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바이어,"원화 약세, 한국산 수입에 긍정적 효과"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9-04-02
  • 출처 : KOTRA

 

중국 바이어, "원화 약세, 한국산 수입에 긍정적 효과"

- 원화 약세에 따른 대한 수입동향 설문조사-

 

 

 

 □ 조사목적 : 최근 몇 개월간 이어지고 있는 원화 약세가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우리나라 수출 확대를 위한 전략 수립

 □ 조사기관 : KOTRA 중국지역본부

 □ 조사기간 : 2009. 3.6~11(6일간)

 □ 조사방법 : KOTRA 7개 KBC(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칭다오, 다롄, 우한, 청두)에서 평소 접촉이 있는 중국 바이어를 대상으로 설문실시

 □ 회신기업 : 228개사

 

1. 조사개요

 

 ○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 제품을 수입하는 중국 바이어 총 22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

  - 설문 회신 중국 바이어 주요 소재 지역은 산둥성, 상하이, 베이징, 랴오닝성에 집중돼 있음.

  - 이 밖에, 광둥성, 후베이성, 장쑤성, 쓰촨성도 일부 포함됨.

 

(단위 : 개사)

 

 ○ 설문에 응답한 바이어들이 한국에서 수입하는 제품은 주로 식품, 전기전자, 섬유.의류, 기계류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함.

  - 응답항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기타’제품으로는 게임, 벽지, 계측기기, 주방용품 등 다양한 제품이 포함돼 있음.

 

(단위 : 개사)

 

2. 원화 약세가 한국산 수입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 수입에 ‘긍정적’ 58.3%

   · ‘현지 거래선과 가격 협상 유리’ 42.9%

   · ‘경쟁제품 대비 10% 이상 가격인하 효과’ 36.9%

 ◆ 한국산 수입에 ‘부정적’13.6%

   ·‘현지 거래선의 가격인하 요구’ 48.4%

 ◆ 한국산 수입에 ‘아무 영향 없다’ 13.6%

 

□ 원화 약세의 영향

 

 ○ ‘원화 약세가 한국산 수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응답이 58.3%(133개사)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

  - 그 뒤를 이어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응답이 28.1%(64개사)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응답은 13.6%(31개사)임.

 

(단위 : %)

 

□ 원화약세의 긍정적인 영향

 

 ○ ‘원화 약세가 한국산 수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응답한 133개사에 대상으로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현지 거래선과 가격 협상에 유리‘하다는 응답이 42.9%(57개사)를 차지함.

  - 그 뒤를 이어 ‘한국산 수입물량 확대(예정)’이라는 응답이 32.3%(43개사)로 나타나, 원화 약세가 우리제품 수출량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그 다음으로 ‘한국산으로 수입선 전환(고려)’이라는 응답이 24.1%(32개사)로 나타나, 원화 약세가 우리제품의 현지 거래선 다변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남.

 

(단위 : %)

 

□ 원화 약세에 따른 가격인하 효과

 

 ○ ‘원화 약세로 인해 한국산 수입제품이 경쟁국 유사제품 대비 가격인하 효과가 어느 정도입니까’를 묻는 질문에 대해 ‘10% 이상 가격인하효과가 있다’는 응답이 36.9%를 차지함.

  - 가격 인하 효과가 ‘10~20% 미만’이라는 응답이 28.6%, ‘20% 이상’이라는 응답이 8.3% 차지

  - ‘5% 이상~10% 미만’의 가격인하 효과가 있다는 응답은 35.3%를 차지

 

        (단위 : %)

 

□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인하 요구 여부

 

 ○ ‘원화 약세로 인해 한국 공급상에게 가격인하를 요구한 적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51.9%가 가격인하를 요구한 적이 있다고 답해 그렇지 않은 경우(48.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남.

 

        (단위 : %)

 

□ 원화 약세의 부정적 영향

 

 ○ ‘원화 약세가 한국산 수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응답한 31개사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48.4%의 응답기업이 ‘현지 거래선의 가격 인하 요구’라고 응답함.

