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우디아라비아 유압브레이커 시장동향
- 상품DB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장성원
- 2025-11-03
- 출처 : KOTRA
-
MENA 최대 건설기계 시장, 연평균 6.8% 성장 전망
비전 2030 인프라 확대에 장비 수요 급증… 임대 중심 유통 구조 확산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상품명
843149
8429호(자주식 불도저·굴착기 등), 8430호(토공기계 등) 기계의 기타 부분품
(예: 유압브레이커, 치즐·툴 비트, 실린더·피스톤 등)
유압브레이커는 주로 굴착기에 부착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파쇄 장비로, 건설·광산·철거 현장에서 암석과 콘크리트를 분쇄하는 데 쓰인다. 장착 장비의 규모에 따라 소형·중형·대형 브레이커로 나뉘며, 형태와 크기도 달라진다. HS Code 843149는 유압브레이커 본체뿐 아니라 교체·보수용 부품까지 포함돼 장비 사용 빈도가 높을수록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굴착기에 부착된 유압브레이커 모습>

시장 동향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 프로젝트(대규모 인프라 건설과 도시개발 등)를 추진하면서 관련 장비 활용이 확대돼, 유압브레이커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사우디의 건설·광업·채석 기계 시장 규모는 MENA 지역 최대인 약 28억 달러로 집계됐으며, 2023~2028년 연평균 6.8% 성장이 전망된다. 같은 해 시장 수요의 90.8%가 설비 투자에서 발생했고, 전체 시장의 93.8%가 수입에 의존해 해외 공급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다.
<2023년 MENA(중동, 북아프리카) 지역 건설·광업·채석 기계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유압브레이커 부품 수입 규모는 2억6430만 달러로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은 약 7080만 달러(점유율 약 27%)로 최대 공급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이 약 6058만 달러(약 23%)로 2위를 차지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약 3576만 달러(약 14%)로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2024년 약 873만 달러로 전체의 3.3%를 차지하며, 7위에 올랐다.
<사우디아라비아 유압브레이커 부품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314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점유율
('24 기준)
-
전체
66,724
138,116
264,374
100
1
미국
7,401
19,130
70,808
26.9
2
중국
22,309
49,410
60,585
22.9
3
아랍에미리트
2,119
9,118
35,759
13.5
4
독일
8,218
11,092
16,780
6.4
5
오만
-
-
11,938
4.5
6
네덜란드
701
4,771
11,211
4.2
7
한국
4,771
6,828
8,726
3.3
8
인도
4,435
8,647
7,315
2.8
9
스페인
601
3,748
6,660
2.5
10
이탈리아
4,938
6,211
6,462
2.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11.3.]
굴착기·토공 기계 완제품(Hs Code 8429·8430) 부문에서는 중국이 8억6000만 달러로(점유율 42%) 최대 공급국 자리를 차지했다. 그 뒤로는 인도(22%), 아랍에미리트(6%)가 2·3위를 차지하고, 한국은 1억460만 달러로(5%) 4위에 올랐다.
중장비 부품 전체(Hs Code 8431, 유압브레이커 포함)에서는 중국(9억9000만 달러, 점유율 33%), 아랍에미리트(27%), 미국(14%) 등이 상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1840만 달러로 15위에 그쳤다. 사우디 중장비 및 관련 부품 시장에서 중국은 전 분야를 아우르는 공급 능력으로 모든 세그먼트에서 상위권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 동향
Mordor Intelligence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건설장비 시장은 메이저 글로벌 기업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캐터필러(Caterpillar), 코마츠(Komatsu), 코벨코(Kobelco), 볼보(Volvo Construction Equipment), 히타치(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매니토웍(Manitowoc) 등이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하고 있으며, 폭넓은 장비 포트폴리오, 브랜드 신뢰도, 전국 단위의 유통망을 기반으로 시장을 주도한다. 나머지는 스미토모(Sumitomo construction machinery Source), 두산(Doosan), XCMG 등 중견 제조사가 주도하며 틈새 영역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XCMG는 중국 국유기업으로 사우디 내에서 신흥 강자로 부상 중이다. 아직 메이저 브랜드(캐터필러, 코마츠 등)에 비해 점유율은 제한적이지만, 메가 프로젝트(NEOM, Diriyah, Red Sea) 참여를 통해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담맘(Dammam)·리야드(Riyadh)·제다(Jeddah) 등 주요 거점에 서비스 및 부품 센터를 구축해 애프터서비스 대응력을 높이고, 전시회 참가 및 현지 파트너십을 강화하면서 브랜드 인지도를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다.
유통 구조
주요 글로벌 브랜드는 사우디 내 지정 총판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며, 현지 대형 유통사(Zahid Tractor, Arabian Truck & Construction Equipment 등)가 전국적 딜러망과 정비·부품 센터를 운영하면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중장비는 구매보다 임대를 선호하며, 이러한 추세는 최근 들어 더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리점과 독립 렌탈업체의 시장 비중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Vision 2030 관련 공공 프로젝트 입찰에서는 정부가 인증한 유통사를 통한 납품만 허용되는 경우가 많아, 정부·공공 발주처 전용 유통 채널도 중요한 특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건설 중장비 주요 기업 및 유통 채널>
로고
기업
주요 요통 채널
설명

