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투자환경] 러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우리기업 진출방향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09-09-17
  • 출처 : KOTRA

[투자환경] 러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우리기업 진출방향

 

주한일 모스크바KBC

joohanil@kotra.or.kr

 

□ 러 연방 전력청 민영화와 시장개편

 

ㅇ 1998년 러시아 모라토리엄 선언과 경제위기 이후, 러시아 전력 소비량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덩달아 노후화된 장비교체, 시설확충에 대한 투자도 줄어들었음

        

  - 러시아 정부는 전력시장 민영화를 통한 구조개편을 이루고, 산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펼쳐왔음

         

  - 그러나 계획으로 그쳤고, 실질적인 민영화나 구조개편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음

 

ㅇ 2008년 7월 1일, 러시아 전력산업(발전, 송배전, 전력수출)의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던 러 연방 전력청(RAO UES)가 해체되면서, 러시아 전력산업 구조조정이 이루어졌음

 

 

[ 러 전력산업 조직개편 결과 ]

기업명

사업영역

소유구조

* WGC

  (Wholesale Generating Companies,

  노문표기 : OGKs)

* TGC

  (Territorial Generating Companies,

  노문표기 : TGKs)

* HydroOGK (RusHydro 소유)

* 원자력발전소

* 기타 개별 발전소

발전

민영화된 기업

(경쟁체제)

* FGC UES

  (Federal Grid Company of Unified

  Energy System, 노문표기 : FSK)

송전

정부 독점소유

* Inter-regional distribution grid

  companies (노문표기 : MRSKs)

* distribution grid companies

  (노문표기 : RSKs)

배전

정부 독점소유

* Inter RAO UES

* 기타 개별 기업

전력판매/수출

민영화된 기업

(경쟁체제)

 

 

[ 러시아 전력생산 시설 분포 현황 ]

    

(자료원 : Standard & Poors)

 

 

[ WGC 지역별 분포 현황 ]

    

(자료원 : Standard & Poors)

 

 

[ TGC 지역별 분포 현황 ]

    

(자료원 : Standard & Poors)

 

 

□ 한국산 장비 진출 가능성은 높아

 

ㅇ 지난 2008년 10월, 대한전선은 러 연방 전력청(RAO UES)에 전력망 공급을 담당하고 있는 Energo社와 초고압전력망 구축 관련 초고압지중케이블, 각종 부속재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제품공급은 2009년부터 시작하며, 3년간 1억8천만 달러 규모

 

ㅇ 최근 우리기업들은 스마트그리드 등 경쟁국 제품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을 중심으로 러시아 전력시장 진출에 나서고 있음

         

  - 현재 러시아 에너지부는 전력망 현대화 사업을 적극 추진중에 있으며, 한국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음

       

- 한국 기업들이 러시아내 사업경험이 쌓이면서, 러 전력산업 기업들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음

 

ㅇ 특히 지난해부터 시작된 경제위기로 인해 전력망 현대화 사업에 투입할 수 있는 예산이 실질적으로 줄어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러 정부와 기업들은 비용절감 측면에서 한국산 제품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짐

 

 

□ 러 에너지부, 전력장비 생산공장 한-러 합작투자 유도

 

ㅇ 다만, 러 에너지부는 전력장비 구매는 원칙적으로 러시아 기업에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밝히고 있음

         

  - 즉, 러시아 국내조달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수 밖에 없으니, 한국기업이 러시아내 전력장비 생산공장을 설립하는 방향을 권장하고 있음

         

  - 러 에너지부 관계자는 러시아 제조기업과 합작을 통한 투자진출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밝혔음

 

(자료원 : 러시아 에너지부 관계자 면담 결과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투자환경] 러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우리기업 진출방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