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한국 배터리, 나이지리아 자동차를 점령하다
  • 트렌드
  • 나이지리아
  • 라고스무역관 심자용
  • 2009-07-29
  • 출처 : KOTRA

 

한국 배터리, 나이지리아 자동차를 점령하다

- 자동차 배터리 수요 지속, 우리나라 Maintance Free 배터리 인기-

- 가격경쟁력을 앞세운 신흥국가와의 경쟁과열 조짐 -

 

 

 

□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급증

 

 ○ 2008년 대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은 5924만4000달러로 2007년 대비 4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이는 2008년 국제유가의 급격한 상승 및 외환보유고 증가 등으로 나이지리아 경제가 호조세를 유지하면서 자동차 수요증가와 함께 자동차부품 수요가 동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 특히 정부기관, 기업, 은행 등을 중심으로 소형 및 중형 신차 구매가 급격히 늘었으며, 중산계층에서 자동차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대거 증가하면서 관련 자동차부품시장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임.

 

연도별 對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동향

연도

수입(천 달러)

증감률(%)

2006

49,582

-

2007

40,307

△18.7

2008

59,244

46.9

주 : 환율 US$ 1=128.70나이라(2006년), 125.8나이라(2007년), 118.0(2008년)적용

자료원 : Federal Bureau of Statistics Nigeria 2006~08

 

 ○ 대륙별 대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현황을 보면 약 60%가 아대양주에서 수입되고, 유럽에서 약 20%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남.

 

대륙별 對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동향

구분

2006년

2007년(A)

2008년(B)

증감률(A : B)

아대양주

29,794

24,732

31,456

27.2

유럽

10,189

9,349

14,198

51.9

미주

3,161

2,063

7,785

227.4

중동아프리카

6,438

4,163

5,805

39.4

합계

49,582

40,307

59,244

46.9

주 : 환율 US$ 1=128.70나이라(2006년), 125.8나이라(2007년), 118.0(2008년)적용

자료원 : Federal Bureau of Statistics Nigeria 2006~08

 

 ○ 아대양주의 배터리 가격이 여타 대륙의 자동차 배터리 가격보다 저렴하며, 품질도 우수하기 때문에 수입량이 많은 것으로 보이며, 나이지리아 중고자동차시장을 대부분 유럽산 자동차가 점유하고 있어 관련 부품을 유럽에서 수입하고 있음.

 

對 나이지리아 대륙별 배터리 수입현황 비교

자료원 : Federal Bureau of Statistics Nigeria 2006~08

 

 ○ 2008년 수입통계현황을 분석한 결과, 아대양주에서 수입은 소폭 하락한 반면 미주지역에서 수입이 증가함. 특히 벨리즈, 바베이도스 등 중남미 국가들의 시장진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유사한 품질의 자동차 배터리의 경우 운송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중남미 지역이 가격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국가별 對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수입현황

순위

국가

2006년

2007년(A)

2008년(B)

증감률(A:B)

1

중국

6,719

12,911

15,409

19.4

2

한국

15,953

5,744

7,878

37.2

3

남아프리카공화국

1,021

3,312

3,047

△8.0

4

미국

3,158

1,983

3,013

51.9

5

알바니아

-

-

2,901

-

6

독일

3,116

1,949

2,844

45.9

7

베트남

-

-

2,775

-

8

프랑스

528

423

2,565

506.38

9

벨리즈

-

-

2,377

-

10

불가리아

-

-

1,612

-

11

아랍에미리트

23

443

1,269

186.7

12

바베이도스

-

-

1,194

-

13

탄자니아

-

-

1,154

-

14

타이완

-

1,251

1,073

△14.2

15

영국

1,039

1,949

1,067

△45.3

자료원 : Nigeria Trade Summary(Federal Ministry of Statistics)

 

 ○ 주요 수입국은 한국, 중국 및 남아프리카공화국이며, 2006년까지 우리나라가 1위를 차지했지만 2007년부터 중국의 저가 자동차 배터리가 대거 유입되면서 2위로 물러남. 2008년부터 알바니아, 베트남, 벨리즈, 불가리아 등 신규 수출국가가 증가하면서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시장경쟁은 더욱 치열해짐.

 

□ 우리나라 자동차 배터리, 나이지리아시장 석권

 

 ○ 나이지리아에는 DELKOR, ATLAS, SOLITE 등 총 70여 개 브랜드의 자동차 배터리가 판매되며 크게 Dry Charge 방식과 Maintenance Free 방식이 있고 배터리 용량에 따라 다양한 제품군이 형성돼 있음.