 

 (단위 : %)

 

3. 대 한국 수입의 전반적인 동향

 

 ◆ 한국산 제품 구매 결정 요인은 ‘품질, 기술력’ 52.6%

 ◆ ‘올해 한국산 제품 예년 수준이거나 확대할 것’ 75.0%

 ◆ 중장기적으로 한국산 제품 수입 ‘늘릴 예정’ 44.3%

 

□ 한국산 제품 수입시 가장 큰 구매결정 요인

 

 ○ ‘한국산 제품 수입시 가장 큰 구매결정 요인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52.6%가 ‘품질 및 기술력’으로 응답

  - 그 다음으로 ▷ 가격(21.5%) ▷ 브랜드(17.1%)를 꼽고 있음.

  - 원화 약세가 최근 대중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나, 중·장기적으로는 품질,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음.

 

  (단위 : %)

 

 ○ 기타 의견으로는 ‘미국·유럽·일본산 제품보다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나다’는 응답이 여럿 있었으며, 이외에도 ‘한국제품에 대한 호감’을 뽑기도 했음.

 

□ 올해 한국산 제품 수입액 전망

 

 ○ ‘올해 귀사의 한국산 제품 수입액은 전년대비 얼마나 증감될 전망입니까’에 대해 ‘예년과 같은 수준(35.5%)’이거나 ‘증가할 것(39.5%)’이라는 응답비율이 전체의 75%로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나타남.

  - ▷10% 이하 증가할 것(14.5%), ▷10~20% 증가할 것(14.0%), ▷20% 이상 증가(11.0%)

 

          (단위 : %)

 

□ 중장기 한국산 제품 수입 전망

 

  - ‘중장기적으로 한국산 제품 수입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에 대한 질문에 ‘늘릴 예정’이라는 응답이 44.3%로 ‘줄일 예정’이라는 응답 41.2%보다 약간 높게 나타남.

  - ‘현상 유지 예정’이라는 응답은 14.5%임.

 

          (단위 : %)

 

4. 시사점

 

□ 환율효과, 수출회복세에 긍정적 영향 전망

 

 ○ 중국정부의 강력한 내수부양책 시행과 수출장려 정책으로 수입수요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중단됐던 신규 발주도 재개될 움직임이 나타남.

  - 강력한 정책 효과에 대한 기대감 등이 반영되며 최근 중국의 구매관리자 지수(PMI)는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최근 중국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PMI, Purchase Management Index) 추이 : 38.8(‘08.11) → 41.2(’08.12) → 45.3(’09.1) → 49(’09.2)

  - 중국정부는 올 4월 1일부터 방직의류, 경공, 철강, 비철금속, 석화와 전자정보제품 등 제품의 수출증치세 환급률을 재차 인상하기로 결정

 

 ○ 단기적으로 환율효과를 가격에 반영해 경쟁국 제품 대비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을 검토해야 할 것임.

 

□ 대중수출 확대방안, “수출제품 다변화, 내수시장 진출확대”

 

 ○ 전세계적인 수요감소 추세와 원·부자재 비중이 높은 대중수출 구조에서 환율효과의 영향은 제한적인 상황

  - 전반적인 수입수요 감소로 환율효과가 전체 구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대중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수출상품을 원부자재 중심에서 소비재 등으로 다변화하는 수출구조 개선이 필요

  - 중국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공무역의 비중을 줄이고 내수시장 개척에 주력해야 함.

  - 한편 우리기업의 중국 서비스 분야 진출은 장기적으로 우리제품의 내수시장 진출 활성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

  - 이번 설문에서는 한국산 제품 수입시 가장 큰 구매 결정요인에 대해 52.6%가 ‘품질 및 기술력’을 꼽고 있어, 원화 약세가 최근 대중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나, 중장기적으로는 품질, 기술력을 확보해야한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음.

 

 

자료원 : KOTRA 상하이 KBC(현지 바이어 설문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바이어,"원화 약세, 한국산 수입에 긍정적 효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