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한국의 대미 수출 소폭 감소에도 무역수지는 흑자 기록
  • 경제·무역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5-30
  • 출처 : KOTRA

한국의 대미 수출, 소폭 감소에도 불구 무역수지는 흑자 기록

- 무선통신기기, 액정디바이스, 철강제품 등 수출 증가 -

- 수출 품목 집중화 현상 우려 -

 

보고일자 : 2008.5.29.

이상우 로스앤젤레스무역관

jeremylee@kotrala.com

 

 

한국의 대미 수출 현황

 

 ○ 1/4분기 작년보다 2.9% 감소, 무역수지 소폭 흑자 기록 중

  - 한국의 대미 수출이 올해에도 작년과 비슷한 교역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한국무역협회(KITA)의 수출통계자료에 의하면, 2007년 한국이 미국으로 수출한 물품의 총 규모는 전년대비 6% 증가한 457억 달러였으며, 올해 1/4분기 교역량은 작년보다 2.9% 감소한 110억 달러에 머물렀음.

  - 2007년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자동차·통신기기·석유제품·자동차 부품·컴퓨터·반도체 그리고 광학기기 등의 순서로 교역량이 가장 많았으며, 이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금액 기준으로 총 수출 규모의 절반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한국의 대미수출 상위10대 품목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순위

품목코드

품목명

2007

2008(1~3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45,766,102

6.0

11,073,181

-2.9

1

8703

자동차

8,091,124

-6.0

1,785,507

-12.7

2

8517

유선/무선 전화기,

통신기기 및 부품

6,031,842

1,829.5

2,014,772

39.1

3

2710

석유 및 역청유 제품

4,123,180

33.2

630,718

-34.4

4

8708

자동차 부품

2,673,052

12.1

728,820

13.3

5

8473

컴퓨터 및 부품

1,847,174

6.2

288,524

-54.6

6

8542

전자직접회로

1,391,655

-23.5

276,101

-36.3

7

9013

액정 디바이스, 레이저기기

및 기타 광학기기

1,343,723

114.3

287.737

0.0

8

4011

고무제의 공기타이어

765,380

6.5

216,051

17.5

9

2902

환식탄화수소

597,176

26.4

253,394

118.9

10

8418

냉동기구 및 열펌프 등

490,046

8.3

142,577

23.3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작년 대미수출 상위 10대 품목 중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자그마치 1829.5% 증가한 통신기기였으며, 다음으로 LCD 모니터 등을 포함한 광학기기(114.3%), 석유제품(33.2%), 그리고 환식탄환수소(26.4%)가 그 뒤를 이었음.

  - 반면에 반도체인 전자직접회로와 자동차는 각각 전년대비 23.5% 그리고 6.0% 감소했음.

  - 올해 4월 20일 기준으로는 무선통신기기(88.7%)·액정디바이스(60.7%)·철강제품(10.2%) 등의 수출이 증가했으나 석유화학제품(-33.0%)·자동차(25.0%)·반도체(-15.0%)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음.

  - 한국은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8000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음.

 

 ○ 미국 수입현황

  - 지난해 미국의 전체 수입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5.39% 증가한 1조9537억 달러로, 이 중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전체의 2.4%였으며, 한국은 2006년도에 이어 미국의 7대 수입국의 자리를 연속 차지했던 것으로 나타났음. 한국의 2006년 대미 수출금액은 432억 달러였음.

  - 미국 관세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수출이 가장 많았던 나라는 중국으로, 전체의 16.4%인 3215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캐나다(16.0%)·멕시코(10.8%)·일본(7.4%)·독일(4.8%)·영국(2.9%)의 순으로 나타났음.

  - 주요 국가별 수출증가율을 비교했을 때 중국이 11.7%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와 멕시코가 각각 3.5%·6.3% 증가했으며, 한국의 경우 작년보다 회복된 3.8%의 증가율을 기록했음.

  - 반면, 미국의 4대 수입국인 일본은 1.8%의 감소세를 보였으며, 383억 달러의 규모로 10위를 차지했던 대만은 0.2% 증가율을 기록했음.

 

시사점

 

 ○ 품목 집중화 현상 심각 수준

  - 한국의 주요 대미 수출품목인 자동차, 통신기기 및 전자제품이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증가하고 있음.

  - 작년(HS code 4단위 기준으로 한) 한국의 상위 10대 대미 수출 품목들의 비중은 거의 60%에 육박했던 것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음.

  - 이는 한국의 수출 경쟁국인 중국·대만·일본과 비교해 매우 높은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음.

 

한국과 경쟁국의 대미 수출 상위 10대 품목의 집중화 비율

 

한국

중국

일본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

60%

37%

54%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경쟁국 한국 대미 수출 품목 대체화

  - 한국의 가장 강력한 경쟁국 중국이 의류 등 경공업제품 수출에 집중했던 예전과 달리, 이제는 컴퓨터·자동차·반도체 등 중국의 대미 수출품목들이 한국과 겹치고 있는 실정임.

  - 예를 들어 한국의 상위 2위 품목인 ‘유선·무선 전화기, 통신기기 및 부품(8517)’은 중국산이 2007년 전년대비 493.4% 증가하며 한국 수출량의 2배가 넘는 규모로 성장했음.

  - 중국의 대미 수출액은 2007년 2327억 달러로 전년대비 14.4% 증가했음.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World Trade Atlas, 자체 무역관 자료 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한국의 대미 수출 소폭 감소에도 무역수지는 흑자 기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