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오일머니 급증에 따른 수입수요 증가
  • 경제·무역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김익환
  • 2008-06-22
  • 출처 : KOTRA

쿠웨이트, 오일머니 급증에 따른 수입수요 증가

-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확대에 따른 관련 기자재 수출 확대노력 필요 -

 

보고일자 : 2008.6.22.

김익환 쿠웨이트무역관

kimih@kotra.or.kr

 

 

□ 최근 경제동향

 

 ○ 정부 재정수입 급증

  - 고유가 행진에 힘입어 7년 연속 흑자 시현

  - 이러한 재정 수입을 바탕으로 건설 붐이 일어나고 있음.

 

연도별 재정흑자 규모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1/02

2002/03

2003/04

2004/05

2005/06

2006/07

총 수입

18,340

21,371

23,838

30,801

49,028

55,214

석유

15,550

18,897

21,134

28,079

46,271

51,825

비석유

2,790

2,478

2,704

2,722

2,760

3,385

총 지출

16,309

16,931

18,979

21,701

24,507

29,507

초과분

2,027

4,440

4,863

9,096

24,521

25,707

주 : 회계연도는 4월 1일~다음해 3월 31일

자료원 : National Bank of Kuwait

 

 ○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발주 활발

  - 이라크라는 안보위협 제거 및 재정수입 급증으로, 그동안 미뤄왔던 국가 기간산업용 대형 프로젝트 발주 활발

  - 석유화학·발전·항만 등의 개보수 및 신증설

 

 ○ 외국인 투자여건 개선

  - 2001년 4월 외국인 직접 투자법 제정, 2003년 2월부터 시행

 

 ○ 북부유전 개발 및 석유생산 능력 확대 추진

  - 정부 및 KOC는 70억 달러 규모의 북부유전개발 계획(일명 Kuwait Project)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외국석유회사(컨소시엄 형태)의 생산참여 적극 허용

  - 그러나 국회의 반대로 수년간 지연돼 오고 있음.

 

 ○ 경제개혁 추진

  - 공기업 민영화 적극 추진 : 통신부문, Kuwait Airways, KPC 산하 기업, 주유소 등

  - 공공요금 현실화(정부 보조금 삭감 등) : 전기, 수도, 가솔린가격 인상 등 추진

  - 부가가치세 등 제한적 세제 도입 추진

 

 ○ GCC 경제통합 참여

  - 관세 단일화(2003년 9월, 5% 균일)

  - 2010년까지 GCC 단일통화 도입을 위한 노력에 적극 참여

 

 ○ 인플레이션 현상 심각

  - 정부의 지속적인 물가 안정책에 힘입어 안정 기조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물가가 치솟고 있는 실정(소비자 물가 상승률 : 1.0%(2003), 1.3%(2004), 4.1%(2005), 3.0%(2006), 4.3%(2007))

 

 ○ 경기활성화 및 노동력 부족에 따른 임금 인상

  - 각종 건설붐이 일고 있으며, 최대 인력 공급국인 인도 자체 경기가 좋아지자 쿠웨이트 내에서 인력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인건비 상승(연간 9%)

  - 150억 달러 규모의 단일 규모 세계 최대 신규 정유공장 공사 등이 시작되면, 인력부족 현상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전망됨.

 

□ 시장특성

 

 ○ 전형적인 소비 시장

  - 산업기반 부재로 생필품에서 중화학 산업분야 이르기까지 거의 전량을 외국 수입에 의존(6개 산업단지에 900여 개 제조업체 가동 중)

 

 ○ 소비층의 양극화(중산층 부재)

  - 부유한 쿠웨이트인과 그렇지 못한 제3국인 시장 양분

  - 쿠웨이트인은 전체 인구의 1/3 수준

 

 ○ 중계무역 기지 역할

  - 지정학적으로 걸프만 최북단에 위치해, 이란·이라크·사우디 등 인근 중동국가 무역의 교두보 및 중계지 역할 수행(전쟁 전 전체 무역규모의 30% 이상이 중계무역으로 이뤄짐.

