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나마, Petaquilla사 Molejon지역 금광 개발 착수
- 투자진출
- 파나마
- 파나마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8-05-01
- 출처 : KOTRA
-
파나마, Petaquilla사 Molejon지역 금광 개발 착수
- 환경청의 반대에도 공사 강행 -
보고일자 : 2008.4.30.
윤의정 파나마무역관
○ 파나마 광산업체 Petaquilla사 공사 강행
- Petaquilla사는 파나마의 대표적인 금·구리광산 개발업체로, 다양한 지역에 광산 개발권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임. 이 회사는 광산 개발권이 1997년 정부와 체결한 계약에 따라 개발권이 법적으로 보장돼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환경청의 반대로 인해 논란이 됐던 금광 개발공사를 강행하고 있음.
- Petaquilla사는 현재 산하에 2개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는 광산업체로, 구리광산 개발 프로젝트를 관장하는 Petaquilla Copper사와 금광 개발 프로젝트를 관장하는 Petaquilla Minerals가 있음.
- 구리 광산개발 자회사인 Petaquilla Copper사의 경우 캐나다계 광산개발 회사인 Teck Cominco사와 Inmet사가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외에 주요지분을 Petaquilla사 회장인 Richard Fifer 회장이 보유하고 있음.
- 금광 개발 자회사인 Petaquilla Minerals사는 Richard Fifer 회장이 대부분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으며, 아울러 현지 자본이 지분형태로 투자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파나마 환경청 환경오염 우려
- 이러한 가운데 금광 개발 회사인 Petaquilla Minerals의 핵심 프로젝트인 Molejon 지역 금광 개발이 환경청의 반대로 인해 논란이 되고 있으며, 환경청의 Harley Mitchell 청장은 환경영향평가 보고서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공사를 강행해 금광이 개발되고 금을 추출할 경우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 오수로 인해 주변 하천이 크게 오염되고 환경재앙을 불러올 것이라고 경고했음.
○ Petaquilla사 1997년 제정된 개발권 보장법 준수 방침
- 그러나 Petaquilla Mienrals사의 Marcel Salamin 사장은 환경청의 이러한 반응에 대해 전혀 공사를 중단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1997년 제정된 법에 따라 보장된 개발권을 정당한 법적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 아울러 1997년에 체결된 계약과 법을 준수하면서 모든 개발을 진행할 것이며, 현재 75% 정도의 진척률을 보이고 있는 금 추출시설을 올 8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또한 금광개발 관련 주관기관은 상공부이며 환경청은 보조기관에 불과하다고 밝히면서, 이러한 정치적 상황에 따른 개발권 무산과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권 보장법이 제정된 것이며, 장기간 소요되는 자원개발사업이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게 하기 위한 안전장치이기도 하다고 이야기함.
- Molejon 금광은 시가 기준으로 약 2억9000만~5억4000만 달러(매장량 기준 31만7000~59만3000온스) 정도의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2008년 말부터 본격적인 금 채굴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 환경청은 Petaquilla사의 또 다른 자회사인 Petaquilla Copper사가 계획하고 있는 구리광구 개발에 대해서도 2007년 12월에 제출된 환경 영향평가 보고서에 대한 심사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함.
자료원 : La Prensa, 무역관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파나마, Petaquilla사 Molejon지역 금광 개발 착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對요르단 투자 유망 분야-제조분야
요르단 2010-08-01
-
2
명암이 교차한 폴란드의 2007년 투자 유치
폴란드 2007-12-29
-
3
우리 기업 對루마니아 진출 확대
루마니아 2008-04-02
-
4
체코, 제조업 투자 인센티브제도 개정
체코 2007-07-12
-
5
캄보디아, 외국인 투자진출 동향 및 전망
캄보디아 2007-04-11
-
6
베트남, 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 활발
베트남 2008-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