Caterpillar
(미국)
Zahid Tractor
(독점 총판)
광범위한 정비센터와 부품 창고
대형 프로젝트 전용 팀 운영, 임대 서비스 병행
전국 거점(리야드, 제다, 담맘 거점)

Komatsu
(일본)
Abdul Latif Jameel Machinery
Trading Co., Ltd
정비·부품센터 보유
전문 기술 교육 제공
젯다 거점

Volvo CE
(스웨덴)
FAMCO (Al-Futtaim Auto
& Machinery Co.)
신속한 부품 공급망, 친환경 장비 라인 지원
NEOM 등 대형 프로젝트 맞춤 공급 전략
젯다 거점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일본)
ATEC (Arabian Truck
& Construction Equipment CO.)
핵심 부품 직수입, 서비스센터 제한적
틈새시장(특수 장비) 공략
리야드, 젯다 거점
[자료: KOTRA 리야드무역관 정리]
관세 및 인증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유압브레이커 부품(HS Code 843149000000)의 관세율은 5%가 적용된다. 해당 품목은 수출입 모두 허용돼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HS Code 843149 관세율>
항목
Hs Code
유형
관세율
제한 유형
8431
843149000000
기타 (Other)
5%
수입 및 수출 허용
[자료: ZATCA]
또한, 사우디 표준청(SASO)의 기계류 안전 기술규정 ‘제2부(이동식 기계 및 중장비)’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수입 시에는 반드시 품질마크(Quality Mark, QM) 인증 또는 제품 적합성 인증(Product Conformity Certificate, COC) 중 하나를 취득해야 한다. 이러한 인증은 SABER 시스템을 통해 등록·발급되며, 현지 유통 및 프로젝트 납품 시 필수 조건으로 요구된다.
< HS Code 843149 인증>
HS 코드
기술 규제
요구 인증
인증 구분
843149000000
기계류 안전 기술규정 제2부
: 이동식 기계 및 중장비
(Technical Regulation for Machinery Safety – Part 2: Mobile Machinery and Heavy Duty Equipment)품질마크(QM, Quality Mark Certificate) 또는 제품 적합성 인증(COC, Product Conformity Certificate)
강제 인증
[자료: SABER]
시사점사우디아라비아 유압브레이커 시장은 국가 차원의 초대형 인프라 프로젝트(Vision 2030), 신도시 개발(네옴시티, 더 라인 등), 도로·주택 건설 확대에 힘입어 중장비 및 부품 수요가 지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사막·암반 지형이 많은 특성상 굴착 및 파쇄 장비인 유압브레이커는 건설 현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한국 기업이 사우디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공식 수입 대리점 및 정부 조달 시장 경험이 있는 파트너 확보, ▲사막 기후와 고온 환경에 최적화된 장비 내구성, ▲부품 공급망·A/S 대응 속도를 차별화 요소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ZATCA, SABER, 개별 기업 홈페이지,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사우디아라비아 유압브레이커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핀란드 건설·광산·토공 기계 부품 시장 동향
핀란드 2025-11-03
-
2
헝가리 기타 의료·외과용 기기 시장 동향
헝가리 2025-11-03
-
3
이집트 섬유 반응성 염료 시장 동향
이집트 2025-11-03
-
4
탄자니아 폴리프로필렌 시장동향
탄자니아 2025-11-03
-
5
홍콩 안마기 시장, 회복세 속 변화하는 트렌드
홍콩 2025-11-03
-
6
그리스 선크림 시장 동향
그리스 2025-11-03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