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EU-이집트 파트너십 체결 3년, 무역투자분야 성과
  • 통상·규제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권세영
  • 2007-10-29
  • 출처 : KOTRA

EU-이집트 파트너십 체결 3년, 무역투자분야 성과

 

보고일자 : 2007.10.29.

권세영 카이로무역관

seyoung@kotra.or.kr

 

 

□ 개요

 

 ○ 2004년 1월부로 체결, 6월부로 발효된 EU-이집트 파트너십이 3년이 경과한 현재 교역량 증가와 더불어 이집트의 대 EU 무역적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 이집트가 EU와의 FTA 체결을 추진하면서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한 부분은 EU의 자본, 기술력과 경험의 유입을 자국의 성장 동력으로 삼는 전략이었는데 체결 후 EU로부터 FDI 유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음.

 

 ○ EU의 이집트에 대한 사회.경제 개발 지원 프로그램은 이집트의 산업화 국가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

 

□ 교역 부문

 

 ○ EU는 이집트 전체 교역량의 40%를 차지하는 주 교역국으로, EU-이집트간 교역 규모는 ‘04년 115억 유로에서 ‘05년 133억 유로 ‘06년 163억 유로 협약 체결 이전 평균 100억 유로 규모에서 ‘06년 기준 63%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음.

 

 ○ 협약 체결 후 이집트의 대 EU 수출 증가 폭이 수입 증가 폭을 상회함으로써 이집트의 대 EU 무역적자는 ‘05년을 기점으로 적자 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음.

 

EU-이집트간 연도별 교역 동향

자료 : Eurostat

 

 ○ 이집트의 대 EU 무역 적자폭의 감소는 에너지 부분에 대한 대 EU수출의 증가가 큰 요인으로 아직 FTA가 무역 적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이집트 입장에서는 긍정적 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음.

 

이집트의 대 EU 연도별 무역 적자 동향

자료 : Eurostat

 

이집트의 대 EU 수입품목 비중 (‘05기준)

이집트의 대 EU 수출 품목 비중 (’05기준)

자료 : Eurostat

 

□ 투자 부문

 

 ○ 이집트는 EU와의 파트너십 협약을 통한 투자 유치를 통해 이집트의 골칫거리였던 은행권 구조조정에 적극 활용하는 등 투자 유치 부분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음.

 

 ○ ‘06년 10월 4위 국책은행이었던 알렉산드리아 은행을 이태리 상파울로 은행에 16억 달러에 매각한 것은 금융권 구조조정 자금을 EU의 투자유치로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음.

 

 ○ EU의 대 이집트 투자 유치액은 03/04 회계연도 중 4천250만 달러였으나 금년 6월 종료된 06/07 회계 연도에는 40억6천만 달러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여 EU자금의 대 이집트 유입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음.

 

EU 의 연도별 대 이집트 FDI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2003/4

2004/5

2005/6

2006/7

FDI순유입액

407.2

3,901.8

6,111.4

11,053.2

EU유입액

42.5

812.9

2954.3

4061

EU비중

10%

21%

48%

37%

자료 : 이집트 중앙은행

 

□ 기타

 

 ○ 이집트-EU 파트너십은 경제 분야 뿐만 아니라 교통.에너지.환경 등의 사회 기반시설 확충, 기술.과학.연구 등의 과학기초 분야 확충, 사회개발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집트는 EU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국 경제 구조의 효율화와 현대화를 추진하고 사회개발 속도를 가속화하는 계기로 삼고 있음.

 

○ EU는 이집트와의 관계 증진을 위해 경제·사회 부분에 자금 지원이나 차관을 추진하고 있는데 개발 재원이 부족한 이집트 입장에서 EU의 자금 지원 프로그램은 경제 및 사회 개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EU지원 사회개발 분야 프로그램

지원 분야

금액 (유로)

기 추진중인 프로그램

Education Enhancement Programme

100,000,000

Social Fund for Development – Phase II

150,000,000

Health Sector Reform Programme – Phase I                    

110,000,000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33,000,000

Children at Risk

20,000,000

FISC-Rural (credit schemes)

18,000,000

FISC-Social (credit schemes)

17,000,000

South Sinai Regional Development Programme

64,000,000

The Anna Lindh Euro Mediterranean Foundation for the Dialogue Between Cultures and Civilisations

5,000,000

Support Democratisation, Civil Society and Human Rights

5,000,000

2006 신규 지원 프로그램

Health Sector Reform Programme - Phase II

88,000,000

Support to Social Development/SFD

20,000,000

기타

SMAP II & SMAP III (Environment)

35,000,000

 

EU지원 경제개발 분야 프로그램

지원분야

금액(유로)

기 추진중인 프로그램

Trade Enhancement Programme A (TEP A)

20,000,000

Trade Enhancement Programme C (TEP C)

6,000,000

Water Sector Reform Programme

80,000,000

Promotion of the Association Agreement

2,000,000

Support of the Association Agreement Programme (Twinning)

25,000,000

Reform of the public Spinning and Weaving Sector

80,000,000

Reform of the Banking Sector (FISC Financial)

15,000,000

Industrial Modernisation Programme (IMP)

250,000,000

2006 신규 지원 프로그램

Research and Innovation

11,000,000

Egyptian Pollution Abatement Programme (EPAP II)

10,000,000

기타

Innovation and Technology

7,300,000

EUMEDIS – Develop Information Society in the Mediterranean Region

62,000,000

New Approaches to Telecommunication Policy  II (NATP II)

4,000,000

자료 : The European Commission’s Delegation to Egypt

 

 

정보원 : The European Commission’s Delegation to Egypt, 이집트 중앙은행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EU-이집트 파트너십 체결 3년, 무역투자분야 성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