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핀란드]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
  • 경제·무역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7-11-23
  • 출처 : KOTRA

[핀란드]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

 

보고일자 : 2007.11.23.

전환길 헬싱키무역관

gil@kotra.fi

 

 

□ 파이프, 보일러의 동체, 탱크, 통 또는 이와 유사한 물품에 사용하는 탭, 코크, 밸브와 이와 유사한 장치 (감압밸브 및 온도 제어식의 밸브를 포함한다.) (HS code: 8481)

 

 

 

총금액

증가율 (%)

핀란드 올해 수입 (8월말 기준)

234,957,900유로

26.30%

핀란드 작년 수입 (8월말 기준)

185,981,800유로

 

한국 올해 총 수출 (8월말 기준)

666,883,000 $

32.60%

 

 ○ 수입급증 배경

  - 낮은 이자율과 장기 주택대출금의 보편화로 인해 대규모의 주택 구매열풍이 핀란드에 만연

  - 이로 인해 최근 건설 경기 붐

  - 아파트 및 대규모 쇼핑 몰 건설 러시

  - 핀란드 도시 건물들의 노후화로 인해 이에 대한 보수공사 활발

  - 건설공사 시 필요한 자재들에 대한 수요 급증

 

 ○ 수입 동향

  - 원산지 별 수입 통계(8월 말 기준)

   . 독일 : 5786만6300유로

   . 스웨덴 : 3008만3100유로

   . 이탈리아 : 2624만2300유로

   . 덴마크 : 1985만3700유로

   . 스페인 : 1490만1500유로

   . 영국 : 1373만7500유로

   . 프랑스 : 1265만9100유로

   . 중국 : 1181만2600유로

   . 폴란드 : 1087만5400유로

   . 한국 : 70만5000유로 (2006년 : 6만2400유로)

  - 전년동기대비 수입증가율 :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해 2억3495만 유로(2006년 : 1억8598만 유로)

  - 한국산 제품 수입동향 : 전년 동기 대비 1037% 증가한 70만 유로(2006년 6만 유로)

 

□ 전화기·기타 음성·영상·기타 자료를 송신 또는 수신기기(HS code : 8517)

 

 

 

총금액

증가율 (%)

핀란드 올해 수입 (8월말 기준)

1,980,371,200유로

472.20%

핀란드 작년 수입 (8월말 기준)

346,085,900유로

 

한국 올해 총 수출 (8월말 기준)

17,727,191,000달러

2678.30%

 

 ○ 수입 급증 배경

  - 핀란드 내 3세대용 핸드폰의 수요 증가

  - 핸드폰 판매 시 tie-in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기존 막대형 통화전용 핸드폰에서 3세대 핸드폰으로 기기 교체 증가

  - 90% 이상까지 점유하던 노키아의 핀란드 시장 내 점유율이 최근 80%대로 감소하면서 이에 따라 소니에릭슨·모토로라·삼성·LG 등의 핸드폰 브랜드 수입 증가 (삼성·LG 등 한국 핸드폰의 핀란드 내 시장점유율 : 10~15%)

  - 한국·중국·헝가리 등의 노키아 공장에서 생산된 품목의 핀란드 내 반입 역시 핀란드 수입통계로 집계됨.

 

 ○ 수입 동향

  - 원산지별 수입통계(8월 말 기준)

   . 중국 : 11억1728만3300유로

   . 한국 : 1억6198만3900유로(2006년 8월 : 268만100 유로)

   . 일본 : 1억2860만100유로

   . 독일 : 7516만1400유로

   . 헝가리 : 7051만6700유로

   . 에스토니아 : 6328만100유로

   . 미국 : 5962만3600유로

   . 대만 : 4631만6600유로

   . 말레이시아 : 3835만3900유로

   . 스웨덴 : 3149만7600유로

  - 전년 동기 대비 수입증가율 : 전년동기대비 472.2% 증가해 총 14억915만 유로(2006년 3억4608만 유로

  - 한국산 제품 수입 동향 : 전년 동기 대비 5944.1% 증가한 1억6198만 유로(2006년 268만 유로)

 

□ 디스크, 테이프, 고체상태의 비휘발성 기억장치, 스마트카드와 음성 또는 기타 현상의 기록용 기타 매체 (HS code : 8523)

 

 

 

총금액

증가율 (%)

핀란드 올해 수입 (8월말 기준)

258,206,600 유로

178.10%

핀란드 작년 수입 (8월말 기준)

92,835,800 유로

 

한국 올해 총 수출 (8월말 기준)

857,967,000 $

24.70%

 

 ○ 수입급증 배경

  - 자기기억장치, 광학 기억장치, 반도체 활용 기억장치의 수입 증가

  -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저장용량의 증가로 인해 컴퓨터 저장장치의 소형화 및 휴대성이 개선됨.

