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30대 소비시장 분석(1)
  • 경제·무역
  • 홍콩
  • 홍콩무역관 박은균
  • 2008-06-23
  • 출처 : KOTRA

중국, 30대 소비시장 분석(1)

- 홍콩무역발전국이 소비규모·일인당 소비액·인구수 등을 분석, 상위 30개 도시 선별 -

-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는 독보적 소비시장 -

 

보고일자 : 2008.6.23.

박은균 홍콩무역관

hanguo@kotra.or.kr

 

 

□ 중국 지방도시들의 발전 가속화

 

 ㅇ 중국의 빠른 경제발전과 함께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시장 역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음. 현재 중국지역의 도시화율은 44%에 달하고 있음.

 

 ㅇ 홍콩무역발전국에 의하면, 예전에는 마케팅 대상에서 제외되던 낙후된 도시들이 최근 과거의 베이징·상하이·광저우가 보였던 속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홍콩 및 외국기업의 주요 타깃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음.

 

□ 중국 지역별 소비시장의 특징

 

 ㅇ 주강삼각주지역(PRD)

  - 남부지역에서는 주강삼각지역의 6개도시(광저우, 션전, 동관, 포샨, 중산, 주하이)와 샤먼이 유망소비시장으로 꼽힘.

  - 기존의 현지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하지만 소비자들은 홍콩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광동성지역의 물가가 높아 홍콩상품의 가격대에 대해 수용성이 있음.

 

 ㅇ 양쯔강 삼각주 지역(YRD)

  - 외국기업들의 대거 진출로 이미 왕성한 소비지장이 조성돼 있으며, 해당지역 내 상하이·항저우·쑤저우 등 12개 도시가 유망소비시장으로 꼽힘.

  - 신속한 물류 흐름과 많은 인적 교류는 제품들을 중국 전 지역으로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ㅇ 베이징, 티엔진, 샨동, 랴오닝(Bohai-Rim)

  - 베이징·티엔진을 비롯한 7개 도시가 선정됐으며, 해외 각국의 소비자가 모이는 대형소비시장임. 샨동과 랴오닝의 경제성장은 해당 지역 내의 소비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주요 소비자층에는 한국 및 일본주재원 가정이 포함됨(산동성에 거주하는 한국인은 7만 명에 달함).

 

 ㅇ 중부와 서부지역

  - 일반적으로 중부와 서부지역은 해안지역보다 경제발달이 뒤쳐져, 구매력이 낮고 외국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낮아, 광고 및 마케팅 투자가 많이 필요함.

  - 홍콩 브랜드는 외국브랜드에 비해 인지도가 높아, 시장 확장·광고·가격 전략에 우위를 점하고 있음.

 

□ 중국 도시별 소비시장 평가

 

 ㅇ 홍콩무역발전국은 중국의 287개(소도시 제외) 도시의 시장규모·일인당 소비액·거주자 수입 및 재정상태를 고려해 50개 도시를 선별한 후, ▲200㎞ 반경 지역의 인구수, ▲시장규모, ▲경제력을 평가해 소비시장 상위 30개 도시를 선정함.

 

 ㅇ 홍콩무역발전국은 이들 3개 도시를 점수에 따라 AAA(상), AA(중), A(하)로 구분함. 주요 평가기준은 시장규모와 개인당 소매지출액임.

 

중국 30대 소비도시

평가

도시명

AAA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션전, 난징, 우한

AA

쑤저우, 항저우, 닝보, 티엔진. 칭다오, 지난, 션양, 다리엔, 창샤, 정저우

A

포샨, 동관, 주하이, 중산, 샤먼, 우시, 창저우, 쩐쟝, 진화, 찌아샹, 샤오싱, 후저우, 즈보, 청두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보고서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보고서

 

 ㅇ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독보적 소비시장

  - 상하이·베이징·광저우는 지역은 중국 전체 소비시장의 12%를 차지하며, 중국시장 진출의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음.

  - 거대한 도시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 내 80~90% 이상이 도시화를 이뤘음. 거주자 중 교포 및 외국기업 주재원의 비율이 높아 현대식의 서구화 소비패턴을 가지며, 소비력 역시 매우 높음.

  - 개인소득은 평균 7000~8000위앤으로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매우 높은 편이며, 두터운 중산층이 형성돼 있음.

  - 지역 수준에 따라 차별화된 상업지구가 형성돼 있으며, 예를 들어 상하이의 경우, High-End 상업지구는 Nanjing Road와 Huaihai Road이며, Mid-range 상업지구는 Xujiahui와 Nanjing East Road이며, Lower-End 상업지구는 Yuyuan Tourist Mart와 Sichuan Road North를 들 수 있음.

 

2007년 중국 3대 도시의 소비지출 비율

자료원 : KIEP ‘최근 중국 3대 도시의 소비성향 변화’

 

 ㅇ 선젼-홍콩에서 소비

  - 선젼은 2007년 1인당 국민소득이 1만 달러를 초과해, 중국에서 가장 고소득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음.

  - 선젼은 중국 하이테크 산업의 핵심지역으로, R &D 분야에 근무하는 고소득 화이트칼라와 엔지니어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강한 구매력을 보유하고 있음.

