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8-08-24
  • 출처 : KOTRA

[이집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소비재 수입 급성장으로 고소득층 위주 제품 및 국가 개발전략 활용 기초 자본재 시장 공략 필요 -

 

보고일자 : 2008.8.24.

권세영 카이로무역관

seyoung@kotra.or.kr

 

 

가. 이집트 수입시장 동향

 

 ○ 이집트는 산업화 기반 확충을 위한 자본재 수입과 천연·액화가스 수출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2008년에도 이러한 추세에 큰 변화가 없음.

 

 ○ 매년 100억 달러 이상의 무역적자 발생에도 200억 달러의 경상수지는 흑자구조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서비스 수지(관광 수입·수에즈 운하·해외 근로자 송금 등)가 매년 약 200억 달러 유입되고 있기 때문임.

 

이집트의 연도별 교역 추이

                                                                                                               (단위 : 억 달러)

구 분

2003/4

2004/5

2005/6

2006/7

2007/8

Q1~Q3

총 수출

104.5

138.3

184.5

220.2

207.5

총 수입

182.8

241.9

304.4

378.3

376.3

무역수지

-78.3

-103.6

-119.9

-158.1

-168.8

주 : 회계연도(매년 7.1~익년 6.30) 기준

자료원 : 이집트 중앙은행

 

 ○ 2007/08 회계연도 3분기의 경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32.7%, 수입은 43.1% 증가해 수입증가율이 수출 증가율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수출 주도 품목은 석유 및 가스 등의 광물과 의약품, 알루미늄 및 감자와 땅콩의 농작물이었음.

  - 수입 주도 품목은 원유·철강·가전·의류 제품이 전년동기대비 10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음.

  - 용도별로 수입증가율은 중간재 51.5%, 자본재 28..0%, 소비재 73.1%로 소비재의 증가율이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음.

  - 지역별로는 EU와 미국 편향적 교역구조에 큰 변화가 없었으며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19.2%), 영국(8.1%), 독일(6.8%), 중국(6.4%), 스위스(5.9%), 프랑스(5.1%), 이탈리아(3.5%)로 나타났으며, 상위 11개국의 비중이 65.2%로 나타났음.

 

나. 대한 수입 특이 동향

 

 ○ 2008년 들어 대 이집트 수입이 수출을 초과,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됐는데 이는 천연가스 및 나프타의 수입 증가와 수입가격 인상이 그 배경이 되고 있음.

  - 대 이집트 수출품목 : 승용차, 자동차부품, 합성수지, 펌프 등 산업 자본재

  - 대 이집트 수입품목 : 천연가스, 나프타 등 원자재

  - 양국 간 상호보완적 교역구조

 

 ○ 2008년 1~7월까지 이집트의 대한 수입 증가율은 22.7%로 2007년의 36.7%에 비해 다소 감소했지만, 20% 이상의 안정된 수입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 주요 수입 품목은 승용차, 자동차 부품, 합성수지, 철강 등 중간재 및 자본재 위주로 구성돼 있어 전년에 비해 큰 변화가 없음.

  - 승용차, 자동차부품, 타이어, 화물자동차의 4대 자동차 관련 품목이 전체 수입의 44.3%를 차지하고 있음.

 

한-이집트 연도별 교역 동향

           (단위 : 천 달러, %)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1~7

수출

425,470

538,392

706,797

853,226

1,166,579

860,411

(증감률)

(32.5)

(26.5)

(31.2)

(20.7)

(36.7)

(22.7)

수입

195,142

336,825

201,357

450,000

613,806

958,523

(증감률)

(45.3)

(72.6)

(-40.2)

(123.5)

(36.4)

(143.1.)

무역수지

230,327

201,567

505,440

403,226

552,773

-98,112

자료원 : KOTIS

 

 ○ 품목별 특이 사항

  - 승용차의 수입 증가율이 2007년의 두자릿수에서 한자릿수인 5.3%로 둔화된 반면, 자동차 부품은 62.2%의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음. 이는 한국차의 높은 인지도에도 일본 및 유럽이 시장점유율 증가 공세가 거세고, 완성차보다는 CKD형태로의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임.

  - 합성수지의 경우도 증가폭이 2007년의 42.7%보다 낮은 20.7%로 나타났음. 이는 석유화학 국제 가격이 다소 하락하고 있어 바이어가 구매 시기를 다소 늦추고 있기 때문임.