  - 기술 발전과 더불어 가격 인하의 속도가 가속화됨으로써 기억장치의 수요 폭발적 증가

  - 최근 뛰어난 디자인과 차별화된 성능으로 무장한 USB기록용 기억 장치의 수요 증가세가 폭발적임.

 

 ○ 수입 동향

  - 원산지별 수입통계 (8월 말 기준)

   . 아일랜드 : 4508만8500 유로

   . 일본 : 3961만4400 유로

   . 독일 : 3203만1700 유로

   . 한국 : 1904만3600 유로 (2006년 : 4475만2000유로)

   . 대만 : 1581만3500 유로

   . 스웨덴 : 1410만7800 유로

   . 체코 : 1152만5600 유로

   . 중국 : 1139만6900 유로

   . 오스트리아 : 1290만900 유로

   . 영국 : 1116만8800 유로

  - 전년 동기대비 수입증가율 : 전년 동기 대비 178.1% 증가한 총 2억242만 유로 (2006년 : 9283만 유로)

  - 한국산 제품 수입동향 :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한 1900만 유로 (2006년 : 4475만 유로)

 

□ 텔레비전 수신기기를 갖추지 않은 모니터와 프로젝트 및 텔레비전 수신용 기기(HS code : 8528)

 

 

 

총금액

증가율 (%)

핀란드 올해 수입 (8월말 기준)

340,421,900 유로

63.30%

핀란드 작년 수입 (8월말 기준)

208,464,200 유로

 

한국 올해 총 수출 (8월말 기준)

5,258,042,000 $

235.30%

 

○ 수입급증 배경

  - 2007년 9월 1일, 핀란드 아날로그 TV송출 신호의 중단과 함께 시작된 핀란드 디지털 TV 시대의 도래는 Digital, 텔레비전 수신용 Digibox 수입 증가 초래

  - Digital. TV 신호 수신을 위해 개인용 구입 뿐만 아니라 케이블 TV 업체에서도 고객들을 대상으로 대량 구입하는 등 올해 수요 최대

  - 작년, 올해 판매된 제품들로 인해 한동안 수입 증가세는 정체될 것으로 전망됨.

  - Topfield·Kaon 등의 여러 한국 브랜드가 시장 선도 (한국이 최대 수입국)

 

○ 수입동향

  - 원산지별 수입 통계 (8월말 기준)

   . 한국 : 6008만300유로 (2006년 : 2307만6200유로)

   . 스페인 : 4675만3600유로

   . 중국 : 4641만4100유로

   . 슬로바키아 : 3583만2800유로

   . 독일 : 2300만6000유로

   . 폴란드 : 2169만600유로

   . 체코 : 2164만3000유로

   . 헝가리 : 1490만9600유로

   . 터키 : 1329만7100유로

   . 일본 : 1237만6400유로

  -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증가율 : 전년 동기 대비 63.3% 증가해 총 3억4042만 유로 (2006년: 2억846만 유로)

  - 한국산 제품 수입동향 : 전년 동기 대비 160.3% 증가한 6008만 유로 (2006년 : 2307만 유로)

 

□ 화물자동차 (HS code : 8704)

 

 

 

총금액

증가율 (%)

핀란드 올해 수입 (8월말 기준)

414,960,200 유로

26.30%

핀란드 작년 수입 (8월말 기준)

328,620,200 유로

 

한국 올해 총 수출 (8월말 기준)

1,066,489,000 $

19.50%

 

○ 수입급증 배경

  - 최근 물류 회사 사업 확장 및 트럭 보유대수 증가

  - 올해 신규 등록된 트럭 대수 4000여대

  - 건설 경기 호조 및 기타 내수경기 호조로 인한 국내 및 국외 육상교통 물량 증가

  - 핀란드 내 대규모 화물자동차 생산업체가 없는 가운데에도 올해 핀란드 화물자동차 수출은 2억 4000만 유로를 상회

  - 수출물량 중 대 러시아·에스토니아·스웨덴·노르웨이 수출은 그 중의 절반이 넘는 1억4000만 유로

 

 ○ 수입 동향

  - 원산지별 수입통계(8월 말 기준)

   . 독일 : 1억2577만1200유로

   . 스웨덴 : 1억1262만4000유로

   . 스페인 : 3992만7700유로

   . 이탈리아 : 3305만2000유로

   . 일본 : 2620만9600유로

   . 태국 : 2278만3100유로

   . 터키 : 1668만6100유로

   . 프랑스 : 942만8700유로

   . 영국 : 673만4600유로

   . 벨기에 :  606만8000유로

  -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증가율 :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해 총 4억1496만 유로(2006년 : 3억2862만 유로)

  - 한국산 제품 수입동향 : 無(한국 상용차 제조업체 핀란드 미진출)

 

 

자료원 : 핀란드 관세청 (Tulli), ePortti (핀란드 무역 통계 자료), 무역협회 수출통계자료 및 무역관 보유 자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핀란드] ‘07년 수입급증 품목을 살펴본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