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2008년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경제·무역
  • 인도
  • 뉴델리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8-22
  • 출처 : KOTRA

인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 기계류, 자동차부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호조세를 이어갈 전망 -

- 적극적 현지화와 보급형제품 개발이 인도 진출에 유리 -

 

보고일자 : 2008.8.22.

박민준 뉴델리무역관

parshop1@gmail.com

 

 

가. 인도 수입시장 동향

 

 □ 인도 경제동향

 

  ○ 2008/09 회계연도(2008.4~09.3)에는 높은 인플레이션, 고유가 등 대외 여건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7%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 인도는 지난 3년간 9%대의 성장세를 보인 바 있으나, 올해는 산업생산증가가 완연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음. 작년 두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였던 산업생산은 지난 5월 3.8% 증가에 그친 데 이어 6월에도 5.4%로 실망스러운 수준임.

   - 6월 산업생산을 부문별로 들여다 보면 전력·시멘트 등 주력업종의 증가세는 3.4%에 그친 반면, 소비재생산의 증가세가 10% 이상을 보임.

   - 하지만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인도 정부가 이자율을 계속 높이고 있기 때문에 소비시장도 움츠러들 것으로 우려됨. 여러 전문기관들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올해 인도 경제성장률이 7%대에 머무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으며, 인도 총리실 산하의 경제자문위원회에서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7.7%라고 지난주 발표한 바 있음.

   - 한편 외국인 투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높은 수입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음.

 

 □ 인도 수입시장 동향

 

인도의 주요 수입대상국 및 수입액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A) 2005.9~06.2 수입액

(B) 2006.9~07.2 수입액

(C) 2007.9~08.2 수입액

증가율(C/B)

1

China

5,624.10

9,208.60

14,394.00

56.3

2

Saudi Arabia

920.1

6,382.80

11,037.80

72.9

3

U.A.E.

1,742.40

3,864.10

6,907.40

78.7

4

U.S.A

3,906.50

5,102.10

6,844.20

34.1

5

Iran

337.8

3,459.60

6,075.90

75.6

6

Germany

2,874.30

3,808.70

4,956.80

30.1

7

Singapore

1,649.80

2,688.10

4,146.10

54.2

8

Kuwait

297.1

2,781.80

4,027.10

44.7

9

Nigeria

34.3

3,336.50

3,779.20

13.2

10

Iraq

0.8

2,725.30

3,421.50

25.5

11

Japan

1,766.90

2,218.30

3,211.80

44.7

12

Australia

2,232.00

3,587.90

3,190.40

-11

13

Malaysia

1,180.40

2,822.70

3,094.40

9.6

14

Switzerland

2,216.90

5,510.90

3,069.30

-44.3

15

Korea, South

2,320.10

2,419.00

3,063.50

26.6

 

전체 수입액

71,258.80

92,033.60

120,768.60

31.2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인도 수입시장의 최근 특성은, 첫째로 중국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늘어난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둘째는 고유가에 따라 산유국들의 비중 역시 크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임.

 

 □ 대한 수입 특이동향

 

우리나라의 품목별 대 인도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

순위

품목코드

(MTI 3단위)

품목명

2007

2008(1~6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742

자동차부품

879,447

40.4

618,913

40.7

2

613

철강판

762,831

54.3

495,779

54.4

3

133

석유제품

532,314

25.7

443,880

112.7

4

812

무선통신기기

485,280

-60.8

370,590

45.6

5

214

합성수지

226,437

23.7

187,403

88

6

746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328,385

664.9

140,138

-16.2

7

215

합성고무

114,837

88.5

101,332

101.2

8

790

기타기계류

206,074

26.1

100,460

30.6

대 인도 수출 총 계

6,600,039

19.3

4,209,595

40

자료원 : 무역협회

 

  ○ 우리나라의 대 인도 수출은 2007년에 19.3% 늘어난 데 이어 2008년 상반기에는 40%나 늘어남. 현대자동차 및 GM의 인도진출에 따라 여러 협력업체들이 인도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들의 원부자재 수급을 위한 자동차부품 수출은 계속 늘어나고 있음. 또한 인도 전반에 걸친 인프라개발붐의 영향으로 철강판의 수출도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석유제품, 합성수지, 기계류 등의 수출이 활발함.

 

나. 하반기 우리 수출시장 현황

 

 □ 하반기 대 인도 수출전망

 

  ○ 하반기에도 대 인도 수출은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2008년 연간 수출증가율은 30%에 육박할 것으로 보임. 인도의 경기침체가 본격화될지의 여부, 내년 총선을 앞둔 정치적 영향, 인플레이션 등이 하반기 대인도 수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또한 올해 최악의 경상수지 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인도가 수입규제에 앞장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

 

 □ 호조 요인

 

  ○ 인도 시장 확대 및 소비 증가

   - 최근 인도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소득수준이 향상됐으며, 그에 따른 소비도 늘어나고 있음. 실제로 올해 인도 경제는 산업생산이나 수출보다는 내수소비에 의존하고 있음.

 

  ○ 한-인도 CEPA 협상 타결로 인한 우리나라 제품 시장 경쟁력 제고

   - 협상 막바지에 있는 이 협상이 하반기 중 타결될 것으로 보이며, 우리상품의 전반적인 경쟁력 향상이 예상됨.

 

  ○ 산업발전에 따른 기계류, 철강제품의 대인도 수출 증가

   - 제조업투자가 계속되고 인프라 및 부동산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기계류, 철강제품의 대인도 수출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임.

 

 □ 부진 요인

 

  ○ 현지생산체제의 본격화

   - LG전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한국 투자기업들이 현지 생산체제를 본격화함에 따라 관련 제품 및 부품의 대 인도 수출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 중국산 제품의 인도 점유율 지속 증가

    - 중국산 제품의 인도시장 점유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저가제조물품의 경우 거의 독점에 이를 정도임. 인도 수입시장에 대해 중국은 2007년 기준 11.36%를 점유하고 있으며, 점유율을 계속 높이고 있음.

 

다. 대 인도 수출 확대를 위한 제언

 

 ○ 인도는 계층, 인종, 종교 등이 매우 다양한 나라이며 상권도 지역별로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다른 시장에서 성공한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인도에서 큰 재미를 못 보는 경우가 많은데, 인도의 타깃 고객층에 대한 심도 있는 시장조사가 필연적으로 수반돼야 하며, 인도 고객에 맞도록 제품 및 서비스를 현지화하는 것이 중요함.

 

 ○ 한편 인도는 가격에 매우 민감한 시장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보다는 단순한 기능의 보급형 제품이 보편적으로 적합함.

 

 ○ 한편 현대적 유통망이나 유통체인이 아직 확립돼 있지 않아서 유능한 에이젼트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가급적 이들과 인간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함.

 

 

자료원 : KOTRA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2008년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