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2008 1차 14개 광구 입찰 세부내역
  • 투자진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8-04-30
  • 출처 : KOTRA

이집트 2008 1차 14개 광구 입찰 세부내역

- 이집트 홍해 및 서부 인근 14개 광구 입찰 공고 -

 

보고일자 : 2008.4.30.

권세영 카이로무역관

seyoung@kotra.or.kr

 

 

□ 정보 요약

 

 ○ 이집트 원유 및 천연가스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석유부 산하 공기업인 Ganope(Ganoub El Wadi Holding Petroleum Company)는 2008년 총 12개 광구 개발 및 생산권 입찰을 4월 1일부로 개시했음.

 

 ○ 이번 광구 개발 지역은 이집트 동남부 지역인 홍해와 사막지역의 12개 광구에 대한 입찰로 7월 15일 입찰 마감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www.ganope.com에서 확인 가능함.

 

 ○ Ganope는 EGPC와 함께 광구개발권을 책임지고 있는 석유부 산하 공기업으로 주로 Upper Egypt(이집트 남부)의 광구 개발권을 관할하고 있음.

 

 ○ Ganope의 12개 광구 입찰 공고와 함께 EGPC에서도 2개 광구에 대한 입찰 공고를 발표함에 따라, 총 14개의 광구에 대한 입찰이 진행되고 있음.

 

□ 광구 개발 입찰 세부내역

 

 ○ 이집트의 광구 개발 입찰은 매년 연례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EGPC·Ganope 및 EGAS 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 이들 기업에 의해 제시된 입찰 건수는 2005년 EGPC가 13건, Ganope가 4건 이었으며 2006년 EGPC가 6건, Ganope가 8건이었음.

 

  - EGPC : 이집트 석유 개발 및 유통권·가스 개발 및 유통권 등 총 관할

  - GANOPE : UPPER 이집트 석유 개발권

  - EGAS : 가스 개발권, 유통 등 관할

  - ECHEM : 석유화학 프로젝트 관할

 

 ○ 2008년 Ganope의 광구 개발 입찰권은 총 12건으로, 주로 이집트 동남부 사막 지대와 홍해 주변이 입찰 대상지임.

 

2008 Ganope 12개 광구 개발권 입찰 지도

 

광구명

면적(㎢)

광구명

면적(㎢)

Block1(Ras Banas)

7,077

Block7(S Wadi El Sahl)

657

Block2(N Mersa Alam)

10,000

Block8(S Wadi Mabareeth)

11,427

Block3(S Qusier)

8,287

Block9(Wadi NMabareeth)

9,316

Block4(S Sinai)

2,600

Block10(Qaret El Dahab)

4,660

Block5(S Gulf of Suez)

108

Block11(El Ghazalyat)

7,137

Block6(W Wadi Dib)

506

Block12(Darb El Arbaien)

6,160

자료원 : Ganope

 

 ○ Ganope와 함께 EGPC도 수에즈만과 동부 사막에 대한 광구 개발 입찰 2건을 공고했으며, 입찰 마감일은 2008년 6월 30일임.

 

광구명

면적(㎢)

N Amer offshore(HH Block)

68.05

E Gharib(G &H Block)

44.66

 

자료원 : Egyptian Gazette

 

□ 이집트의 광구 개발권 획득 절차 및 관행

 

 ○ 광구 개발 허가의 최종 단계는 이집트 정부 관보에 기재되면서 종결되는데, 관보에 기재되기 전까지 EGPC의 승인 심사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함.

 

1. EGPC Bid Evaluation Committee의 신청 승인

2. EGPC Exploration Offers Committee의 승인

3. EGPC Wording Committee의 협약서 검토 및 영문 초안 작성 임시 승인

4. 영문 협약서 아랍어 번역 및 교정

5. EGPC Board of Director의 협약서 승인 추천

6. 석유부 Board of Directors의 승인

7. EGPC 및 신청자의 영문 협약서 서명

8. 하기 위원회로 부터의 협약서 검토 및 승인

  - State Council Constructing Committee

  - State Council Legislative Committee

  - Council of Minister’s Production and Economic Committee

  - Council of Ministers’ Legislative Committee

  - Council of Ministers’ Main Assembly

  - People’s Assembly’s Industrial and Energy Committee

  - People’s Assembly

9. 대통령 서명

10. 석유부 장관 및 신청자 영문 및 아랍어 협약서 서명

11. EGPC 및 컨트랙터가 National Bank of Egypt에 협약 유효 공지

12. 관보 기재

 

 ○ 광구 개발 허가권은 상기와 같이 복잡한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길게는 1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1994년 신규 모델이 발표되면서 계약 조건에 더 융통성을 강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광구 개발권 계약 시 강제조항이 아닌 양자 간 협상 조항으로는 최초 개발 시행시기, signature bonus, production bonus 비율이 있음.

