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 뭄바이 시의 프로젝트 현황
  • 경제·무역
  • 인도
  • 뭄바이무역관 김정현
  • 2007-12-27
  • 출처 : KOTRA

인도, 뭄바이 도시의 프로젝트 현황

- 뭄바이 시내 교통 관련 대규모 프로젝트 기획 -

- 시행까지 여러 가지 난제 해결이 급선무 -

 

보고일자 : 2007.12.27.

김동욱 뭄바이무역관

robin@kotra.or.kr

 

 

 뭄바이 프로젝트 개요

 

 ○ 현재 뭄바이는 좁은 면적에도 약 1800만 명의 인구 분포도를 보임.

 

 ○ 차량의 수는 매년 9%씩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각종 교통문제, 환경문제 등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도시로 변해가고 있음.

 

 ○ 기존 뭄바이의 대중교통 인프라는 최악의 상황으로서 수용한계를 넘어섬에 따라서 새로운 교통수단 및 기존 교통수단의 업그레이드가 요구됨.

 

 프로젝트 현황

 

 1) 메트로 프로젝트

 

노선

비용(크로루피)

거리(km)

최종기한

VERSOVA-ANDHERI-GHATKOPAR

2,356

11.4

2010년

CHARKOP-BANDRA-MANKHURD

6,192

31.87

6년

COLABA-MAHIM-BANDRA

NA

19

5년

 

 ○ 뭄바이는 현재 9개 라인의 146.5km의 메트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교통시간은 약 90분에서 120분 사이가 소요되고 있음.

 

 ○ 향후 프로젝트 완성 시 20분으로 단축이 예상됨.

 

 ○ VERSOVA-ANDHERI-GHATKOPAR는 뭄바이 동부와 서부 외곽지역의 12개 정거장을 연결하는 뭄바이 최초의 지하철 프로젝트이며, 이들간의 교통시간은 21분이 소요될 것임.

 

 ○ CHARKOP-BANDRA-MANKHURD 는 서부와 동부 외곽지역의 27개 정거장을 연결함.

 

 ○ COLABA-MAHIM-BANDRA 는 뭄바이 최초의 지하를 통과하는 프로젝트가 될 것으로 아직까지 최종 결정되지 않은 상태임.

 

 ○ 프로젝트의 문제점

  - 현재 VERSOVA-ANDHERI-GHATKOPAR 라인 하나만 건설돼서는 네트워크가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지만, 현재까지 다른 라인에 대한 계약 진척이 없는 상황임.

  - 여러가지 허가 문제와 다양한 부서들이 관련된 업무로 인해 메트로 프로젝트 진척이 더딘 상황이므로 이들 문제관리를 위한 통합기구의 구성이 요망되고 있음.

  - 교통관리·여객관련 문제·기술적인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운영계획이 필요한 상황임.

 

 2) 교량 건설 프로젝트

 

 ○ 뭄바이에서 인도의 가장 긴(22km Trans-Harbour Link) 교량 건설로 뭄바이 시내와 외곽지역인 나비뭄바이를 연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계획 중임.

 

 ○ 현재 프로젝트를 위한 입찰이 진행 중으로 4년 뒤 시작될 예정으로 예상 소요비용은 약 4500크로루피(11억2000만 달러)임.

 

 ○ 교량건설로 인한 가장 큰 이점은 뭄바이 도심과 나비 뭄바이 지역까지 1.5 시간을 단축해 약 15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30%의 공해 및 소음감소, 에너지 절약 등 2016년 까지 1000크로 루피를 절약할 것으로 에상됨.

 

 ○ 교량 건설 프로젝트의 문제점

  - 2011년까지 시간당 4만6580대 차량이 운행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6차선 도로의 크기는 너무 작은 것으로 평가됨.

  - 현재 긴급라인이 없는 상태로서 사고나 긴급상황 시를 대비해 적어도 2개 차선이 요구됨.

  - SEZ 구역과 제2 국제공항이 들어설 나비 뭄바이 지역에 도로 라인으로는 불충분하며, 철도 라인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철도 라인 계획은 없음.

 

 3) 뭄바이의 택시 프로젝트

 

 ○ 30년 이상 된 인도 택시 분야에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

 

 ○ 뭄바이 시내에 에어컨이 장착되고, 전화로 호출하고 전기 미터를 보유한 택시 도입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음.

 

 ○ 현재 뭄바이 내에 4만4000여 대의 택시가 운행되고 있으며 이들 중 약 10%만이 에어컨을 보유한 상태이나, 이 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택시 차량은 스즈키 마루티 사의 ESTEEM 차종으로 개인 택시운전사 위주로 변화가 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어려운 과제이지만,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자리잡음.

