·부자재는 65.2%에서 63.3%로 감소함.

 

 ○ 올 9개월간 베트남의 수입은 일부품목의 수입량 감소와 국제가격 인하로 인해 수입금액에서 감소를 보임. 베트남의 27개 주요수입품목 중 밀가루와 신약만 금액이 증가했으며, 그 외 품목에선 감소추세를 보임.

  - 철강부문에선 47.7%, 자동차 23.9%, 비료 22.5%로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함.

  - 수입량에서 밀가루 74.2%, 플라스틱 원료 25.3%, 섬유원사 15.9% 증가함.

 

베트남 주요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US$ 백만)

품목명

2006

2007

2008

2009.1~9

기계·플랜트 및 부품

6,628

11,123

13,712

8,327

유류제품

5,966

7,710

10,888

4,530

철강제품

2,936

5,112

6,566

3,822

의류(원단)

2,985

3,957

4,434

3,039

전자제품 및 컴퓨터

2,048

2,958

3,722

2,700

플라스틱 원료

1,866

2,507

2,924

2,015

자동차, 부품 파트

759

1,302

2,442

1,832

사료, 원료

742

1,124

1,738

1,402

직물 및 의류 원·부자재

1,951

2,152

2,376

1,369

화학원료

1,041

1,466

1,768

1,181

기타

17,969

23,271

29,846

18,061

합계

44,891

62,682

80,416

48,278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국가별 수출·입 동향

 

 ○ 올 8개월간 베트남의 주요수출지역은 미국, 유럽, 아세안국가, 일본 순임.

  - 베트남의 미국 수출은 7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9% 감소함.

  - 유럽 62억 달러, 아세안국가 57억 달러, 일본 3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6%, 24.3%, 32.1% 감소함.

 

 ○ 베트남의 주요수출품목의 국가별 동향

  - 베트남 수산물의 주요수입국은 일본 4억6400만 달러, 미국 4억4800만 달러, 한국 1억8900만 달러 순임.

  - 섬유제품의 경우 미국으로의 수출은 33억 달러, 일본 6억500만 달러, 한국 1억2290만 달러 순임.

  - 베트남 신발의 미국 수출은 6억9700만 달러, 영국 3억490만 달러, 프랑스 1억800만 달러 순임.

 

베트남 주요국가별 수출현황

       (단위 : US$ 백만)

순위

국가명

2006

2007

2008

2009.1~8

1

미국

7,829

10,090

11,869

7,211

2

일본

5,232

6,070

8,538

3,897

4

중국

3,030

3,357

4,536

2,764

3

스위스

155

236

517

2,391

5

호주

3,651

3,557

4,225

1,586

6

싱가포르

1,631

2,202

2,660

1,362

8

한국

843

1,253

1,784

1,301

9

독일

1,445

1,855

2,073

1,213

7

필리핀

783

965

1,825

1,166

10

말레이시아

1,215

1,390

1,955

1,104

 

기타

12,987

16,391

21,639

13,061

 

합계

39,826

48,561

62,685

37,056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올 8개월간 대 베트남 주요 수출국가에서 제품 수입은 전년 대비 감소추세를 보임.

  - 최대 수출국가인 중국은 9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1% 감소했으며, 아세안지역 국가에서의 수입은 81억 달러로 43.6% 감소함. 일본 45억 달러로 19.9% 감소, 한국 42억 달러로 17.5% 감소함.

 

 ○ 베트남 주요 수입품목의 국가별 동향

  - 기계설비분야에선 중국이 24억 달러로 최대이며, 이어 일본 15억 달러, 한국 5억2000만 달러 순임.

  - 철강은 러시아에서 115만4000톤 수입했으며 일본 88만3000톤, 대만 82만3000톤, 한국 60만1000톤 순임.

  - 유류제품은 싱가포르 340만 톤, 대만 170만 톤, 중국 160만 톤, 한국 83만6000톤 순임.

 

베트남 주요국별 수입현황

     (단위 : US$ 백만)

순위

국가명

2006

2007

2008

2009.1~8

1

중국

7,391

12,502

15,652

9,690

2

일본

4,701

6,178

8,241

4,527

3

한국

3,871

5,334

7,066

4,177

4

대만

4,823

6,917

8,363

4,044

5

태국

3,034

3,737

4,906

2,591

6

싱가포르

6,274

7,609

9,393

2,448

7

미국

982

1,700

2,635

1,792

8

말레이시아

1,482

2,290

2,596

1,505

9

인도

880

1,357

2,094

1,057

10

인도네시아

1,012

1,354

1,729

919

 

기타

10,012

13,117

17,135

9,328

 

합계

44,891

62,682

80,714

42,078

자료원 : General Statistics Office

 

□ 시사점 및 전망

 

 ○ 베트남은 올 1분기에 원·부자재 수입이 급감해 약 15억 달러의 무역흑자를 이뤘으나, 2분기 이후 경기회복에 따른 베트남 국내산업의 활동으로 원·부자재 수입이 증가하면서 2분기 36억 달러, 3분기 44억 달러 무역적자를 기록했음.

 

 ○ 9월 한 달간 무역적자는 15억2000만 달러로 추정, 무역적자규모가 날로 증대해 베트남 경제의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음.

 

 ○ 또한 베트남의 올해 수출목표인 3% 수출증대 달성을 위해선 남은 3개월간 229억 달러를 수출해야 하며, 이것은 월 76억 달러 수출규모로 현지전문가들은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함.

 

 

자료원 :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뉴스, KOTRA 호치민KBC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올 9개월간 무역적자 65억 달러)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