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부양 프로젝트
  • 경제·무역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09-02-03
  • 출처 : KOTRA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부양 프로젝트

- 각종 정부 지원정책에 힘입어 사우디 경기 좋아 -

- 향후 2년간 4400억 달러 프로젝트 발주 예정 -

 

보고일자 : 2009.2.3.

 리야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이관석 kslee@kotra.or.kr

 

 

□ 세계 경기예측 전문기관이 바라보는 ‘09년 사우디아라비아 경제

 

 ○ ‘08년 사우디아라비아의 명목 GDP는 4164억 달러로 전년대비 약 347억 달러가 늘어났으며 실질성장률도 6.0%가 신장되는 초특급 성장세 시현. 그러나 ’09년에는 경기가 대폭 둔화할 전망

  - ‘08년은 대외적으로 세계금융위기 및 중동지역의 지속적인 정정 불안 속에서도 비교적 높은 성장세 시현

  - 고유가에 힘입어 Post-oil 시대를 대비한 산업구조 다양화 정책을 활발히 추진하면서 산업 전 분야에서 최고의 황금기 직면. 그러나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인해 ‘09년 성장률은 둔화 예상

   · 실질GDP 성장률 : 3.2%(‘06)→3.4%(’07)→6.0%(’08)→3.0%(’09 전망)

 

 ○ ‘08년 경상수지가 1288억 달러를 기록하며 최초 1000억 달러대를 돌파했으나 ’09년은 198억 달러로 큰 폭 하락 전망

  - ‘08년 경상수지 1000억 달러대 돌파는 연간 2400억 달러에 이른 원유 수출이 크게 기여

  - ‘08년 수입도 각종 프로젝트추진에 따른 기자재 및 꾸준한 소비재 수입 증가 등으로 인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09년에도 1000억 달러 상회 예상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거시경제지표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예상)

2009년(전망)

GDP(십억 달러)

315.6

356.6

381.7

416.4

319.3

실질GDP성장률

5.5

3.2

3.4

6.0

3.0

물가상승률

0.6

2.3

4.1

9.4

4.3

수출(백만 달러)

180,712

211,305

234,145

305,311

187,897

수입(백만 달러)

54,595

63,914

82,598

108,259

106,094

경상수지(백만 달러)

91,471

100,910

96,770

128,869

19,804

총외채(십억 달러)

43.7

45.4

65.2

71.9

63.4

외환보유고(십억 달러)

26.7

27.7

34.0

28.5

39.0

원유생산(천 배럴/일)

9,353

9,210

8,760

9,200

8,596

원유수출(십억 달러)

161.6

189.1

163.3

234.6

135.3

자료원 : SAMA(사우디아라비아중앙은행), EIU Dec. 2008

 

□ 금융위기에도 불구 꺾이지 않은 정부의 개발 정책의지

 

 ○ 최근 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대응 조치들

  - 중앙은행(SAMA)에서는 지난 10월 중순 30억 달러 상당의 유동성 자금 공급

  - 시중 유동성 확대를 위해 지불 준비율을 연이어 3%씩 2회 인하조치 단행(13%→10%(‘08.10.11)→7%(’08.11.23)), 160억 달러 상당의 시장투입효과

  - 지난해 상반기 재정한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 초기자금 53억 달러를 국내 프로젝트에 우선 투자예정

 

 ○ 경기 진작을 위한 정부의 의욕적인 적자 예산 편성

  - ‘09년 지출액은 1267억 달러로 전년대비 15.8% 증액, 의욕적인 정부의 경기진작 의지 대외 표명

  - 신규프로젝트에도 ‘08년 대비 36%가 늘어난 600억 달러 예산책정

  - 수입예산 편성시 배럴당 유가 37달러로 저렴한 수준에서 책정(국제 유가가 51달러 이상 유지시 추가 지출여력 기대 )

 

‘09년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예산편성 현황

구분

‘08(US$bil.)

‘09(US$bil.)