 

 ○ 택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의 문제점

  - 운전면허증 또는 거주지 증명등을 보유한 20세 이상이 택시 면허증을 보유할 수 있으며, 교통당국은 2시간 30분 수업의 필수 수강을 도입함에 따라 뭄바이에서 차량 운행업자가 운전사를 교육시키고 있으나 정부의 개입이 요구됨.

  - 정부의 택시 수에 대한 상한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전망됨.

 

 4) 뭄바이 철도의 변화

 

 ○ 현재 뭄바이는 두 개의 철도 네트워크(Central 과 Western line)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일 2280회를 운행함.

 

 ○ 뭄바이지역과 외곽지역을 포함하여 현재 1800만 인구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매일 600만 명의 승객이 도시주변 철도 시스템을 이용 중임.

 

 ○ 러시아워 시간에는1sqm 당 공간에 14~16명의 승객의 분포를 보이고 있는 등 최악의 교통상황을 보여주고 있음.

 

 ○ 이에 따라 열차 수용능력의 증가와 함께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독일 지멘스사의 157대의 새로운 열차를 도입하기 시작했으며, 2009년까지 에어컨이 장착된 열차의 도입도 고려하고 있음.

 

 ○ 1단계 프로젝트 : Mahim과 Santacruz 간의 5번째 라인, Borivli와 Virar간의 3~4라인, Kurla와 Thane 간의 5~6 라인의 건설

 

 ○ 2단계 프로젝트 : CST와 Kurla 간의 5~6라인, Thane 와 kalyan 간의 5~6라인, Andheri에서 Goregaon 간의 Harbour 라인의 연장.

 

 ○ 뭄바이 철도 프로젝트의 문제점

  - 나비 뭄바이 지역으로 공항이 들어설 예정이며,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으므로 기존 철도 라인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나비 뭄바이에 중점을 둘 필요성이 제기됨.

  - 낡은 철도 시스템은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에 큰 장애이므로 제한적인 서비스의 개선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임.

  - 화물 라인의 업그레이드의 필요성도 제기됨.

 

 5) 해상운송 시스템의 도입

 

 ○ 뭄바이 시내 좁은 도로 상황과 증가하는 차량들이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새로운 교통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뭄바이 서부 해안의 Borivli 에서부터 Nariman Point 지역까지 600 크로루피(1억5000만 달러) 규모의 해상운송 시스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음.

 

 ○ 이로 인해 매일 2만4000명의 승객 운송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며, 1만2000여 대의 차량감소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함.

 

 ○ 초기 12대의 호버크라프트(Hovercraft)로 시작해서 향후 45대로 증가시킬 계획이나, 아직까지 주정부로부터 이들 계획에 대해서 허가를 받지 못한 상황임.

 

 ○ 해상 운송 시스템 프로젝트의 문제점

  - 선창가 까지의 이용자 편의를 위한 버스 또는 등의 이용이 가능해야 됨.

  - 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항구 당국, 어부 협회, 기타 다른 에이전트등 과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므로 협의회 구성이 필요함.

 

 6) 지하 주차장 건설 프로젝트

 

 ○ 현재 뭄바이 지역에 등록된 차량의 수는 156만 대로 매년 9%씩 증가

 

 ○ 뭄바이 BMC(Bombay Municipal Cooperation) 는 현재 89개 주차장을 보유하며, 대략 6000대에서 또는 9000대까지 주차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 도심지역에 턱없이 부족한 주차공간으로 인한 주차난 심각한 상황으로 새로운 대안으로 지하에 대규모 주차시설의 건설이 제기되고 있음.

 

 ○ 만일 21개 지하주차장이 건설되면 약 10만대 이상의 주차 공간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

 

 ○ 지하 주차장 건설 프로젝트의 문제점

  - 주차공간이 귀중한 도로 공간을 침식할 수 있으며, 주요 간선도로, 교차로, 교통 허브 지역을 피해야 한다는 점.

  - 뭄바이 지역의 공영주차장 주차료가 시간당 5루피이므로 이와 같이 적용시켜야 한다는 점.

 

 시사점

 

 ○ 이들 프로젝트는 최악의 상황에 당면한 뭄바이를 글로벌 도시에 걸맞는 인프라와 환경을 가진 도시로서 탈바꿈하려는 노력의 일환임.

 

 ○ 이들 프로젝트의 시행과 이행에는 비용 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규제, 환경문제, 교통문제 등  많은 걸림돌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임.

 

 ○ Bandra 와 Worli 지역을 연결하는 해상교량의 건설 프로젝트의 경우 2003년 완공이 목표였지만, 2008년 말로 연기된 실정임.

 

 ○ 뭄바이의 프로젝트들의 이행은 심각한 교통체증을 유발시키므로 프로젝트의 신속한 이행에 대해서 모두가 절실히 공감하고 있는 상태임.

 

 ○ 따라서 프로젝트의 수주는 향후 공기와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신공법의 제안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 Hindustan Times, Mumbai,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뭄바이 시의 프로젝트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