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먼지 많은 중국, 진공집진시스템 시장 팽창
  • 트렌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09-30
  • 출처 : KOTRA

 

먼지 많은 중국, 진공집진시스템 시장 팽창

- 3~4년새 시장 2배, 올 1000만 대 넘어서 -

- CCC(강제인증) 필해야 수출 및 판매 가능 -

 

 

 

□ 시장규모와 전망

 

 ㅇ 진공청소기시스템은 선진국에서는 보편화돼 있음.

  - 공장 생산라인, 오피스텔, 작업장, 호텔과 개인별장 등 환경 청결성에 대한 요구가 높은 장소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됨.

  - 수술실, 원재료 저장소 등 유해물질 제거의 필요성이 높은 장소일수록 수요는 더욱 큼.

 

 

 ㅇ 중국의 경우 전반적으로 선진국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1990년대 중후반부터 진공청소기 판매량이 연간 20% 속도로 지속증가해 옴.

  - 연간 판매량은 2005년 500만 대에서 2008년 약 900만 대 규모로 확대됐음.

 

2006~08년 중국 진공청소기시장 매출액

연도

2006년

2007년

2008년

시장규모(대)

약 630만

약 730만

약 900만

자료원 : 산업통계자료, 컨설팅기관 보고서, 주요기업에 대한 조사결과 종합

 

 ㅇ 진공집진시스템은 주로 환경의 청결에 사용되며, 중국 경제의 고속발전과 물질생활수준의 향상, 공업기술의 향상에 따라 중국의 청결산업은 더 큰 발전공간이 생길 것임.

  - 향후 일정기간 동안 연평균 20% 이상의 성장속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됨.

 

 ㅇ 현재 중국의 진공집진시스템기업은 주로 해외수출이나 OEM가공에 따른 판매방식이 주류를 이루나 향후 꾸준한 자주혁신개발을 통해 토종브랜드 제품의 생산과 판매활동이 주를 이룰 것이며, 대리가공은 점차 보조경영형태로 전환될 전망임.

  - 이는 중국 내 진공집진시스템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임을 의미함.

 

□ 주요 소비지역 및 특징

 

 ㅇ 진공집진시스템은 용도에 따라 가정용, 비즈니스용 및 공업용으로 분류되며 주요 수요지역은 경제가 발달한 장강삼각주지대, 주강삼각주지대와 베이징, 톈진, 허베이 등을 포함한 환발해만 지역임.

  - 이들 지역은 소득수준이 높아 진공청소기에 대한 구매능력이 있으며 고급주택단지, 오피스텔, 의약, 화공업, 발전소, 식품공장, 병원 등이 밀집해 주변환경 청결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높음.

 

 ㅇ 중국은 집진기 제조대국이지만 전체 생산량의 70%가 수출로 이어짐.

  - 이는 중국 소비자들이 집진기에 대한 인식이 다소 낮은 데 기인한 것임.

  - 향후 주민생활수준의 제고에 따라 서부지역을 포함한 전 국민의 주택환경 청결에 대한 요구가 점차 까다로워질 것이며, 소비관념도 점차 변화를 일으킬 것임.

  - 따라서 가정용 집진기시장에 새로운 구매붐이 일어날 것이고 중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공업용, 비즈니스용 진공집진기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날 것이며, 시장은 더욱 세분화될 것임.

 

 ㅇ 통계에 따르면 2009년 중국 자동차시장 판매량은 1100만 대를 초과할 것이며 이로 인해 차량용 집진기시장의 잠재력이 거대함.

  - 비즈니스용 집진시스템분야는 호텔, 병원, 오피스텔, 중소형 공공장소가 가장 매력적인 수요자가 될 것임.

  - 비즈니스용 진공집진시스템분야는 사용처별 구체적 욕구에 적합한 제품을 출시할 경우 세분화된 잠재고객이 대폭 늘어날 전망임.

  - 제품의 기능과 기술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다양해지는 추세임.

 

 ㅇ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이 가전제품에 대한 수요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음.

  - 제조업체들은 소비자들의 욕구에 적합한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해 각종 집진노즐, 악취제거, 향기확산, 음이온, 광촉매 등 기술도입을 적극 진행하고 있음.

  - 필터방식에서 혁신이 요구되는 바 수처리, 원심먼지제거, 단계별 필터링 기술이 점차 기존의 집진기술을 대체할 것으로 보임.

  - 이 밖에 소비자들은 집진기 선택 시 우선적으로 품질, 브랜드, 기능 등을 고려하며 사용경험이 있을 경우에는 소음제거효과와 필터에 대한 요구도 민감한 편임.

 

□ 유통경로 특징

 

중국 진공집진시스템 유통구조

 

 ㅇ 중국에서 집진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대리상을 통해 유통됨.

  - 수입산 고온고압밸브는 전국 총대리점, 각 지역 일급 대리점, 소규모 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3급 대리점, 소매상을 통해 유통됨.

 

 ㅇ 가정용과 공업용에 따라 다소 상이함.

  - 가정용은 대리상이 도매시장, 건자재마트, 가전제품 전문매장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됨.

  - 전자상거래 또한 가정용 진공청소기 시스템의 중요한 유통경로로 활성화되고 있음.

  - 소비자들은 보통 타오바오망(淘寶網)과 징둥상점(京東商城) 및 기타 전문 전자상거래업체를 통해 진공집진시스템을 구매함.

 

 ㅇ 비즈니스용 또는 공업용 진공집진기는 대리상이 직접 목표고객에 제품을 판매하고 AS도 담당함.

  - 일부 업체들은 OEM형태로 생산해 직접 고객에게 납품하거나 대리상을 통해 고객에게 판매하기도 함.