  - 이라크 정세 안정 시 최대 수혜 예상

 

□ 한국과의 교역 현황

 

품목별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

구분

2006

2007

순위

품목명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계

669,623

46.2

1,305,750

95

1

기계류

313,781

44.6

878,468

180

2

철강금속제품

163,879

112.6

177,261

8.2

3

전자전기제품

101,999

29.4

153,345

50.3

4

화학공업제품

23,600

-6.4

31,013

31.4

5

섬유류

29,686

0.9

30,768

3.7

6

플라스틱고무 및 가죽제품

29,184

23.8

28,345

-2.9

7

생활용품

3,033

35.5

3,460

14.1

8

농림수산물

1,612

-50.5

1,204

-25.3

9

잡제품

2,678

90.9

1,081

-59.6

10

광산물

171

11.9

805

371.1

 

품목별 수입현황

           (단위 : 천 달러, %)

구분

2006

2007

순위

품목명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 계

8,133,477

36.1

8,746,780

7.5

1

광산물

8,085,318

35.5

8,717,117

7.8

2

철강금속제품

13,348

72.1

19,416

45.5

3

전자전기제품

4,588

40.9

9,468

106.4

4

화학공업제품

2,043

1,614.80

450

-78

5

기계류

28,118

252,825.40

311

-98.9

6

생활용품

3

5,645.50

6

98.6

7

섬유류

2

-32.1

5

98.3

8

플라스틱고무 및 가죽제품

55

-44

4

-92.5

9

잡제품

2

-82.7

2

29.9

10

농림수산물

0

-77.1

0

100.4

 

 ○ 지속적인 수출 증가 추세

  - 이라크전 이후 가파른 수출 증가세가 2005년에는 주춤

  - 2006년에 다시 급격히 상승 중

  - 2007년에는 전년대비 95% 증가

 

 ○ 수출 증가 원인

  - 대규모 플랜트 프로젝트 수주에 따른 한국산 기자재 수출확대

  - 자동차, 전자제품 등 한국산 제품의 인지도 상승

 

 ○ 우리나라의 수출 여건

  - 수출 여건

기회

  - 오일머니 급증에 따른 시장 수요 증가

  - 한국산 제품 인지도 상승(건설, 자동차, 전자제품 등)

  - 유로화 강세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 및 유럽산 기계에 대한 대체수요 발생

  - 향후, 이라크 시장 진입을 위한 전초기지 역할 기대

장애

  - 중국, 인도 등 후발 경쟁국들의 도전 심화

  - 소비층의 양극화(중산층 부재)로 국산제품 시장진입 애로(쿠웨이트인은 유럽산을,
     제3국인은 중국산을 선호)

  - 국내 종합상사 등의 부재로 시장 관리 미흡

  - 주변국인 중동지역 정세 불안 및 문화적인 이질감에 따른 국내기업 현지 진출 기피

 

□ 수출 확대 방안

 

 ○ 국내기업의 건설 프로젝트 수주에 따른 관련 기자재 수출확대 노력 필요(밸브, 파이프, 각종 철강제품 등)

  - 쿠웨이트 발주처 벤더 등록 노력 강화

  - 해당 기자재 제조업체와 국내 건설사 간 협력 강화 필요

 

 ○ 선택과 집중에 의한 효과적인 시장 공략

  - 현지 기계·플랜트 시장규모 증가 일로

  - 유럽산 기계, 국산으로 대체 가능(품질대비 가격경쟁력 확보)

 

 ○ 효과적인 시장관리 필요

  - 현지 시장 및 제품에 대한 더 직접적인 관리 필요

  - 국내 종합상사 부재로 현지 시장 및 에이전트 관리 미흡

 

 o 국내기업의 쿠웨이트 현지 투자 고려

  - 쿠웨이트 정부는 석유산업 이외의 다양한 기초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단지 조성에 역점을 두고 각종 인센티브 제공

  - 쿠웨이트 기업과 합작해 현지 진출을 통한 쿠웨이트 및 인근 중동시장 공략 가능(현재 일부 중소기업 진출 중)

 

 

자료원 : 쿠웨이트 기획예산부 발간간행물, 쿠웨이트 산업청 홍보담당자, 한국상품 수입에이전트 의견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오일머니 급증에 따른 수입수요 증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