 

 ○ The Arab Petroleum Research Center의 조사에 따르면 이집트 광구 개발 협약 시 규정과 관행은 아래와 같음.

  - Cost Recovery 비율(석유 탐사 및 생산에 들어간 비용를 먼저 차감하는 비율) : 탐사 및 개발 모두 연간 20%

  - 로열티(석유 생산 개시때 광구 소유국 정부에 지불) : 10%

  - Signature Bonus(개발 계약 체결 시 광구 소유국 정부에 지불) : 30만~200만 달러

  - Oil Production bonus : 200만 달러(2만5000b/d), 200만 달러(5만b/d), 400만 달러(10만b/d), 600만 달러(15만b/d)

 - 이집트 정부 oil share : 1만b/d(65~73%), 1만1~2만5000b/d(75~77%), 2만5001~5만b/d (77.5~81%), 5만1~10만(80~85%), 10만b/d 이상(85%), 가스나 LPG 의 경우 이집트 정부 75%:개발자 25%의 비율임.

 

 ○ 광구 개발업체가 유의해야 할 사항 중 다른 하나는 법인세율이 일반 기업과 달리 고율이라는 점임. 일반 기업의 경우 법인세율이 20%이나 원유 개발 및 생산업체는 40.55%의 법인세를 부담해야 함.

 

□ 광구 개발 세부동향

 

 ○ 광구 개발 입찰 실시 및 이집트 정부와의 협약서 체결 건수는 2004년 18건, 2005년 25건, 2006년 18건으로 매년 약 20건의 광구 개발권이 부여되고 있음.

 

 ○ 2006년 석유부에 의하면 총 58개의 다국적 기업이 102개의 광구에서 오일 및 천연가스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06년 들어 광구개발 기업이 소규모의 독립기업들의 참가가 많음.

 

 ○ The Arab Petroleum Research Center의 이집트 오일 보고서에 의하면 2006년 광구 협약의 또 다른 특징으로, 이집트 정부와 기업 간 개발 협약서상 최소 개발 비용이 4000만 달러에 75개에 시추 작업을 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남.

 

2005~06년 중 광구 개발권 획득 기업 내역

자료원 : EGPC, Ganope(석유부 산하 광구 입찰 관련 2대 공기업)

 

□ 광구 개발 유의사항

 

 ○ 한국의 이집트에 대한 자원 개발 피해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나타남. 한국의 이집트 자원 개발 투자는 1989년 칼다 광구와 1994년 자파라나 광구 2건인데, 칼다 광구는 1999년 지분을 해외로 매각했음.

 

 ○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조사에 의하면 2건의 원유 개발 투자에 따른 이익은 칼다 광구는 5990만 달러를 투자해 9255만 달러를 회수해 154.5%의 이익 회수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파라나 광구는 7352만 달러를 투자해 6437만 달러를 회수해 회수율이 88% 정도로 나타나 투자에 대한 회수비율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이집트는 2008년 1차 12개의 광구 개발권을 국제 입찰을 통해 선정 예정으로, 원유 및 천연가스 개발권 매각 대금을 통해 국가 재정을 확충하는 데 활용하고 있음. 2008년 들어 식품을 중심으로 물가가 폭등하고 있어, 이집트 정부는 자원 개발권 매각을 통한 저소득층 보조금을 늘릴 계획으로 광구권 매각에 더 총력을 기울일 가능성이 많은 만큼, 일부 광구는 이익 회수율이 현저히 떨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정치적 불안에 따른 자원의 국유화 현상에 대한 대처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현 무바라크 대통령이 1982년 이후 5번째 연임을 통해 권력을 집권하고 있으나, 임기가 2010년이면 끝나고 노령인 관계로 더 이상 연임이 불가능한 실정임. 하지만, 뚜렷한 차기 후계자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 무바라크 대통령의 임기 만료 후 정치적 불안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음. 2008년 들어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대학교수 등의 시위가 빈발해지고 있는데, 무바라크 이후 이슬람 과격 세력의 집권·군부 집권 등의 정치적 혼란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함.

 

 ○ 정치적 혼란의 경우 불가항력적 요소로 다국적 또는 다자간 국제기관을 통한 사업 참여 방식 또는 보험시장의 적절한 활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자료원 : The Arab Petroleum Research Center, Ganope, EGPC 한국지질연구원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2008 1차 14개 광구 입찰 세부내역)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