증감률( %)

 수입

 120

 109.3

-8.8

 지출

 109.3

 126.7

15.8

예산수지

 10.7

-17.4

 

 

 ○ 지속적인 개발 정책 추진를 위한 정부의 의지 표명

  - 지난 12월 초 압둘라국왕 대국민 담화문 발표(사우디아라비아는 충분한 예산을 이미 확보, 외부 변수에 상관없이 정부 지출을 늘려갈 것임을 시사. 아울러 예정된 정부 프로젝트도 중단없이 추진할 것임을 시사)

  - 지난 11월 미국 G-20회담에서 압달라 국왕은 향후 5년간 오일·가스 등 각종 개발프로젝트 등에 40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의사표명

 

 ○ 비즈니스 장려를 위한 정부의 친 비즈니스 조치 단행

  - 국제 Financing상의 애로 여건을 감안, 일부 프로젝트를 민간개발 형태에서 정부 발주형태로 전환하거나 혹은 정부지분을 늘리는 방식으로 전환

   · MMRL Railway 프로젝트(70억 달러) : 당초 민간 개발형태에서 정부 직접 발주형태로 전환

   · Riyadh IPP : 당초 정부 지분 10%에서 60%로 상향(금년 2월 RFP발주)

  - 정부 발주 관급공사 수행시 선수금 20% 지급 관행화

  - 프로젝트 수행시 현지생산 제품구매 장려를 위해 EPC업체들의 해외구매 대상제품에 대해 상대적인 고관세 부과세율을 일반 관세수준으로 철회(전력 케이블 등 20%→ 5% 인하)

  -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및 해외 사우디아라비아 업체와 합작프로젝트 전문 파이낸싱 기관인 정부투자기금(PIF : Public Investment Fund)의 파이낸싱 공급조건 대폭 완화

   · 자금공급 한도를  프로젝트 총액의 30%에서 40%로 상향 조정

   · 단일 프로젝트당 자금공급한도도 기존 10억에서 15억7000만 달러로 상향

   · 자금 대출기간도 기존 15년에서 20년으로 기한 확대

  

□ 발주 예정 프로젝트 여전히 많아(주력 건설·플랜트 분야)

 

 ○ 2009~10년간 가시적인 총 발주 예상금액 : 4400억 달러

  - 인프라분야 등 토목·건축분야가 전체 발주량의 69% 차지

 

 ○ 토목·건축

  - 정부의 지역별 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총 607㎢에 1260억 달러가량을 투입, 5대 신도시 조성(킹압달라 경제신도시를 필두로 프로젝트가 점차 가시화)

  - 리야드-젯다 등 950㎞의 동서연결 철로프로젝트(입찰 진행중), 리야드 시내에서 King Khalid 공항까지 모노레일 프로젝트, 리야드 도시에서 Qassim가지를 잇는 480㎞의 철로 프로젝트 등 교통혼잡을 덜기위한 철도 건설 프로젝트들이 입찰 진행중이거나 조만간 발주 예정

  - 내무부 주관의 향후 5년간 1만1500세대 주택건설 프로젝트 가동

  - 민간개발에 의한 세계 최고 높이(1.2㎞)의 Kingdom Center 등 고층빌딩 프로젝트들이 대거 등장 예정

  - 건강분야는 압달라 국왕의 주된 관심 정책 중의 하나로 2010년까지 8개의 의과대학, 54개의 병원 신설, 150개의 응급센터 건설 예정

 

 ○ 플랜트

  - ARAMCO에 의한 오일·가스 프로젝트는 2010년까지 총 30건에 433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추진예정

  - 전력청(SEC)에 의한 발전프로젝트는 금년 약 70억 달러 상당, 5200㎿에 이르는 세계의 IPPs에 이어 오는 2016년까지 추가로 300억 달러 상당의 9개 발전프로젝트를 발주할 예정

 

사우디아라비아 추진 예정 프로젝트 현황

                                                                                                                       (단위 : US$ 백만)

구분

2009

2010

총계(2009~10)

토목·건축

247,359

60,973

308,332

일반산업

12,215

3,065

15,280

오일·가스

33,375

14,480

47,855

화공

24,605

22,000

46,605

전력

20,295

3,600

23,895

담수·수처리

2,321

-

2,321

전체

340,170

104,118

444,288

자료원 : MEED 종합('09.1)

 

5대 신도시 프로젝트 추진 현황

위치/경제신도시명

도시규모

(㎢)

투자금액

(US$억)

사업기간

(년)

도시특징

라비그(Rabigh)
King
 Abdullah Economic
City(KAEC)

168

500

2007~30

항만·공업·금융·거주·교육단지를 갖춘 에너지 물류중심의 경제신도시로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민간프로젝트

