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대만의 중국 내수시장 접근전략 옅보기
  • 경제·무역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유기자
  • 2008-12-17
  • 출처 : KOTRA

대만의 중국 내수시장 접근전략 옅보기

 

보고일자 : 2008.12.17.

타이베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유기자 kotra.tpe@msa.hinet.net

 

 

편집자 주 : 전 세계 경기침체로 중국 경제성장세 역시 주춤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 소비시장 역량 역시 예전만 못한 것으로 우려되나 전 세계 불황 속에 더욱 부각되는 소비시장이다. 12월 16일 중화민국대외무역발전협회(TAITRA)의 격주간지 International Trade에서 주관해 개최한 중국내수시장 세미나를 통해 불황 속에 대만 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접근 공략을 살펴본다.

 

□ 중국 소비시장 규모

 

 ○ 중국의 13억 인구 중 실질 구매력을 보유한 인구 비중은 약 30%(약 3억9000만 명)으로 매년 3%의 증가율(매년 약 3900만 명)을 보임.

 

 ○ 중국발전고위층포럼에서 발표한 중국 내수시장 성장 이정표에 따르면, 2009년에는 아시아 최대 소비시장, 2014년에는 세계 최대 사치품 시장, 2015년에는 세계 4대 관광객 수출국, 2020년에는 소비규모가 30조 위앤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

 

 ○ 맥킨지가 전망한 2025년 중국 도시발전 양상에 따르면, 중국 내 1000만 인구 이상에 달하는 슈퍼-대도시가 10개, 500만 인구 이상의 도시가 23개, 100만 인구 이상의 도시가 223개 형성될 것으로 전망

  - 그 외에도 2025년 GDP는 약 2만~2만5000달러 수준, 석유 수요량 세계점유율 20% 이상, 50만㎞의 도로 및 2만8000㎞의 지하철 신축 수요가 생성될 것으로 예상

 

□ 중국 내수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

 

 ○ 중국의 대형할인매장 발전 연혁을 기준으로 최근 중국 내수시장은 상품 가치와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는 만큼, 주요 소비 품목 역시 고부가가치 상품이 선호됨.

 

 ○ 그러나 최신 트렌드는 비교적 1급 도시를 위주로 보편화됐고, 2~3급 도시의 경우 상품 안전성과 품질을 선호하는 2000년대 초반을 전후로 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개발이 다소 뒤지는 농촌지역의 경우 여전히 대형할인매장 맹아기 당시의 패턴이 잔존해 있음.

  - 따라서 지역성은 감안하지 않고 최신 트렌드나 자국 내 성과만 믿고 시장에 접근하기보다, 지역별 수요 시장의 차이를 우선 파악한 후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

  -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의 경우 물류 체계 미성숙 및 유통경로 확보가 수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중고 가전제품 등 틈새시장을 노려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음.

 

 ○ 또한 중국 내수시장은 규모가 큰 만큼 시장 구성요소 역시 다원화돼 있으므로, 시장 진입 상품 라인의 차별화와 구역화가 필요.

  - 예를 들어, 의류의 경우 남부지역과 북부지역 소비자의 신체 체형 및 환경요소가 상이한 만큼, 남부 지역 상품 라인을 그대로 북부지역 시장에 진입할 경우 해당 지역 소비시장의 흡수력이 반감될 수 있음.

 

 ○ 현지 소비자의 민족의식이 높은 편이므로, 같은 상품이라도 마케팅 이미지를 중국 정서에 부합하게 설정해 상품 친화력을 향상해야 함.

 

 ○ 대형할인매장을 중국 내수시장 유통경로로 접근할 때, 내자업체는 초기진입비용이 저렴하고 국영 형태가 다수이므로 자금력이 탄탄한 편이며, 2~3급 도시 접근 통로로 적당

  - 외자 업체는 내자 업체에 비해 추후 상품 관리 방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며, 1~2급 도시에 분포해 있는 편

 

중국 대형할인매장 발전 연혁을 통해 보는 중국 내수시장 트렌드 비교

 

소비트렌드

매장 경쟁 요소

주요 소비품목

일인당

평균 소득

맹아기

(1978~1996년)

실용성 추구

상품가격

충분한 공급량

정부 지원

식료품, 대형 가전(TV, 세탁기, 냉장고 등)

700~
1000달러

발전기

(1997~2004년)

상품 안정성 및 품질 추구

상품 가격선 이미지 구축

상품 라인 전면 확보

마케팅 방안 다원화

노하우 시스템 구축

공급상 개발 및 물류 효율

품질 감독

이동통신기기, 소형 가전(진공청소기·과즙기·전기밥솥·전자레인지·전기다리미 등), 가공식품, 담배 및 주류, 의류, 건강보조상품

1000~
3000달러

통합기

(2005~2008년)

상품 가치 및 차별화 추구

상품 라인 차별화

자체 브랜드 상품 개발

공급선 통합 및 단가 제어전략

서비스 및 효율 제고

인재 육성 체제 구축

인수합병 및 경제규모 통합

의류, 화장품,
교양오락용품, 가정용품,
액세서리, 차량용품

3000~
6000달러

 

□ 대만 기업의 강점과 약점

 

 ○ 강점

  - 중국 내수시장 접근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와 인재 보유

  - 동일한 언어 구사로 남보다 신속한 시장 접근 가능

  - 중국 내 대만 기업 공급선 백그라운드가 탄탄함.

  - 지역별 대만기업협회 간 네트워크 원활화로 정보 교류 및 지원에 용이

  - 양안삼통(올해 12월 15일부로 정식으로 전면 실시)으로 운영상의 소요 비용 및 시간 절감 효과
참고 - 양안삼통에 따른 경제 효익

   · 대만은 매년 해운과 항공운송, 전신, 전자식 자금이체 방면에서 약 7억3000만 달러를 절감할 것으로 추산

   ∙ 해운은 매년 8억2000만 대만달러, 항공운송은 매년 132억 대만달러 절감

   · 여행시간 약 860만 시간 절감

   ∙ 화물운송 매년 약 8억1000만 대만달러, 운송시간 약 26만 시간 절감

   · 대만의 첨단과학기술산업의 경우 약 80% 이상의 비중이 중국에서 생산 중으로, 대만 산업계에서 불문율로 통하는 955/973설에 따르면 95%/97%의 수주를 5일/3일 내에 납품한다는 관념이 내재해 있으므로, 양안삼통을 통한 비용 및 시간 절감은 실질적인 대만 기업의 생존발전과 직접적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음.

 

 ○ 약점

  - 대다수의 대만기업이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어, 브랜드 및 마케팅 경쟁력 제고 방면의 경험 및 전략은 다소 미흡

  - 신규 브랜드 출시를 위한 시간적·금전적 투입 부담 높은 편

  - 중국의 투자환경 악화로 기존 대비 운영단가 상승

  - 실질적인 인재 육성 방안의 미흡과 근로자의 로열티 저조한 편

 

□ 시사점

 

 ○ 이 세미나 강사의 견해에 따르면, 2009년 말경을 대만기업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 절호기로 예상, 중국 내수시장 진입을 계획한다면 상품 라인 확정·시장수요 파악·시장 호응 테스트 등 사전 준비를 해둘 필요가 있음.

  - 대만 내부적으로 2009년 말경에는 경기 회복세가 다소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 지배적이며, 금융위기로 극도의 불황기를 거치면서 경쟁력 약세 기업이 자연적으로 도태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자료원 : 중국 내수시장 세미나 발표 자료 및 강연 내용 종합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의 중국 내수시장 접근전략 옅보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