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올 중국 폐지시장 동향 및 전망
  • 트렌드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08-04-30
  • 출처 : KOTRA

2008년 중국 폐지시장 동향 및 전망

- 중국, 폐지수입 40억4000만 달러로 47.1% 증가, 국제 폐지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 -

 

보고일자 : 2008.4.30.

이성호 광저우무역관

imsergio@kotra.or.kr

 

 

□ 중국 폐지산업 동향 및 특징

 

 ○ 중국 내 폐지는 사용됐거나 버려진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고급지에서 공업용지·신문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중국 제지산업의 주요 원재료인 폐지는 2007년 이래 수입량 증가와 수입가격 인상이 지속돼, 국제 제지상품 공급과 제지업·출판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2007년 중국 폐지수입은 2256만 톤으로 40억4000만 달러 규모이며, 전년동기대비 각각 15%, 47.1% 증가함.

 

 ○ 외국기업의 폐지 수입량 증가

  - 2007년 중국 외국기업에 의한 폐지수입량은 1448만 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했으며, 이는 총 폐지 수입량의 64.2%를 차지함, 사영기업은 366만1000톤 수입, 7.7% 성장, 국유기업은 272만6000톤 수입, 전년대비 17.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수입의존도 증가

  - 주요 수입국은 미국·EU이며, 수입량이 전체의 72.5%에 이르러 이들 지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07년 미국에서 932만5000톤 수입(약 17억8000만 달러), 유럽으로부터 703만1000톤 수입해 전년동기대비 각각 9%, 28% 증가함.

  - 폐지 수입의존도는 2000년 60%에서 55%대로 의존도가 낮아진 반면, 목재 펄프의 수입 의존도는 29%에서 51%로 급속 상승함.

 

중국 폐지 및 목재펄프 수입 의존도

        (단위 : %)

 

자료원 : 중국지망

 

 ○ 폐지 수입가격 인상

  - 2007년 중국의 수입산 폐지 평균 가격은 179.2달러/톤에 달했으며, 지난해보다 27.9% 증가했음. 2007년 1월의 수입산 폐지의 평균가격은 151.4달러/톤에서 11월 202.3달러/톤, 12월 209.3달러/톤에 달하는 등 2008년의  폐지 수입 가격은 지속 인상 추세를 나타냄.

 

미국, EU 수입산 폐지 평균가격 변화 추이

    (단위 : 위앤, 톤)

자료원 : 중국지망

 

 ○ 한국산 폐지 수입동향

  - 중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폐지량은 2005년 600만 달러로부터 2007년 5000만 달러에 이르러, 최근 2년새 10배가량 증가하는 등 급증 추세를 보임. 중국 폐지 수입액은 약 40억 달러 및 최대 수입국인 미국산 수입량은 약 17억 달러에 이름.

 

2005~07년 중국시장 내 한국폐지 수입동향

 (단위 : 천 달러, %)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KITA

 

□ 폐지 수입량 증가 및 수입가격 인상의 원인

 

 ○ 제지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제지 원자재 수요 증대, 중국 내 낮은 폐지 회수이용률, 목재펄프 원료의 수입폐지 품질이 중국산 밀짚펄프보다 우수해 수입산 선호, 중국정부가 2006년 1월 발표한 목재 펄프가공무역 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인한 펄프 대체 원료의 수요 증대 등의 요인들로 폐지 수입량 증가가 이어지고 있음.

 

 ○ 중국 폐지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는 제한된 국제시장 내 폐지 공급을 감소시켜 폐지의 국제가격 인상 주요 원인임.

 

□ 중국 폐지산업 관련정책

 

 ○ 폐지 수입의 심사비준 및 관리 강화 및 폐지 수출 제한

  - 국가 환경보호총국은 2007년 11월 1일부터 폐지수입의 심사와 비준을 제한하고, 폐지 수출권한 획득 기업의 관리강화를 규정

  - 목재·목재 펄프 및 비목재펄프의 수출을 제한하고 수출 환급관세 폐지에 더한 수출관세 부과 정책을 시행함.

 

 ○ 폐지회수와 이용률 강화 ‘제지산업정책’ 시행

  - 중국정부에서는 국내 폐지 회수율을 지금의 31%로부터 34%, 폐지 이용률을 32%에서 38%로 제고하는 목표를 수립, 해당 정책 시행으로 2010년 목재 펄프·폐지 펄프·비목재 펄프의 구조를 26%, 56%, 18%로 조정하게 될 것으로 알려짐.

  - 또한, 성공적인 정책 시행을 위해 폐지회수 분류 표준을 작성하고, 지방정부의 폐지회수의 관리규정 제정을 독려해 대형 폐지경영기업·폐지회수 거래시장 설립 등 향후 폐지 회수관련 규정을 규범화할 예정

  - ‘제지산업정책’ 중 중국기업이 해외에서 제지산업 기지를 건립하고 펄프제조 프로젝트 추진하는 등, 관련사업을 위한 해외 투자진출 시 적극 지원할 계획임을 발표함.

 

□ 중국 폐지산업 시장전망 및 시사점

 

 ○ 중국의 폐지수요는 지속 증가 예상되며, 국내 폐지 수출업체는 중국 수출시장 확대방안 모색 필요

  - 중국 제지산업협회의 데이터에 따르면 2006년 중국 공업용지 및 판지의 생산량과 소비량은 각각 6500만 톤, 6600만 톤에 달해 세계 제2의 시장이며, 또한 최근 3년간 제지 산업 연평균 누적성장률은 11.15%에 달해 2008년의 생산량과 소비량이 각각 8010만 톤, 7868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함.

 

 ○ 제지산업은 자본집약적이며, 투자에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들을 감안하면 최근 이어지는 폐지 수요 증가분을 대체할 충분한 공급이 힘든 상황으로, 향후 수년간 폐지 가격은 지속적으로 인상될 것으로 예상됨.

  - 폐지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용 인상의 장기간 지속 시, 중·소형기업은 경쟁에서 퇴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소수의 대형기업들이 시장을 이끌어가게 될 것임.

 

 

자료원 : 중국산업연구망, 중국해관, 중상보고망, 중국지망 및 현지 언론보도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올 중국 폐지시장 동향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