하일(Hail)
Prince
 Abdulaziz Bin Musaid
Economic
 City(PABMEC)

156

80

2006~16

중북부 지방의 물류중심 도시로 농업·건설자재 및 광물개발 산업육성계획

메디나(Medinah)
Knowledge
 Economic City(KEC)

12

80

2008~12

이슬람기반의 IT 및 지식도시 건설

지잔(Jizan)
Jizan
 Economic City(JEC)

110

300

2006~37

에너지 및 노동력 기반산업 중심의
서남부 중심도시

타북(Tabuk)
Tabuk
 Economic City(TEC)

161

300

~2020

서북부지역의 중심도시, 교육·문화·
관광·비즈니스 중심

 

□ 신성장산업분야 프로젝트도 활발, 진출 유망

 

 ○ e-government 추진에 따른 각종 관련 SI solution

  - E-government 추진 현황

   · 국가 IT 중장기계획(NITP)의 일환으로 전자정부 구축 추진

   · 정부 부처간, 정부-민간 간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주된 목적

   · 2006년부터 5년간 8억 달러의 예산 책정(정부 내 e-potal 구축, 노동허가 증 발급업무, 대학 입학등록 수령업무, 구직·구인 cybermart 개설 등 추진 예정. 정부의 150가지 서비스 유형을 On-line으로 추진한다는 전략)

   · 현재 추진율 25% 정도

  - 예상 해당 유망분야 및 유관분야

   · 전자 신분증, 온라인 비자발급 시스템, e-payment system, 수출입통계 관리 및 통관관리시스템, 범죄 관리기록 시스템, 전자 여권, 항만·공항 출입관리시스템, 수출입 EDI 시스템,  각종 전자 등록 및 자격증 발급시스템 등

   · 기타 생채인식 비자발급 시스템(사우디아라비아 방문 외국인대상), 우정 전자 우편 및 전자물류시스템 등

 

 ○ 5개 신도시 및 산업 인프라공사 추진에 따른 U-city, BMS 시스템

  - 유망분야 : U-city 구축 프로젝트나 광역 블록단위의 보안 Networking 시스템, BMS 시스템, BEMS(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 지문인식 보안시스템, 원격조정 LED 시스템, FTTH 등 통신 케이블, 각종 교육용 기자재 등

 

 ○ 정부 교육개발 정책 관련 각종 SI 및 기자재

  - 압달라 국왕의 인력개발 육성정책으로 신규 신설 대학 급증

   · 내년까지 5개 신설 예정→Smart Project, 도서관 전산시스템, 교육장비, e-learning 시스템, 각종 통신장비 및 케이블 등 진출 가능

  - 2007년 2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내각결의로 '압둘라국왕 교육개혁 프로젝트'를 확정, 총 31억 달러의 예산을 편성

   · 교육환경 개선(11억 달러), 추가커리큘럼 활동(10억 달러), 교사훈련 및 양성(8억 달러), 커리큘럼프로그램 개발(2700만 달러) 등

   · 유망분야 : Smart School System, 도서관 전산화시스템, e-learning solution, Edunet, 각종 교육장비

  - 고등교육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교통여건 등을 감안, 대학 내 cyber e-learning 시스템 도입 예정

   · 3차원적인 관련 cyber learing 센터 등의 SI 구축 및 각종 기자재 장비 등 유망

 

 ○ 급성장세 있는 의료 분야 신규 유망 틈새 품목 등

  - 기존 병원의 노후화 된 장비 현대화를 위한 디지털병원 장비 수요

  - 유망분야 :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MRI, 주사 현미경(고배율 전자 현미경), 초음파 진단기기, 임플란트 셋, 환자 관리 시스템, 전자교탁시스템, 각종 실험 기기 등

   - 기타 상설 및 이동 건강검진센터 기능의 패키지도 유망

 

 ○ 처녀시장인 건설서비스 분야 진출 유망

  - 주요 분야 : PM, CM 및 PMC

  - 주요 전략

   · 충분한 Proven Record 실적 보유

   · 초기 선진국 업체의 하청 수주를 통한 경험 축적

   · 시장정보 조기 입수를 통한 발주처 방문 미팅 및 PR실시

   · 제3국 엔지니어인력 활용을 통한 가격 및 어학 경쟁력 제고 등

 

 

자료원 : 해당인사 미팅 및 각종 자료원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경기부양 프로젝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