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일회용 위생용품 품질강화 표준 신규 시행
  • 통상·규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5-09-04
  • 출처 : KOTRA

신규 위생용품 규정, 7월 1일 공식 시행

신제품과 신소재 증가에 대응한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기준 강화-


<71 시행된 일회용사용위생용품위생요구" 공고>

[자료: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요구> 신규 시행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家市场监督管理) 2024 6 25 18 강제 국가표준 승인 공고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소독 분야 강제 국가표준인 GB 15979-2024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 요구사항(一次性使用生用品生要求)'(기존 GB 15979-2002 대체) 포함돼 있으며, 해당 표준은 2025 7 1일부터 시행됐다.

 

일회용 위생용품 정의


GB 15979-2024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 요구사항> 따르면, '일회용 위생용품'이란 인체에 직접 접촉해 개인 위생을 유지하거나 항균·억균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생활용품을 의미한다.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요구> 출범 배경


이전 표준은 2002 3 5 공포되고, 2002 9 1 정식 시행됐던 <일회용 위생용품 위생표준>(GB 15979-2002) 이후, 22년만의 변화다. 그동안 위생물티슈, 항균제, 억균제, 탐폰(内置棉条), 수유패드, 화장솜 새로운 제품과 소재가 다수 등장했으나, 기존 표준(GB 15979-2002) 이러한 신흥 제품군을 충분히 포괄하지 못했었다. 이로 인해 일부 신규 제품들은 장기간 '규제 사각지대(监管盲区)’ 머무르며 시장의 무질서한 사건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했다.

 

일회용 위생용품 산업에는 특히 폐자재 재사용과 소재 허위 표기 등의 문제가 존재했다. 표준 체제에서는 일부 기업들이 재활용 소재를 사용해 제품을 생산하고, 원료를 줄여(偷工减料) 소비자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번 신규 표준은 사용 금지 물질 목록을 명확히해 이러한 무질서한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세계에서 일회용 위생용품의 안전성과 환경 친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제표준(: EU REACH 규정, 미국 FDA 기준) 유해 화학 물질, 미생물 관리 등에 대한 요구를 갈수록 강화하고 있어, 중국의 위생용품 표준도 세계 표준과 유사한 수준으로 향상시킬 필요성이 대두됐다.

 

신규 표준 적용 범위


일회용 위생용품은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품에만 해당된다고 정의된다.

 

<신규 표준 적용범위>

번호

분류

세부 제품

1

여성 위생용품

생리대, 여성 위생팬티, 탐폰

2

배변 위생용품

유아용 기저귀, 기저귀, 배변 패드

(화장지는 제외)

3

기타 위생용품

물티슈, 항균제, 억균제(抑菌), 티슈, 물티슈, 마스크, 모자, 장갑, 핸드폰 보호필름, 콘돔

[자료: 소후, KOTRA 다롄무역관 정리]

 

 

신규 규정 핵심 내용

 

신규 표준은 위생 물티슈, 항균제, 억균제 새로운 품목들을 처음으로 표준에 포함시켜 구판(GB 15979-2002)에서 존재하던 관리의 공백을 메웠다일회용 위생용품은 인체와 직접 접촉하며, 위생 상태는 국민의 신체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최근 년간 신제품과 신소재가 끊임없이 등장하면서, 일회용 위생용품에 대한 위생 요구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 이에 따라 국가질병통제국(国家疾控局) 해당 표준의 개정 작업을 주도했다. 새롭게 개정된 표준은 적용 범위를 조정하고, ‘일회용 위생용품 정의에 위생 물티슈’, ‘항균제’, ‘억균제등의 품목을 새롭게 포함시켰다또한, 신규 표준은 원재료에 대한 위생 요구사항을 보다 세분화하고, 원재료 사용 금지되는 물질과 생산에 사용되는 물에 대한 위생 기준을 추가했다. 생산 과정에 대한 위생 요구사항도 최적화했다제품 위생 요구사항도 한층 강화됐다. 일회용 위생용품의 제품이 가지는 건강 위험도를 기준으로, 위험 등급에 따라 pH, 이동성 형광증백제 잔류물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지표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와 함께 미생물 오염 지표와 독성 안전성 요구 기준도 조정했다.

 

<2002 표준과 2025 신규 표준 비교>

구분

2002 기존 표준

2025 신규 표준

적용 범위 정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접촉 품목 모두 포함. 명확한 분류 없음

- 판매 사용되는 일회용 위생용품에 대한 표준을 명확히 규정

- 일회용 위생용품의 정의를 ‘인체와 직접 접촉하여 인체의 생리적 위생 또는 항균·억균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생활용품’으로 규정

원재료 요구

원재료의 무독성·무해성·무취를 요구하며, 재활용 원료 사용 금지

- 원재료 위생 요구사항에 금지 물질과 생산용수 요건 추가

- 폐기되었거나 사용된 일회용 위생용품을 원재료 또는 반제품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명확화

물리학적 표준

물리화학 지표와 사용 제한 물질의 농도 등 명확한 규정 없음

- 위생 요구사항에 물리화학적 기준  해당 검사 방법을 신설하였으며, 물리화학 지표와 사용제한 물질 사용 농도 관련 규정 포함.

