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의 TV 통판시장은 변신 중
  • 경제·무역
  • 후쿠오카무역관 우상민
  • 2008-09-10
  • 출처 : KOTRA

일본의 TV 통판시장은 변신 중

- 고급 브랜드 제품도 판매, 실점포와 판매 연계도 진행 -

- 우리 기업들이 일본 유통구조에 침투할 수 있는 루트 늘어날 것 -

 

보고일자 : 2008.9.10.

우상민 후쿠오카무역관

idolmin@kotra.or.kr

 

 

□ 일본 TV 통판 시장, 한계점에 도달

 

 ○ 일본 통신판매시장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2007년 전체 통신판매 매출액은 3조8800억엔으로 추계되는데, 전년대비 5.4% 증가했음.

 

일본의 통판시장 규모

자료원 : 일본통신판매협회

 

 ○ TV 통판시장은 이제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다는 지적

  - 한편, 후지 경제의 조사에 의하면 2000년 BS/CS 디지털 방송 개시로 채널수가 급증해 텔레비전 통판시장은 매년 전년도 대비 10~20% 확대해 왔으며, 2007년은 약 11% 증가한 3962억 엔이 됐다고 함. 실제로 작년에 대히트했던 운동비디오프로그램인 빌리즈부트캠프의 DVD와 운동기구 세트가 작년 가을까지 150만 세트가 팔려 텔레비전 통판 호조의 상징으로 자리잡았음.

  - 하지만, 이 회사의 쿠리타 주임은 니케이 트렌디지와의 인터뷰에서 “시청 가능 세대수의 한계점에 도달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향후의 성장에 염려를 나타냈음.

  - 2011년 지상파 디지털 방송으로의 완전 이행이라고 하는 불안 재료도 있음. 현재 CATV국은 아날로그 방송의 빈 채널을 이용해 미계약 세대에도 통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디지털 방송으로 이행하면 빈 채널은 없어져 시청 가능 세대 수가 감소하게 됨.

 

□ 텔레비전 통판에 등장한 브랜드 상품

 

 ○ 지금까지와 같은 성장세를 기대할 수 없게 되면서 텔레비전 통판업계는 여러 가지 변화를 시도 중인데, 그 중에 하나가 브랜드 상품 판매

  - 기존의 텔레비전 통판 사업을 진행 중이던 대기업들이 예전에는 TV 통판을 하지 않던 고급 브랜드를 판매하거나, TV 통판 중견 기업들이 브랜드가 강한 기업과 손을 잡고 브랜드 상품을 TV 통판을 통해 판매하고 있음.

 

 ○ 이토추 상사가 텔레비전 통판업체 프라임과 자본 업무 제휴 맺어

  - 약 150개 이상의 패션 브랜드를 취급하는 이토추 상사가 텔레비전 통판 업계 6위인 프라임과의 자본 업무 제휴를 맺었음.

  - 프라임은 건강·미용 관련품의 판매에 실적을 가지고 있는 회사. 그러나 히트상품은 있어도 취급상품 전체를 아우르는 상표 설정이 과제였음. 따라서 프라임에게는 생활 소비 관련 분야에 강하고, 브랜드 가치가 높은 이토츄는 매력적인 존재였음.

  - 한편 이토추는 새로운 판로 개척으로서 참가 장벽이 높지만, 시장확대를 계속하고 있는 텔레비전 통판에 매력을 느끼고 있어 양 회사의 기대가 합치했음.

 

 ○ 대기업들 자사 브랜드 상품 판로로 자회사인 TV 통판 활용

  - 2000년 이후 텔레비전 통판업계를 견인해 온 것은 통판전문 채널 중 톱인 ‘숍 채널’을 운영하는 스미토모 상사계열의 쥬피터 숍 채널. 그리고 쥬피터 숍 채널을 육박하고 있는 것이 ‘QVC’로 이는 미쓰이 물산 계열임.

  - 미쓰이 물산은 이번 봄 이 회사가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는 ’하나에모리’ 브랜드의 고급 라인을 QVC를 통해 판매했음. 3만 엔짜리 넥타이와 5만 엔짜리 우산을 판매했는데, 높은 가격으로 TV 통판을 통해서는 팔기 어렵다는 상식을 뒤집고 큰 성과를 거뒀음. 미쓰이 물산은 하나에모리 제품의 통판을 위해 자회사인 BS디지털 방송 월드·하이비젼·채널을 통해 먼저 하나에모리 브랜드의 세계관을 전하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도 했음.

  - 한편, 스미토모 상사는 이번 6월 산하의 이탈리아 고급 셔츠 브랜드 ‘나라카미체’의 블라우스 가운인데, 인기 모델을 보급 가격대로 상품화했음.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지키면서도 숍 채널용 오리지날 상품을 발매한 것. 이 밖에도 독일의 브랜드 ‘페이라’ 등도 숍 채널로 판매하고 있다고 함.

