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올해도 자동차 판매 급증추세로 시작
  • 경제·무역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김동현
  • 2008-02-21
  • 출처 : KOTRA

베트남, 2008년에도 자동차 판매 급증추세로 시작

- 구매여력 있는 소비자 증가로 작년 3월 이후 지속 증가 추세 -

 

보고일자 : 2008.2.21.

김동현 호치민무역관

maestrong@korea.com

 

 

□ 베트남, 2008년 자동차 판매 청신호

 

 ㅇ VAMA(Vietnam Auto Manufacturers Association; 베트남 자동차 제조업체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 베트남의 자동차 판매량은 1만2084대로서 전년 동기 대비 156%의 증가세를 보였음.

  - VAMA에 따르면, 작년 3월 이후 자동차 판매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버스·트럭·밴 등 상용차가 전체 자동차 판매량 증가를 주도하고 있음.

 

 ㅇ 베트남 정부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에는 40여 개사의 자동차 조립업체와 100여 개사의 부품 및 부분품 제조업체가 있으며 연간 총 생산능력은 20만 대 이상이라고 함.

  - 한 시장 전문가에 따르면, 연간 신차 수요량이 조만간 20만~30만 대에 달할 전망이라고 함.

 

VAMA 15개 회원사 중 상위 5개사 올 1월 판매고

주 : 1) Vinamotor : 현지 국영기업(현대 브랜드 트럭 생산)

  2) Truong Hai : 현지 기업(한국 기아 브랜드 생산)

    3) Toyota : 일본 도요타와 현지기업 합작투자 법인

 

 ㅇ 지속 성장세에 힘입어 2007년 VAMA 회원사 자동차 판매량은 8만392대로서 전년 대비 96.8%의 성장세를 보임.

 

VAMA 회원사 연도별 차량 판매 추이 (단위 : 대)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12,468

19,097

26,800

43,000

40,141

39,876

40,853

80,392

자료원 : VAMA

 

□ 승용차 구매력을 가진 현지인 증가 중

 

 ㅇ 베트남의 자동차 수요 증가 원인은 소득수준 증가에 따라 승용차 구매력을 가진 현지인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임.

  - 또한, 국내 승용차 가격 인하를 유도하려는 중앙정부의 수입관세 인하 노력도 수요 증가에 일조

  - 현지 조립생산 업체가 수요 증가를 미리 예측하지 못해 최근 공급이 부족한 상황임.

 

 ㅇ 자동차 쇼룸에 진열돼 있는 차량 중 깜리·시빅·캡티바 등 인기 모델은 대부분 판매돼 버렸기 때문에 신규 구매를 희망하는 사람은 보증금을 예치하고서도 비교적 장기간을 기다려야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는 상황임.

 

 ㅇ 현지 GM-대우 자동차 쇼룸 관계자에 따르면, 캡티바는 3만3300~3만5000 달러에 이르는 고가임에도 가장 인기 있는 모델로 자리매김

  - 지금 차량 주문을 하더라도 수개월이 지나야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다고 함.

 

         

도요타 깜리                혼다 시빅              GM-대우 캡티바

 

□ 베트남, 승용차 수입관세 지속적 인하

 

 ㅇ 베트남 정부는 작년 11월 신차 승용차 수입관세를 60%로 인하했는데, 2007년에만 벌써 3번째 인하조치를 단행한 것임.

  - WTO 가입에 따라 베트남은 작년 초부터 신차 승용차 수입관세를 기존 90%에서 80%로 인하

  - 작년 8월부터는 70%로 인하했으며 이어 11월에는 60%로 인하

 

 ㅇ 이러한 인하조치의 주된 목적은 현지 생산차량 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짐.

 

  - 베트남 정부는 그동안의 보호정책 우산 아래서 지나치게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현지 조립생산 차량의 가격 인하를 요구해 왔으나 현지 업계가 이런 저런 이유로 이를 수용하지 않았음.

 

  - 이에 베트남 정부가 수입차 가격 인하를 통한 가격경쟁 유발로 현지 생산차량 가격을 낮추려는 강경책을 펴고 있는 것으로 보임.

 

  - 또한, 정부는 자동차 부품 및 부분품의 수입관세도 인하해 현지 자동차 생산 단가를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 차량 가격 인하를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짐.

 

 ㅇ 베트남 신차 승용차 수입관련 제세금표

차종

수입관세

특소세

VAT

관련세금 총계(%)

5인승 이하

6~15인승

16~23인승

60

60

60

50

30

15

10

10

10

164.00

122.80

102.40

주 : 관련 세금 총계는 차 가격(car value)에 대한 비율(%)임.

자료원 : 베트남 재무부, 통계청

 

□ 중고 승용차 일부 사양 절대 관세 변경

 

 ㅇ 신차 수입 관세 인하와 함께 중고 승용차의 절대관세도 변경.

  - 5인승 이하 차량중 1000㏄ 미만 차량 절대관세 10% 인하

  - 고급 차종으로 분류되는 4000㏄ 이상 대형 승용차는 절대관세를 오히려 대폭 인상

  - 중고 승용차 수입관세 인하 및 고급 중고차 수입관세 인상도 현지 생산차량 가격의 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짐.

 

 ㅇ 베트남 중고 승용차 수입관련 관세율표(절대관세표)

(단위 : US$)

차종

배기량

신 절대관세

구 절대관세

5인승 이하

1,000㏄ 미만

2,700

3,000

2,000 이상~3,000㏄ 미만

9,600

9,120

3,000㏄ 이상

13,500

14,250

자료원 : 베트남 재무부, 통계청

 

□ 시사점

 

 ㅇ 급격한 경제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에 따라 베트남인의 구매력은 해마다 상승하고 있으며, 고가품 수요층의 수도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ㅇ 단기적으로는 아직 베트남 시장이 저가품 위주의 시장인 것이 사실이나 장기적인 안목으로 고가품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음.

 

 

자료원 : 베트남 뉴스, 통계청,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올해도 자동차 판매 급증추세로 시작)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