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기술] 러시아, 그린에너지 기술동향
- 경제·무역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09-10-02
- 출처 : KOTRA
-
□ 러시아 내 바이오연료 기술표준
○ 현재 러시아 내 에탄올을 활용한 자동차연료의 기준이 되는 규정은 ‘GOST R 52201-2004 : 자동차 연료용 에탄올’임.
- 이 규정에 의하면, 자동차 연료용 에탄올에 포함된 에탄올 함유량은 5~10%로 규정
○ ‘전 러시아 석유부문과학연구원(VNII NP, www.vniinp.ru)에 의하면, VNII NP는 러시아 자동차 제조기업인 ABTOBAZ와 함께 에틸렌이 첨가되지 않은 자동차 연료용 에탄올을 개발함.
- 에탄올을 생산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기업은 ‘Lukoil’과 ‘Rosneft’임.
○ 바이오디젤부문에 있어서도 러시아는 2008년에 유로 -3 배기가스기준을 충족하는 규제를 도입함. 2010년에는 유로 -4에 부합하는 규제를 도입할 예정이며, 2014년에는 유로 -5 기준을 도입할 예정임.
□ 그린에너지 개발 및 생산분야에서 한-러 기업 간 협력 가능성
○ 2008년까지 이어진 고유가 환경에서 바이오연료 개발에 대한 기업의 관심은 높았음. 그러나 최근 다시 유가가 50달러선으로 떨어지면서 바이오연료에 대한 관심도 주춤함.
- 일각에서는 식량자원을 에너지화하는 것에 대한 반발도 있었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국제 에너지 가격과 원부자재 가격에 민감한 국가에서는 바이오연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활용이 필요함.
○ 러시아기업들은 개발기술과 원료가 있지만 판매시장을 확보하지 못한 상황임.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기업을 고려하면 러시아기업과 국내로의 기술도입, 상용화 제품 개발, 원료수입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협력이 가능할 것임.
- 러시아기업 중 바이오연료 개발 원천기술과 원료를 확보했으나, 제품 상용화에 대한 아이디어가 없는 기업을 대상으로 우리기업이 제품개발을 협력하는 방안이 있음.
- 이 경우, 러시아기업과 우리기업이 한국 내 합작법인을 설립해 제품생산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원료수입은 러시아 혹은 제3국에서 수입할 수 있음.
자료원 : KOTRA 모스크바KBC 자체조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산업기술] 러시아, 그린에너지 기술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사진으로 미리보는 2010 상하이 엑스포
중국 2009-09-24
-
2
[자원] 러시아, 임업분야 경쟁력 강화 추진
러시아연방 2009-10-01
-
3
모스크바, 교통 체증으로 스쿠터 판매 급증
러시아연방 2009-08-31
-
4
체코시장, 인터넷 마케팅 통한 진출효과 커
체코 2009-09-18
-
5
영국, 현재 가장 선호되는 브랜드
영국 2009-10-02
-
6
러, 자동차업체 Izh-Avto사, 파산보호 신청
러시아연방 2009-08-31
-
1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2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3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4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5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6
2021 러시아 자동차 산업
러시아연방 2022-01-1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