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 中 현지기업 동향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08-10-22
- 출처 : KOTRA
-
- 중국 최대 완구업체 도산 -
- 가전업계도 실적악화에 따라 감원 바람 -
보고일자 : 2008.10.22.
상하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김윤희 alea@kotra.or.kr
□ 현지기업 동향
○ 허쥔 완구 제조업체 2개 공장 폐쇄
- 2008년 10월 15일, 미국발 금융위기 영향으로 중국 최대 완구업체 허쥔그룹의 광둥성 둥관지역 2개 공장이 폐쇄돼 6500명에 달하는 직원들이 대량 실업에 직면함.
허쥔 공장 폐쇄된 후 공장 근로자들이 체불 임금을 요구하며 시위하고 있음.
- 세관통계에 의하면, 2008년 1~7월 수출액이 10만 달러 이상의 완구업체는 1574개로, 전년동기대비 3600여 개 줄어 52.7% 감소됨,
- 2008년 1~8월, 중국 완구수출액은 51억 달러, 증가율은 22%로 전년동기대비 1.3%포인트 증가
- 향후 30% 완구업체가 금융위기 여파로 인해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측
○ 렌샹 글로벌 감원 바람
- 2008년 10월 17일, 렌샹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감원을 실시할 것을 통지해 미국의 글로벌 본부의 50명 직원이 우선 감원대상으로 결정
- 기타 지역 감원은 지역별 경제정세에 따라 실시될 것이며, 이번 감원은 이 회사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한 구조조정 계획의 하나라고 렌샹 관계자가 밝힘.
- 이 밖에도 전 세계 최대 PC 제조상인 HP는 2008년 9월, 금융위기 영향으로 향후 3년간 총 직원 수의 8%에 달하는 2만4600명을 감원할 것이라고 함. 지난 6월 DELL도 8800명 감원 계획을 발표함.
○ 하이얼 백색가전 3분기 수출 적자
- 금융위기와 해외 소비시장 수축으로 하이얼 상반기 해외 판매액은 34억 위앤으로 전년동기대비 7.64% 감소함.
- 하이얼 백색가전 해외판매부 리훙밍 부장은 하이얼 냉장고·세탁기가 3분기 이후 판매량 감소 추세를 나타났으며, 수출은 최초로 적자가 나타났다고 밝힘. 이는 중국 가전제품이 몇 년간 해외에서 좋은 실적을 거둬들인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임.
- 4분기는 통상적으로 가전제품 판매 호황을 이루는 것이 보통인데, 메이디·콩카 등 가전제품 대표기업들도 금융위기의 여파로 수출환경이 낙관적이지 못한 상황임.
- 10월19일에 폐막된 Canton fair에서도 가전제품 주문량이 줄고 있어, 전문가들은 2009년 상반기에는 가전제품 판매가 바닥을 치고 2010년에야 다소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
○ 4대 철강업체 감산 결정
- 금융위기로 철강 수출이 영향을 받아 재고량이 증가됐고, 부동산 경기 침체로 내수 시장 수요도 감소되면서 철강 가격이 하락됨.
- 허베이 철강그룹, 산둥 철강그룹, 서우강, 안양 강철그룹은 철강 가격 유지를 위해 10월 생산량을 20% 감소하기로 결정
○ 방직업계 6월 이후 수출 적자, 상반기에만 1만여개 기업 도산, 2/3는 구조조정
- 세관통계에 의하면, 2008년 6월부터 방직업 수출은 마이너스 성장이 시작됐고, 상반기 일정 규모 이상 6만7000개 중소기업이 도산했으며, 이 가운데 1만 개 주요 수출 방직업체가 문을 닫았음.
- 그 밖에 2/3 방직기업은 구조조정에 직면했고, 이미 2000만 명을 넘는 공인들이 실업 상태임.
- 대형 날염 업체 화팡 주식회사도 3분기 이윤이 50% 감소될 것으로 예측
○ 가구 수출 주문량은 30~40% 감소
- 선전잉거리가구업체사의 2007년 월평균 수출액은 500만 위앤이었지만, 2008년 월 평균 수출액은 300만 위앤으로 감소됨.
- 2008년 3월 가구 전시회 이후, 주문량 급감으로 선전의 직원 수가 400명 이하인 20여 가구업체가 도산됨.
- 수출이 감소되면서 가구업체들은 내수확장에 나섰지만, 자금난으로 많은 수출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
○ 2008년 선박업체 신규 주문량 감소
- 중진 회사의 조사에 의하면, 중국 내 선박업체들의 이미 받은 주문량은 충족해 향후 2~3년간 생산은 보장될 것임.
- 그러나 Clarksond의 통계에 의하면, 2008년 신규 주문량이 대폭 감소돼 1~9월 주문량은 전년동기대비 34.2% 감소
□ 업계 대응책 및 시사점
○ 방직업계 ‘수출 +내수 적극 시동’으로 위기 돌파 노력
- 미국발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중국 내 경공업 업종의 수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아왔음.
- 이에 관련 기업들은 내수 비중을 높이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섬.
- 중국 정부도 방직업체의 대거 도산하고 있는 점과 수출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점을 주시하고, 11월 1일부로 방직품·의류 등의 수출 증치세 환급율을 기존의 11%에서 13%로 인상하는 안을 발표
○ 중동, 아프리카 등 신흥지역 적극 개척을 통해 주력시장 재조정
- 동팡즈싱 그룹은 올 초부터 중동시장 개척을 위해 전시회 개최, 직영점 개설 등 신흥시장 개척을 통해 미주 지역 수출 감소를 대체하고 있음.
- 저장난롱 그룹은 예전에는 주로 선진국 시장 개척에 주력했으나 2007년부터 점차적으로 아프리카를 새로운 시장으로 주력하고 있음.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여기고, 전체 시장에 대한 전략적 판단과 관점에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게 됨.
- 저장성 최대 와이셔츠 수출기업인 베이크만 그룹은 미국의 경기 침체에 따라 미국의 오더량이 감소하고 있어, 기존 미국 바이어 위주의 오더 진행에서 영국·프랑스·스웨덴 등 유로화지역 및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음.
자료원 : 남방도시보, 금융계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금융위기] 中 현지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금융위기] 유럽 산업별 단체의 반응
2008-10-16
-
2
[자원정보] 페루, 원유 매장량 막대
페루 2008-09-19
-
3
中, 중소기업 자금지원 확대
중국 2008-09-28
-
4
핀란드 소비자들의 연령대별 라이프 스타일 변화
핀란드 2008-07-31
-
5
홍콩 사무실에 부는 녹색화 바람, 친환경 사무용품 인기
홍콩 2008-08-14
-
6
英,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왕성
영국 2008-08-31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