- 에틸렌옥사이드(EO) 소독된 위생용품의 출시 EO잔류량 허용기준을 도입하고, EO 잔류량 검사 방법도 개선

독성 시험

독성 시험 항목 부족, 안구 자극 시험 미포함

- 안구 자극(眼刺激) 시험  해당 검사 방법 신설

- 일부 제품 분류 변경

- 독성 시험 항목 지표 기준을 부록에서 본문으로 이동

미생물학 지표

미생물학 지표가 비교적 단순

특정 미생물 기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검사 규정 미약

- 탐폰, 항균(억균)제의 미생물학 지표 수정

- 초기 오염균 요건을 생산 과정 요건으로 이동

- 대장균군,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色葡萄球菌), 용혈성 연쇄구균(溶血性球菌) ‘특정 미생물 통합 기타 병원성 미생물 신설

- 항균(억균)제의 세균수 곰팡이수 기준 강화

() 성능

항균(억균) 성능 요건이 비교적 단순, 진탕 플라스크 시험법(荡烧瓶试验 억균환 지표 미포함

- 살균·항균·억균 성능 요건 변경

진탕 플라스크 시험법(荡烧瓶试验 억균환 직경 지표 신설

- 기타 미생물에 대한 살균, 항균, 억균 성능 요건 강화

검사 방법

검사 방법 단순함, 해당 구체적 검사 방법 미포함

- 검사 방법 다수 신설

- 시약 제조 방법 일부 삭제

[자료: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KOTRA 다롄무역관 정리]

 

중국 일회용 위생용품 수입현황

 

중국은 인구가 많고, 소비 시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일회용 위생용품 수입량 또한 매우 많다. 조사에 따르면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생리대/생리용 팬티라이너, 아기 기저귀, 물티슈/위생물티슈, 성인용 기저귀 등이 있다2025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일본, 헝가리, 한국, 독일 등으로부터 일회용 위생용품을 수입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본산 생리대와 아기 기저귀 고급 제품의 수입량이 현저히 증가했으며, 특히 2025 상반기에는 생리대 관련 사회적 이슈가 있어, 일본제품 수입량이 1 2500 증가했다


헝가리, 독일, 한국은 중국에 생리대와 물티슈 등을 공급하는 안정적인 협력국이다. 또한 중국은 성인용 기저귀, 패드 등의 품목은 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수입하고 있다생리대를 예로 들면, 한국은 꾸준히 중국으로의 주요 수출국 지위를 유지해 왔다. 관세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중국의 수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중국의 생리대 수입국(지역) 현황>

(단위: 천불, %)

순위

국가

2023

2024

2025.1-6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헝가리

108,040

24.0

56,169

-48

24,220

-9.6

2

일본

38,041

-20.8

27,706

-27.2

22,345

80.1

3

한국

10,742

-19.9

6,014

-44

3,870

23

4

독일

5,137

-7.9

3,643

-29.1

2,992

56.2

5

캐나다

5,550

-23.5

4,512

-18.7

1,423

-8

6

미국

4,312

-36.7

6,106

41.6

1,385

12.8

7

태국

1,585

-39.7

1,339

-15.5

766

-11.2

8

대만

946

23.6

1,190

25.7

650

7.3

9

체코

1,732

95.9

1,309

-24.4

639

-23

10

슬로베니아

2,125

-7.1

1,925

-9.4

524

-52.9

전체수입

181,279

0.9

112,090

-38.2

59,618

15.2

[자료: 한국무역협회(HS CODE 96190020 기준)]

 

시사점

 

중국의 일회용 위생용품 수요는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의 국산 제품에 대한 신뢰도는 다양한 사회적 사건으로 인해 수시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중국 정부는 위생용품의 생산과정 유통과정에서 품질 감독을 강화하며 소비자의 신뢰와 자국산 제품 소비 촉진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의 위생관련 기준이 엄격화 되며 중국제품의 품질 등이 향후 지속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기업은 장기적으로 중국 제품 경쟁력 강화에 대응하는 진출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또한, 단기적으로는 중국의 향후 일회용 위생용품에 대해 제품 검사와 샘플추출 검사 모든 단계에서 더욱 엄격하게 관리할 예정이므로, 대중 수출을 준비하는 기업은 반드시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중국 정부의 검사 기준 꼼꼼히 숙지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제품의 하자로 인한 브랜드 이미지 손상을 방지할 있다.

 


자료: 중국상무부, 중국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세관총서, 소후, CCTV 공식 웹사이트(央视网), 중국경제사이트, KOTRA 다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일회용 위생용품 품질강화 표준 신규 시행)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