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美, 항공산업 2008년 결산 및 2009년 전망
  • 경제·무역
  • 미국
  • 시카고무역관 어재선
  • 2008-12-31
  • 출처 : KOTRA

美, 항공산업 2008년 결산 및2009년 전망

-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미국 제조업의 버팀목 역할 톡톡 –

- 2009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전망 –

 

보고일자 : 2008.12.31.

시카고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어재선 imaro75@kotra.or,kr

 

 

□ 美 항공산업, 경기침체 속 제조업의 버팀목 역할 톡톡

 

 ○ 미국 항공시장은 전 세계 항공시장의 약 75% 이상을 차지하는 최대 시장

  - 미국 항공산업협회(The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AIA)의 최근 발표자료에 따르면, 2008년 말 기준 약 2040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보임.

  - 2007년의 2003억 달러대비 0.2% 증가한 수준으로 최근 지난 4년간과 비교해 볼 때 성장세는 다소완화됐음.

 

 ○ 경기침체 속 미국 제조업의 버팀목으로의 위상 강화

  - 2008년 항공산업은 지난 4년간 지속적인 성장세에 힘입어 주요 기업들이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해 최근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위축은 없었음.

  - 상업 및 군용 항공기 매출이 동반 증가하고 있는 등 산업 전반적으로 전래 없는 호황을 누리고 있어 미국 제조업의 버팀목이 되고 있음.

 

 ○ 2009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전망

  - AIA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기에도 불구2009년에도 2%의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

  - 미국 최대의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사가 올해 작업정지(Work Stoppage) 사태에 직면한 바 있으나, 국방예산 동결로 군용 항공기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09년도 생산 증가율은 2008년보다 4.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까지의 민간 항공기 주문량이 확보돼 있어 현재의 신용경색이 항공기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보임.

 

□ 주요 세부시장 동향 및 전망

 

 ○ 민간 항공기산업(Civil Aircraft)

  - 민간 항공기 시장규모는 2008년에 4억 달러가 증가한 806억 달러에 달했음.

  -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운송 항공기 판매가 다소 둔화된 반면, 헬리콥터와 개인용 비행기(General Aviation) 매출액은 전년대비 상승해 민간 항공기 시장성장세를 이끌고 있음.

  - 경기침체의 여파가 중국, 중동 등 여타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항공기 이용자가 감소하고 있고, 항공사도 수요 감소로 인해 기종 교체 및 확장 계획을 늦추고 있는 등 부정적인 요인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음.

 

 ○ 군용 항공기산업(Military Aircraft)

  - 군용 항공기 시장규모는 547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특히 R&D, 에프터마켓 부품, 자동화 생산(UAV Production) 분야가 성장을 견인했음.

  - 군용 항공기 생산의 경우 헬리콥터와 군용 운송기 보다 전투기(Fighter Plane) 생산이 매출을 주도했음.

  - 군용 항공기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방지출(Defense Spending)은 2008년에도 계속 증가해왔으며(2001년 대비 3배 이상 증가), 특히 항공기 추가 부품과 유지보수 서비스 구매를 크게 증대시켰음.

  - 전통적으로 국방지출은 경기 변동에 덜 민감했으나 최근 구제금융 지원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와 감세 정책으로 향후 국방예산 확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요인이 존재하고 있음.

  - 그러나 국방예산이 실제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는 약 몇 년의 시차(lag)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단 2009년의 국방지출 확대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는 2012년까지 계속될 것임.

 

□ 2008년 수출입 동향

 

 ○ 수출 동향

  - 미국 항공우주제품 수출은 2008년 992억 달러에 달했으며, 일반적으로 민간 운송항공 제품 수출이 전체 수출은 약 375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3을 이상을 차지함.

  - 2008년 개인용 비행기(General Aviation Aircraft)의 비약적인 수출 증가가 눈에 띄며, 군용 항공기, 엔진 및 부품에 대한 해외 수요 또한 증가세를 보였음. 이 중 일본이 전체 수출시장의 8.5%를 차지하는 최대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캐나다와 영국이 뒤를 잇고 있음.

  - 수출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항공산업은 최근 특정 시장에 편중되지 않는 양상을 보임. 그 결과 수출시장 다변화로 수출이 동 산업에 기여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의 달러 약세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음.

  -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운송 항공기 판매가 다소 둔화된 반면, 헬리콥터와 개인용 비행기(General Aviation) 매출액은 전년대비 상승하여 민간 항공기 시장 성장세를 이끌고 있음.

 

 ○ 수입 동향

  - 2008년에는 민간 운송항공 및 개인용 비행기 수입이 다소 줄어들었으나, 전체 항공산업 관련 제품 수입 전년대비 20억 달러가 증가한 386억 달러를 기록함.

  - 헬리콥터와 항공기 엔진 수입이 이러한 수입 증가를 주도했으며, 항공기 엔진과 관련 부품이 전체 수입규모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음.

  - 주요 수입국가로는 프랑스, 캐나다, 영국, 일본, 독일을 들 수 있음.

 

 ○ 무역수지 동향

  - 2008년 항공산업의 대외 교역규모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며, 무역흑자 규모는 606억 달러에 달할 전망임. 이처럼 항공산업은 미국의 만성적인 재정적자를 해소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

  - 해외부품 공급업체들도 여러 국가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어 미국 항공산업의 글로벌화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됨.

 

□ 시사점

 

 ○ 절충 교역(Offset Program) 활용을 통한 시장진출 확대방안 모색

  - 보잉사 등 완제기 제조업체는 절충 교역 없이는 해외 계약 수주가 어려운 측면이 많아, 공급업체에게 절충 교역 상대국으로부터의 구매를 적극 장려하고 있음.

  - 한국 항공 부품업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국내외 업체간의 교류확대 필요

 

 ○ 경기침체 속 틈새시장으로 적극 활용 필요

  - 경기침체에 따른 비용절감 압력 증대로 항공 완제기 및 부품 제조사들의 글로벌 아웃소싱 추세가 확대될 전망

  -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들은 부품업체를 장기적인 제품 개발과 디자인 등을 같이 공유하고 협력하는 파트너로 활용하고자 하는바, 이러한 능력을 보유한 대형 부품 공급업체를 적극 공략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 The American Industries Association(AIA), 시카고 KBC 종합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美, 항공산업 2008년 결산 및 2009년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