 

 ㅇ 진공집진기는 수입 전에 반드시 CCC인증을 받아야 중국으로 수입 및 판매, 사용이 가능함.

  - CCC인증은 중국품질인증센터에 신청하고 인증서를 발급받은 후 국가인증인가감독관리위원회에 CCC인증마크를 신청해야 함.

  - 제품에 3C인증마크를 붙인 후 '입국화물통관서'가 있으면 제품은 반입가능함.

 

□ 경쟁동향

 

 ㅇ 중국은 세계 청소기의 주요 생산국가로 세계 70% 이상의 청소기가 중국산임.

  -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가정용 청소기 평균 수출량은 2800만 대로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중국 소형 가전제품 수출에서 2위로, 선풍기 수출량에 버금감.

  - 통계에 따르면 2007년 중국 진공청소기의 누적생산량은 4363만2664대로 전년 대비 21.6% 증가했음.

  - 그 중 장수성이 전년 대비 25.0% 증가한 1531만8582대로 가장 많으며 다음은 광둥성이 전년 대비 15.1% 증가한 1425만1981대로 2위를 차지함.

 

 ㅇ 보통 비즈니스용 및 공업용 집진시스템은 전문적인 집진시스템 제조업체들이 주요 공급상으로 외국기업들이 우세를 차지함.

  - 대표적인 기업으로 Aldes, Dyson, Ecovacs, Karcher 등이 있으며 중국 로컬기업들은 저부가가치 제품시장에 주력하며 주요기업은 상하이중이공업집진기술유한회사(上海中怡工業除塵技術有限公司), 톈진양광북방자동화기술개발유한회사(天津陽光北方自動化技術開發有限公司) 등이 있음.

 

 ㅇ 가정용 청소기시장에서는 중국 토종브랜드가 일정한 인지도를 자랑하며 중저급제품시장에서 외국브랜드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있음.

  - 중국의 가정용 청소기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는 중국의 하이얼, 메이디(美的), 쇼우거우(小狗), 하오윈다(好運達), 일본의 SANYO, 파나소닉, 한국의 LG, 스위스의 필립스 등이 있음.

 

 ㅇ 관련 자료 통계에 따르면 중국 70% 이상의 청소기는 쑤저우에서 생산됨.

  - 중국현지에서 판매되는 E-LUX, 하이얼 필립스, SANYO 등 브랜드와 외국으로 수출되는 HOOVER, ROYAL, EUROPRO, WAL-MART 등 브랜드의 대부분 제품은 쑤저우에서 OEM형태로 생산됨.

  - 이 밖에 저장, 광둥 등 지역에도 생산기업들이 분포돼 있으며, 쑤저우의 상당한 규모에는 미치지 못함.

 

 ㅇ 현재 중국 진공집진시스템시장은 외국브랜드가 우세를 차지하며, 특히 상업용·공업용 진공집진시스템분야는 외국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함.

  - 가정용 진공청소기영역에서 중국기업은 일정한 경쟁력이 있으며, 일부 종합가전제품 제조업체들이 일정시장을 차지하고 있음.

 

 ㅇ 진공청소기시스템은 고부압, 낮은 전기량의 먼지제거시스템 총칭임.

  - 고속으로 날리는 먼지입자의 포집, 크린룸 청소, 부압물류운송 등 영역에 응용됨.

  - 이 시스템을 응용하는 고객은 먼지입자의 포집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높고 생산에 사용되는 가공설비는 정밀가공설비이며 먼지제거 요구가 높음.

  - 현재 의약, 전자, 화학공업, 정밀가공업종에서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함.

 

□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수입허가조건

 

 ㅇ 진공청소기의 중국 HS Code는 전동형의 경우 85081100과 85081900임.

  - 그 중 HS Code 85081100은 출력이 1500W를 넘지 않고 용량이 20ℓ를 초과하지 않는 집진함이나 기타 집진용기를 부착한 제품에 해당되며 수입관세율은 10%, 부가가치세는 17%임.

  - HS Code 85081900의 경우 수입관세율은 영세율이 적용되며, 부가가치세율은 17%임.

  - 이 밖에 전동형이 아닌 기타 진공청소기의 중국 HS Code는 85086000이며, 수입관세는 영세율(0%), 부가가치세율은 17%임.

 

 ㅇ 수입업체는 전동형 진공집진시스템 수입 전에 먼저 CCC인증을 받아야 함.

  - CCC인증은 보통 품목당 2만2000위앤(번역비, 검측비 포함)이 소요되며, CCC라벨 비용은 제품량에 따라 다름.

  - 대행업체를 의뢰할 경우 CCC인증 대행비는 7000위앤, 라벨 대행비는 500위앤선임.

 

 ㅇ 수입업체는 세관에 CCC인증서, 계약서, 한국 측 수입위탁서, 검역신청위탁서,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원산지증명서, B/L 등을 제출해 통관신청(입국화물통관서 신청) 및 제품검역을 신청해야 함.

  - 제품 검역신청서를 발급받은 후 관련 세금을 납부하고 제품검역을 받음.

  - 검역결과 합격일 경우 입국화물통관서를 발급받아 물품통관수속을 진행함.

  - 수입업체는 화물을 수취한 후 중국 현지 판매 및 사용이 가능함.

  - 입국화물통관서 발급에는 3~7일이 소요되며, 통관신청은 보통 통관대행사를 통해 진행하고 대행사별로 비용이 차이가 남.

  - 대행비용은 일반적으로 수입물품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하며, 가격의 1%를 초과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대행비용은 대행사와 직접 협의해 결정함.

 

 

자료원 : 중국산업연감, 통계자료, 컨설팅기관 보고서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먼지 많은 중국, 진공집진시스템 시장 팽창)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