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경기침체로 무역거래 위축
  • 경제·무역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3-31
  • 출처 : KOTRA

 

인도, 경기침체로 무역거래 위축

- 2009년 1월 중 수출 16%, 수입 18% 떨어져 -

 

 

 

□ 인도, 수출입 감소현상

 

 ○ 글로벌 경기침체로 올 해 들어 인도의 수출과 수입이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음.

  - 경제침체로 인한 경기 악화로 주요 산업들의 생산성 감소와 프로젝트 취소 및 지연 등은 인도의 무역거래를 위축시키고 있음.

  - 인도무역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의 거래는 2009년 1월 중 30억 달러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전년 동월의 40억 달러 대비 25%나 감소함.

 

 ○ 인도의 1월 중 수출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15.9% 줄면서 4개월간 연속 감소세를 보임.

  - 인도의 1월 중 상품수출은 123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147억2000만 달러에 비해 16%가량 감소함.

  -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업종으로는 수공예품, 카펫, 목화 및 섬유, 보석류, 컴퓨터 소프트웨어, 석탄 및 광물, 식용유 및 쌀 등임.

  - 인도의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유럽, 일본의 경기 침체가 길어지는 가운데 수출 감소속도의 가속화로 가까운 시일 내 수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임.

  - 정부는 이번 회계연도 수출 목표를 당초 2000억 달러에서 최근 1700억~1750억 달러로 감소 조정한 바 있음.

 

 ○ 인도의 수입은 작년 동기 대비 18.1% 감소해 이번 회계연도 중 처음으로 감소함.

  - 1월 중 수입은 60억7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70억8400만 달러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 수준임.

  - 석유는 44억6000만 달러를 수입해 47.5% 감소율을 보임. 반면, 비석유부문은 130억9000달러의 수입이 이뤄져 0.5%로 소폭 떨어짐.

 

인도 수출입 통계

                                                                                                            (단위 : 백만 달러)

수출(재수출 포함)

 1월

전년 1~4월

2007/08

14,717

127,454

2008/09

12,381

144,266

성장률

-15.9

13.2

수입

1월

전년 1~4월

2007/08

22,566

194,285

2008/09

18,455

243,358

성장률

-18.2

25.3

무역수지

1월

전년 1~4월

2007/08

-7,849

-66,830

2008/09

-6,075

-99,093

자료원 : 이코노믹 타임즈

 

□ 한국의 對인도 수출입 현황

 

 ○ 한국의 대인도 수출은 2009년 1~2월 기준으로 9억6000만 달러가 이뤄져 전년 동기 대비 19.2% 감소를 보임.

  -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합성수지는 증가를 보인 반면, 자동차 부품이나 석유제품은 큰 감소세를 보임.

 

 ○ 인도로부터 수입은 2009년 1~2월 기준으로 3억6000만 달러의 거래가 이뤄져 2008년 동기 대비 64.2%의 감소율을 나타냄.

  - 對인도 수입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석유제품이 81.4%의 큰 감소를 보여 전체적인 수입에 위축현상을 가져옴.

 

2009년 1~2월 기준, 한국의 對인도 수출입현황

                                                                                                        (단위 : 천달러, %)

순위

수출품

금액

증가율

수입품

금액

증가율

1

철강판

156,443

30.7

석유제품

98,904

-81.4

2

무선통신기기

125,149

10.6

식물성물질

61,261

-49.0

3

합성수지

91,359

82.7

천연섬유사

17,512

-50.9

4

자동차부품

90,255

-52.0

철광

16,630

-15.9

5

석유제품

65,760

-62.0

정밀화학원료

16,290

-19.2

6

레일 및 철구조물

50,819

2,329.7

농약 및 의약품

15,624

2.8

7

정밀화학원료

22,346

21.1

합금철선철 및 고철

14,835

-58.3

8

기타기계류

19,708

-1.8

기타금속광물

7,642

-48.4

9

기타 석유화학제품

19,658

-24.4

기계요소

6,848

0.3

10

철도차량 및부품

19,551

 770.1

원동기 및 펌프

6,582

152.0

합계

 

959,669

-19.2

 

358,666

-64.2

자료원 : 무역협회

 

□ 시사점 및 전망

 

 ○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도 무역거래는 위축현상을 보임.

  - 인도 경제는 내수소비의 감소,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둔화 등으로 수출입 거래에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임.

  - 인도정부는 내수시장의 급격한 위축을 막기 위해 경기부양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어 빠른 시일 내에 경제적 안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대인도 수출환경 악화는 인도 정부의 각종 수입규제, 인도 기업의 구매력 악화에 따른 계약지연과 대금회수 어려움에 기인함.

  - 금융위기에 따른 루피화 가치 급락으로 수입계약과 대금결제가 지연가 지연되는 사례가 많아 對인도수출이 일시적으로 타격을 받고 있음.

  - 2008년 초 1달러 당 39.3루피 2009년 3월 초에 53루피까지 상승함.

 

 ○ 그러나, 한-인도 CEPA 협정이 2009년 중 타결, 발효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인도 양국 간의 무역 투자활동이 촉진될 수 있을 것임.

  - CEPA 체결 후 수출은 28억 달러, 수입은 5억 달러 증가하며 고용 창출효과는 5만여 명에 달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 인도상공부, 무역협회, 이코노믹타임즈, 현지언론 및 KOTRA 뉴델리KBC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경기침체로 무역거래 위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