  - 하지만, 홍콩과의 인접성 때문에 고가품·브랜드 제품의 경우 홍콩에서 소비하는 경향이 있어, 소득수준에 비해 소비시장 성장이 느린 편임.

  - 최근 위앤화 강세로 홍콩 소비 경향은 더욱 뚜렷해지고 있어, 홍콩 세일 기간의 주요 쇼핑몰에는 명품 구입을 하기 위해 온 광동성 거주 중국인들로 불야성을 이룸.

 

 ㅇ 난징과 우한

  - 외국인 투자가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산업별 수출입량도 점차 확대되고 있음. 이에 따라 고득자군 이 탄생해, 소비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음.

  - 쑤저우과 항저우(AA)의 전체소비액은 난징과 우한(AAA)에 비해 낮으나, 개인당 소비지출액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가상품 시장을 중심으로 소비가 이뤄짐을 알 수 있음.

 

 ㅇ 항저우-절강성 최고 도시

  - 항저우는 경제 발달 및 인프라 시설 면에서 성 내 가장 우수한 기업 환경을 갖추고 있어, 우수한 외국기업들의 투자가 끊이지 않고 있음.

  - 2005년 조사에 따르면 항저우의 8만8000개 기업 중 59개가 중국의 500대 기업에 속했음. 많은 국유기업의 본부가 있으며, 최근 국제 전시도시로 거듭나고 있음.

  -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High-End 제품을 소비하는 고소득자군이 형성돼 있어, 한단계 높은 평가를 받은 난징과 우한보다 1인당 소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ㅇ 쑤저우-상하이에서 소비

  - 쑤저우는 강소성 GDP의 65%를 차지하며, 이 중 서비스산업 분야가 32%를 차지함.

  - 2000년 이후 매년 두자릿수 경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쑤저우산업공원을 비롯해 장강 자유무역지대·군산 경제 기술개발구 등 유력한 산업 기반을 갖고 있어, 최상위 소비시장으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높음.

  - 또한 외국기업들의 투자유치가 활발해 쑤저우 산업발전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음.

  - 이러한 눈부신 경제발전에도 쑤저우의 소비 진작이 다소 늦게 시작된 이유는, 중국 최대 소비시장인 상하이에 근접해, 다수의 쑤저우 거주자가 상하이에서 소비하는 성향이 남아있기 때문임.

 

□ 홍콩기업의 중국 주요도시 진출 전략-수도권급 이상의 도시에 집중되는 투자

 

 ㅇ 홍콩기업들의 관심은 소도시보다는 빠르게 경제 성장을 하고 있는 수도권급 이상의 도시에 집중되고 있음.

  - 홍콩 기업들은 주로 체인점을 활용해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홍콩 체인점으로는 Esprit·Moiselle·Giordano·Bossini·U-Right and Baleno 등의 의류와 Le Saunda·Staccato·Belle 등의 신발류, Chow Tai Fook·3-Gold 등의 주얼리류 등이 있음.

  - 위 체인점들은 중국 수도권급 이상의 소비시장에서 이미 높은 인지도를 확보한 상태이며, 현재는 현급으로 그 층을 넓혀가고 있음.

 

 ㅇ 높은 선호도 활용, 이미지 유지 및 구축 강화에 주력

  - 홍콩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외국제품들에 비해 중국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높음. 이는 홍콩제품들이 대체로 중국 소비자들에게 세련되고, 우수한 품질로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임.

  - 홍콩 기업들은 이러한 유리한 포지셔닝을 유지 및 강화하기 위해 광고와 프로모션 활동에 많은 역량을 투입하고 있음.

 

 ㅇ 적정한 가격으로 중산층 공략

  - 중국에서 예상하고 중산층 규모는 약 2억5000만 명으로, 주로 대도시에 집중 거주하고 있음.

  - 홍콩 브랜드들은 대부분 고가 제품보다는 중고가의 제품으로 세련되고, 우수한 품질, 적정한 가격을 바탕으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중산층을 공략하고 있음.

 

 ㅇ 주요 외국 소매업체 입점 현황

  - 비교적 가격대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소매업체(까르푸나 월마트 등) 및 디자인 생활용품 판매처(B&Q)의 경우, 상당수가 수도권급 이상의 도시(혹은 지역 내 중심지, 행정중심지)에 위치해 있음.

  - 전체 34개 매장 중 19개가 수도권급 이상 도시에 입점한 Trust-Mart의 경우 현지인의 기호에 맞는 저렴한 가격의 식품을 중심으로 판매하고 있음.

  

주요 외국 소매업체 입점 현황

업체명

전체 입점 도시 수(개)

전체 입점 도시 중

수도권급 이상 도시 수(개)

Carrefour

30

23

Wal-Mart

28

22

Metro

25

21

Trust-Mart

34

19

B&Q

23

20

주 : 수도권급 도시 15개(베이징, 상하이 등 대도시 제외)-션양, 다리엔, 창춘, 하얼빈, 지난, 칭다오, 난징, 닝보, 항저우, 샤먼, 우한, 광저우, 션전, 시안, 청두

자료원 : 기업웹사이트, 홍콩무역발전국보고서

 

 

자료원 : 홍콩무역발전국 ‘Breaking into the Mainland Consumer Market’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30대 소비시장 분석(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