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불황에도 끄떡없는 中 웨딩산업
  • 경제·무역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09-05-21
  • 출처 : KOTRA

 

불황에도 끄떡없는 中 웨딩산업

- 한화 80조원 시장, 기본비용만 한 쌍에 2400만원 소비 -

- 웨딩서비스업 규정 미미로 시장 혼란, 연관 업종 묶어 시너지 효과 노려야 -

 

 

 

□ 시장규모

 

 ㅇ 중국 웨딩박람회조직위원회가 2008년 발표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매년 800만~900만 쌍의 부부가 탄생하며, 웨딩 소비총액은 4000억 위앤(한화 약 80조원) 이상으로 추정됨.

 

 ㅇ 중국 신혼부부 한 쌍의 평균 웨딩소비액은 인테리어, 가전 및 가구 구입, 촬영, 피로연, 여행 등 기본 비용만 12만 위앤(2400만원)에 달함.

  - 이 밖에 신혼집(구입 및 임차 모두 포함) 마련에 평균 31만 위앤이 소요되며, 자동차 구입 시 약 10만 위앤이 들어 중국에서 결혼을 하려면 50만 위앤(1억원) 이상의 비용이 듦.

 

중국 신혼부부의 평균 웨딩소비액

항목

금액(위앤)

신혼집 인테리어

56,998

가전

16,680

가구

17,494

예물

5,577

웨딩촬영

3,484

결혼식

7,610

웨딩드레스

2,007

피로연

1,024

신혼여행

9,227

자료원 : 중국 웨딩박람회조직위

 

 ㅇ 2009년 결혼 성수해 맞아

  - 음력 2009년은 양력으로 2009년 1월 26일~2010년 2월 14일 까지이며, 이 기간에 음력으로 ‘입춘(立春)’이 2번 들어가 있어 중국에서는 ‘대길(大吉)’로 통함.

  - 2009년에 결혼할 신혼부부는 2007년이나 2008년보다 많을 전망임.

  - 2008년 말 결혼증을 받은 부부들도 결혼식을 2009년으로 미뤄 2009년에 새로운 결혼붐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중국 전통 결혼식을 올리고 있는 신혼부부

자료원 : 人民網

 

□ 소비트렌드

 

 ㅇ 웨딩소비의 범위와 규모가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신부 웨딩드레스의 경우 빌려 입던 것에서 구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패션감, 개성을 중시함.

 

 ㅇ 남과 다르게 특별한 웨딩을 추구하며,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결혼식을 선호함.

  - 결혼 연령이 점차 늦어지고 있음.

 

 ㅇ 웨딩소비의 성수기는 5월 노동절 및 10월 건국절 연휴 기간이며, 웨딩촬영, 결혼식장 예약, 신혼여행 시기는 2, 3월 또는 7, 8월을 선호함.

 

 ㅇ 최근 경제위기로 결혼식을 간단하게 하려는 사회적 분위기도 있지만 결혼은 인생 최대사여서 경제적인 능력이 뒷받침된다면 구색을 갖추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임.

 

웨딩드레스를 선택하고 있는 신부

자료원 : http://www.thefirst.cn/

  

□ 웨딩시장의 구성

 

 ㅇ 예식 서비스업

  - 중국에서는 예식을 예식장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식당에서 진행하므로 식당홀을 예식장으로 장식하는 예식업 회사가 많음.

  - 예식 서비스업에 대해 아직 일정한 산업규정이 없어 시장이 혼란한 상황이며, 상하이에서는 최근 업계협회가 조직돼 서로 결속하는 움직임을 보임.

 

식당홀을 예식장으로 꾸민 모습

자료원 : www.baidu.com

 

 ㅇ 웨딩촬영

  - 웨딩촬영시장의 전체 규모는 확대 추세이지만 기술력이 낮고 품질보증 능력이 떨어지는 소형 스튜디오가 혼재함.

  - 신혼부부가 웨딩촬영 스튜디오를 선택할 때에는 가격 보다 기술력과 주변의 평가를 더 고려함.

  - 신혼부부들은 각종 인터넷 사이트와 BBS를 통해 정보를 교류하며, 이를 통해 평판 좋은 업체를 선택

 

 ㅇ 웨딩드레스

  - 웨딩드레스의 임대가격은 하루에 보통 180~600위앤, 고급품은 2000~3000위앤임.

  - 이는 구입가격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임대 대신 구입을 원하는 신부들이 많아짐.

 

 ㅇ 피로연

  - “잘 먹는 것이 으뜸이다(民以食爲天)”라는 중국인들의 특성상 피로연을 매우 중요시하는 편임.

  - 보통 30~50개 테이블의 음식을 주문해 코스요리가 나오며, 테이블당 가격은 600~2000위앤, 상하이, 베이징 등 대도시에서 테이블당 1만 위앤짜리 피로연도 자주 볼 수 있음.

 

□ 시사점

 

 ㅇ 중국은 아직 결혼식을 포털로 서비스하는 웨딩플래너가 자리 잡지 않아 그만큼 진출 공간이 있음.

 

 ㅇ 웨딩시장을 구성하는 각 업종에 독립적으로 진출하는 것보다 관련 업종을 한데 묶어 진출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

 

 

자료원 : 中國婚慶網, 新華網, 銀河網, 新浪網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불황에도 끄떡없는 中 웨딩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