  - 폴리에스터사(-7.4%), 폴리에스터직물(-12.3%) 등 섬유류의 경우 수입 하락세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폴리에스터 섬유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 전력 관련 기자재의 수입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변압기, 발전기, 기타 중전기는 전년에 비해 100% 이상의 수입 증가율을 보였음. 이집트 정부의 전력망 확충에 따른 발전소 건설에 따른 기자재의 수요가 수입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음.

  - 건설 중장비는 양호한 건설 경기에도 수입 감소. 건설 중장비의 경우 계절적 요인에 따라 가격 변동이 심한 만큼, 한국의 비수기인 겨울철로 수입시기를 조정하는 것이 감소의 배경이 되고 있음.

 

다. 하반기 우리 수출 시장현황

 

 ○ 호조요인

  - 제조업 육성정책 : 천연가스 위주 산업 구조 탈피 및 수출 공업국 지향 정책으로 완제품 소요 기초 원자재 및 기계의 꾸준한 수요증가, 이집트는 아랍권의 수출 허브 국가를 지향하는 국가 목표를 세우고 있음.

  - 외자유입 확대에 따른 수혜층 증가 : 천연가스 개발에 따른 외국 자본의 유입이 증가세를 이루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관 업종 종사자의 부의 증가로 일부 계층의 소비 수준 향상으로 2007/08년 3분기까지 내구재 수입 증가율이 82.6%로 급증

  - 안정된 거시경제 : 물가 상승률을 제외한 전반적 거시 경제가 양호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이어의 수입 심리가 안정적

  - 한국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향상 : 중국산 제품 유입에 따른 소비자의 품질 비교를 통해, 한국산의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증가

  - 한국기업의 플랜트 참여 확대 : 대규모 화학 플랜트에 한국기업의 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연관 기자재의 수입 수요 증가

 

 ○ 부진요인

  - 높은 물가상승률 : 2008년 1~6월까지 월별 물가상승률이 모두 10%를 상회했으며, 6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20.2%까지 상승했음. 높은 물가상승률로 중산층 이하 소비자의 저가품에 대한 수요 증가

  - 승용차시장 경쟁 격화 : 이집트의 대한 수입품목 1위인 승용차 시장이 일본의 적극적인 시장공략, 중국의 저가 공략으로 경쟁 격화

 

라. 수출확대 전략

 

 ○ 에이전트 시장에 대한 이해

  - 이집트는 나일강 하류 카이로, 알렉산드리아에 시장이 95% 이상 집중돼 있어 현지 유력인사 중심의 파트너 선정 및 이를 통한 마케팅이 필요

 

 ○ 명확한 타깃그룹 선택 및 집중 전략

  - 글로벌 제품의 경우 상위 10%를 타깃으로 하고 한국에서 직접 제품을 수출

  - 표준화된 현지형 제품은 이집트 현지에서 생산 공급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 위주의 수출

 

 ○ 이집트 산업 발전단계에 적합한 제품 공급

  - 한국산은 선진국 제품에 비해 품질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고, 이집트 기업은 기술수준이 낮아 차별적 경쟁력 보유 가능

  - 선진국 첨단 제품의 경우 사양 변경에 애로가 있으나, 한국산의 경우 수요자 수준 및 요구에 부합하는 개량향 제품 공급 가능

  - 기계류의 경우 전자동 기계보다는 현지의 저가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사양은 최대한 단순히 하고 가격을 낮추는 전략이 효과적임.

 

 ○ 국제 입찰 플랜트 수출 적극 참여

  - 이집트 정부조달 시장 규모는 약 40억 달러로 정부주도 프로젝트에 대한 이집트 정책을 최대한 활용

  - 정부 조달유망분야로는 용수·하수처리 설비·가스·석유화학·전력분야임.

 

 ○ 우회 수출 및 투자 혼합형 시장으로 활용

  - 이집트는 중동·아프리카·유럽의 지리적 중심지에 있으며, EU 및 미국 등과 FTA 또는 무관세 수출이 가능하므로 인근국 우회수출기지로 활용 가능

 

 

자료원 : 이집트 중앙은행, KOTIS, 현지 진출 한국기업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