 

자동차 배터리 브랜드 및 제조국별 선호도

순위

브랜드

제조국

시장점유율(%)

1

DELKOR

한국

21

2

ATLAS

한국

16

3

SOLITE

한국

13

4

ROCKET

한국

10

6

TRANE

스웨덴

5

7

NS

인도네시아

4

8

3K

태국

3

9

HILITE

중국

3

10

OLYMPIC GOLD

중국

2

11

YOKOHAMA

말레이시아

1

자료원 : KOTRA 라고스KBC 자체조사

 

 ○ 나이지리아 자동차 배터리 제품들 중 우리나라 제품 수요가 가장 높으며, 전체시장의 약 60% 이상을 차지함. 대부분 Maintanace Free 방식의 자동차 배터리이며, 사용 전 충전이 필요없고 안정적이라는 것이 대부분 수입상들의 반응

 

나이지리아에 진출한 우리나라 배터리 제품

자료원 : 아틀라스, 솔라이트

 

 ○ 최근 중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아시아 국가들의 시장진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기존 우리나라 제품들의 시장점유율이 매우 크며, 기존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신규제품들의 시장진출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전망

□ 신흥국가의 저가제품 공략, 자동차 배터리시장 경쟁치열 조짐

 

 ○ 자동차용 배터리 가격은 용량에 따라 달러에서 달러까지 다양하며, Dry Charge 방식의 배터리보다 Maintanance Free용 배터리 가격이 높은 편임. Maintance Free 방식은 배터리의 충전용액을 갈 필요가 없으며, 사용 전 충전을 하지 않고 구입 즉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으나 Dry Charge 방식의 배터리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에 판매됨.

 

 ○ Dry Charge 배터리의 가격은 평균 약 42달러이며, 배터리 용량에 따라 가격이 상이하고 충전액을 따로 구입할 경우 가격이 높음. 반면, Maintance Free 배터리의 경우 평균 60달러이며, 배터리 용량에 따라 가격은 다양함.

 

 ○ 나이지리아에는 약 70개의 브랜드가 시장에 진출해 있어 가격은 브랜드별로 같거나 유사한 편임. 특정 용량별로 가격을 비교할 경우 다음과 같음.

 

            (단위 : 달러)

TYPE

SIZE

Import Price

Retail Price

MF

45AH Long

24.5

47.5

MF

45AH Flat

28.4

49.1

MF

55AH Flat

29.41

50

MF

60AH Flat

30.41

52

MF

65AH Long

35.19

54.5

MF

75AH Flat

40.13

68

MF

100AH Flat

50.09

73

자료원 : KOTRA 라고스KBC 자체조사

 

 ○ 자동차 배터리 수입상에 따르면 45~65AH의 제품들이 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나이지리아는 철저한 가격중심시장으로 유사 또는 동일한 제품의 경우 가격을 우선시해 후발 진출국가들의 저렴한 제품들로 인해 시장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우려됨.

□ 시사점

 

 ○ 자동차 배터리를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 가운데 약 60%가 중고자동차 운전자들이며, 신차구매 운전자들이 약 30%를 차지. 기타 중장비, 특장차 등이 약 7%를 차지

 

 ○ 나이지리아 정부는 연식이 오래된 중고자동차의 경우 사고가 빈번하며,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어 8년 이상 자동차에 대해 수입을 금지하고 있음. 그러나 나이지리아에는 여전히 오래된 중고자동차들이 불법으로 수입되며, 대부분의 중고자동차들은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차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높음.

 

 ○ 2008년 세계적인 유가상승 및 금융산업의 발달로 나이지리아에는 새로운 소비계층이 나타나게 됨. 이 소비계층은 관공서, 은행 및 다국적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들로서 정기적인 소득원을 바탕으로 가정을 가졌고 신 중산층으로 불림. 이들을 중심으로 주택, 자동차 및 가전제품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Maintance Free 배터리는 Dry Charge 배터리에 비해 신규시장이지만 두 제품 모두 소비자들의 꾸준한 수요가 발생함. 특히 Maintance Free 배터리는 기업, 중산층 계층을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함. 이들은 대부분 현대 및 기아 자동차, 도요타 및 푸조 등 소형차를 선호하고 있는 바 이들 자동차에 적합한 자동차 배터리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필요함.

 

 

자료원 : 나이지리아 통계청, 아틀라스, 솔라이트, 나이지리아 자동차부품 수입상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 배터리, 나이지리아 자동차를 점령하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