 

스미토모 상사가  채널을 통해 판매한 나라카미체의 블라우스

자료원 : 니케이트렌디

 

□ TV통판, 연계를 통한 판매루트 확장

 

 ○ 통판 각사의 향후 과제는 코어 유저인 중노년 여성뿐만 아니라 젊은 층을 수중에 넣는 것. 그 열쇠가 되는 것이 넷이나 휴대폰과의 연계

  - 스미토모 상사는 국내 최대의 패션 이벤트 ‘도쿄 걸즈 콜렉션’ 등을 운영하는 휴대폰 통판회사인 제이베르와 자본 제휴했음. 목적은 물론 젊은층에게 강한 제이베르의 노하우

  - ‘숍 채널’에서도 젊은층 전용의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전개해가고 있음.

 

 ○ 실점포와의 연계를 모색하는 움직임도

  - 세븐일레븐 매장 레지옆에는 40~50대의 여성 사이에 화제가 되고 있는 화장품 ‘지니인스탄트라인스무서’가 있음. 가격은 8190엔으로 편의점에 판매되고 있는 다른 상품에 비해 고가. 텔레비전 통판에서는 인기 상품이지만 실점포에서의 판매는 처음

 

세븐일레븐 점포에서 판매되고 있는 ‘지니인스탄트라인스무서’

자료원 : 니케이트렌디

 

  - 일본 TV와 세븐&아이·홀딩스, 덴츠는 합작해 ‘일본 티브이 7’를 설립했음. 일본 TV가 ‘쇼핑너무좋아! 여신의 시장’이라고 하는 30분짜리 프로그램을 매주 지상파로 방송하고, 프로그램에서 채택된 상품은 텔레비전 통판, 프로그램에 연동한 쇼핑 포털 사이트를 통한 넷 통판, 이토요카도나 세븐일레븐 등의 리얼 점포에서 판매함. 화장품 ‘지니인스탄트라인스무서’ 의 매장 판매도 이 구조 속에서 이뤄진 것

  - ‘여신의 시장’은 단순한 통판 프로그램이 아닌 상품 정보 프로그램임을 강조하고 있는데, 소개하는 상품이 팔리고 있는 이유 등을 차분히 검증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저렴한 느낌만을 추구하는 종래의 통판 프로그램과는 차별화하고 있음.

  - 예를 들면, 이 프로그램에서 세븐&아이·홀딩스의 상업자 상표 ‘세븐 프리미엄’의 팩 쌀밥을 채택한 방송에서는 팩의 편리함뿐만 아니라 공장에서 제조되는 공정을 리포트해 맛의 비밀을 전했음.

 

여신의 시장’ 프로그램에 소개된 세븐프리미엄의  쌀밥

자료원 : 니케이트렌디

 

  - 이 상품 3개 팩의 가격은 288엔.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통판에서는 콜센터의 운영비용 때문에 5000엔 이하의 저액 상품은 팔기 어렵지만, 일본 티브이 7은 점포나 넷에서 판매된 매상의 몇 %를 수수료로 받는 모델이기 때문에 수백 엔짜리 상품도 취급할 수 있음.

  - 또한 프로그램에서 소개한 상품은 리얼점포의 매장에서도 적극적으로 PR되기 때문에 텔레비전, 넷만이 아니고, 리얼 점포도 유력한 미디어로 자리잡게 된 것

 

□ 시사점

 

 ○ 일본 텔레비전 통판 업계,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

  - 일본의 텔레비전 통판 시장은 2000년 이후 꾸준히 커져왔지만, 디지털 방송으로의 완전 이행 등의 악재가 존재하는 등 시장 확대에 한계점에 달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음.

  - 이에 따라 일본 텔레비전 통판업계는 고급 브랜드 제품의 판매, 다른 매체와의 연계 등을 통해 새롭게 판매망을 확대 구축하고 있음.

 

 ○ 일본 유통구조의 융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

  - 일본은 전통적으로 폐쇄적인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었음. 서로의 유통채널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영업을 전개해 왔음.

  - 그러나 최근 넷 통판, TV 통판, 실점포 판매 등이 융합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우리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유통망 늘어날 듯

  - TV 통판업계가 실점포 및 휴대폰 통판, 넷 통판 등과 연계되면서 저렴한 제품에서부터 고급품까지, 그리고 중노년의 여성층 대상 상품뿐만 아니라 젊은층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까지 TV 통판을 통해 판매되고 있음.

  - 과거 TV 통판에서 판매되고 있는 상품이 중노년 여성을 겨냥한 중저가의 상품 일색이었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다양한 연령층을 겨냥한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이 팔리고 있음.

  -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상품들도 일본 유통구조에 침투할 수 있는 루트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 니케이트렌디, 일본통신판매협회, 회사사계보 업계지도 2008년판(동양경제신보사), 인터넷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의 TV 통판시장은 변신 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