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의류 생산국에서 직물교역 허브로 진화
  • 경제·무역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안성준
  • 2007-10-31
  • 출처 : KOTRA

UAE, 의류 생산국에서 직물 교역 허브로 진화

- 직물류 재수출, 2002~06년 평균 13.3% 증가 -

- 의류생산공장, 2003년 100여개서 2007년 10개 내외로 감소 -

 

보고일자 : 2007.10.30.

안성준 두바이무역관

sjahn@kotra.or.kr

 

 

  아랍에미리트가 의류 생산국으로서의 과거 위상은 잃어버렸지만, 두바이는 직물교역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음. 두바이 직물류의 수입은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11% 이상 증가했고,  같은 기간 동안 직물류에 대한 재수출은 연평균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에미리트 산업은행이 발표함.

  - 두바이의 직물교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아랍·러시아·동유럽·아프리카·인도 등으로 공급을 하는 교역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수입에서 차지하는 재수출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현재 거의 절반 수준까지 육박했음. 2002년에 40%를 차지했던 재수출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6년에는 거의 50%선까지 다다름.

  - 두바이의 직물 수입은 2004년에 16.4%가 증가하며 33억 달러에을 기록했고, 2005년에는 2.5% 증가하는데 그쳐 증가세가 완화됐으나 2006년에 다시 10.4% 증가하며 37억 달러를 기록했음.

  - 재수출도 2004년에 18% 증가했다가 2005년에는 3.8% 증가하는데 그쳤고, 2006년에 다시 13.3%가 증가하며 수입과 비슷한 추세를 나타냈음.

 

두바이의 직물류 교역현황

(단위: 백만불, %)

연도

수입

재수출

재수출비중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2002

2,615

-

1,149

-

44.0

2003

2,850

9.0

1,348

17.3

47.3

2004

3,318

16.4

1,591

18.0

48.0

2005

3,403

2.5

1,651

3.8

48.5

2006

3,757

10.4

1,871

13.3

49.8

 

  아랍에미리트에서 의류생산업체들은 중국·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등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했으며, 대부분이 시장을 상실했음.

  - 업체당 평균 180명을 고용하는 노동집약적인 환경에서 아랍에미리트 내에서의 생산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음.

 

  의류생산공장에 기계류를 납품하는 Oubari Gulf사의 판매책임자에 따르면, 2003년에 100여 개에 이르던 아랍에미리트내 의류생산공장이 2007년에 10개 내외 밖에 안 남았다고 함. 이는 대부분 걸프국가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상황이라고 함.

  - 2005년 섬유쿼터제 폐지와 함께 대부분의 의류생산업체들은 생산공장을 인도·이집트·요르단 등으로 옮겼다고 함. 생산비용의 증가와 쿼터제 폐지가 아랍에미리트내 생산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미쳤다고 함.

  - 대부분의 의류생산업체들은 아랍에미리트의 7개 토후국 중에서 아즈만(Ajman)에 위치함.

 

 직물과 의류는 대부분 한국·일본·중국·인도·인도네시아·태국 등에서 수입되고 있음. 재수출되는 지역은 이란·이라크·사우디아라비아·동아프리카·구소련연방 국가들임.

 

  에미리트 산업은행의 보고서에 의하면 직물류에 대한 국내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는 다른 산업과 비교해 볼때 그리 높지 않은 성장을 보이고 있음.

  - 성장률이 인구 증가율과 비슷할 정도로 발전이 없는 상황임.

  - 관광객의 증가도 의류시장에는 별다른 영향을 못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과거 남아시아 지역의 관광객들이 의류에 많은 지출을  반면, 현재는 지출폭이 상당히 줄어들었음.

 

 

자료원 : Gulf News, Emirates Industrial Bank)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의류 생산국에서 직물교역 허브로 진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