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원정보] 사우디, 77억弗 규모 알루미늄 생산공장 건설 예정
- 투자진출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이관석
- 2008-10-31
- 출처 : KOTRA
-
사우디 광업공사, 77억 달러 상당 알루미늄 생산공장 건설 예정
- 연 75만 톤의 알루미늄 생산능력 -
- Rio Tinto Alcan과 합작으로 추진 -
보고일자 : 2008.10.30.
리야드 코리아비즈니스센터
□ 알루미늄 공장 착공 내역
○ 사우디아라비아는 세계 최대 매장량을 자랑하는 오일·가스 이외 금·은·철 등 기타 광물들도 상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매장돼 있으며, 알루미늄의 원자재라 할 수 있는 보크사이트 또한 풍부하게 매장돼 있는 주요 기타 광물자원 중의 하나임.
○ 사우디아라비아광업공사 51%, Rio Tinto Alcan 49% 합작으로 추진
- Saudi Maaden-Aluminium Complex라고 불리는 이 프로젝트는 사우디아라비아 동쪽 Ras Al Zour라는 지역에 연산 9000만 톤의 보크사이트 투입해 160만 톤의 알루미나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해 연 75만 톤의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대형 알루미늄 Smelter 공장건설 프로젝트임.
- 원료로 사용되는 브크사이트는 사우디아라비아 북쪽 Ras Al Zabirah지역에서 채굴해 철도 운송을 통해 알루미늄 제련소가 있는 Ras Al Zour로 운반 예정
- 생산되는 알루미늄의 70%가량은 제3국으로 수출예정
□ 프로젝트 추진 일정
○ 약 77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지난 2007년 9월 Maaden사가 Alcan사와 알루미나 정제 및 알루미늄생산을 위한 기술제공, 운영, 마케팅 기술지원 등에 대한 개괄적인 합의사항(HoA)에 이르면서 본격적으로 시작
○ 시공사(EPC)는 벡텔사로 선정
- 올 10월 벡텔사가 공식 시공사로 선정
- 2009년 8월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미국의 금융여파로 인해 Maaden측에서는 PF 여건 및 세계 경기위축으로 인한 향후 마케팅 여건 악화 등을 우려 다소 연장의사를 제기하고 있으나, Alcan측에서는 이를 부인하고 있음.
- 당초 일정대로 추진될 경우, 2012년 전체 공정완공을 목표로 메탈부분은 2011년 4분기에 시운전을 하고, 알루미나 제련소는 2012년 2월 시운전 예정
□ 시사점
○ 알루미늄 스멜터공장은 GCC권 국가들이 탈석유화학정책의 일환으로 집중육성 추진하고 있는 주력 제조업종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음.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이러한 제조공장에서 나오는 원자재와 제품 등의 부산물을 활용, 이를 제2차 산업과 연계할 산업을 전략 투자유치 업종으로 선정·적극 유치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유인책으로 Feedstock도 거의 저렴한 수준의 가격으로 공급하겠다는 파격적인 안을 제시하고 있음.
- 우리 업체 입장에서는 이러한 알루미늄제품이나 Sabic에서 대량 공급하는 플라스틱 레진류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에 투자진출도 적극 고려해 볼 수 있음.
○ 알루미늄 생산공장 건설과 연계 추진되는 다른 플랜트건설에도 관심 제고 필요
- 77억 달러 프로젝트는 보크사이트를 운송하는 철도건설플랜트, 원료 및 제품을 구매 공급하기 위한 전용 항만건설, 알루미늄 스멜터공장 전용 자가발전소 건설 및 주조시설 등을 포함.
- 우리 업체들이 졍쟁력이 있는 분야인 만큼 해당분야 플랜트 수주 및 기자재 공급쪽에도 관심을 가져볼만함.
자료원 : Maaden사 마케팅담당, Zawya 사이트 등 KOTRA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자원정보] 사우디, 77억弗 규모 알루미늄 생산공장 건설 예정)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크로아티아] 해외 명품시장 동향
크로아티아 2008-10-28
-
2
日, 2010년 신제품 BEST 10
일본 2010-04-05
-
3
폴란드, 최초의 원전건설 과연 가능할까
폴란드 2010-06-24
-
4
美, 자동차부품 수입의존도 지속적으로 높아져
미국 2008-10-21
-
5
브라질 경제성장 동력 건설 프로젝트 5000억 헤알 규모
브라질 2009-06-19
-
6
대만-중국 ECFA, 서비스업 교류에 문을 열다
대만 2010-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